옛글닷컴ː옛글채집/옛글검색

하늘구경  



 

두예[杜預] ~ 두예침비[杜預沈碑]
 글쓴이 : 하늘구경
조회 : 4,607  
♞두예[杜預] 진(晉)나라 경조(京兆) 두릉(杜陵) 사람으로 자는 원개(元凱)이다. 하남 윤(河南尹)과 탁지상서(度支尙書)를 지내다가 도독형주제군사(都督荊州諸軍事)와 진남대장군(鎭南大將軍)이 되어 수리사업(水利事業)을 추진, 1만여 두락의 논을 옥토로 만들었고 태강(太康) 원년(元年)에는 군사를 거느리고 오(吳)나라를 쳐서 멸망시킨 전략가인데, 유가의 경전에도 조예가 깊어 춘추좌씨전집해(春秋左氏傳集解)를 저술하였다. <晉書 卷三十四 杜預傳>
♞두예[杜預] 진(晉)나라 초엽의 명장‧정치가‧학자. 자는 원개(元凱). 진나라의 초대 황제인 무제(武帝) 때 대장군(大將軍)이 되어 오(吳)를 정벌하고 삼국 시대에 종지부를 찍는 무공을 세움. 춘추(春秋), 고문상서(古文尙書)에 통달한 학자로도 유명하다. 저서로는 좌전집해(左專集解), 춘추석례(春秋釋例)등이 있다.
♞두예침비[杜預沈碑] 진(晉) 나라 때 오(吳) 지역을 평정하는 큰 공을 세운 두예(杜預)는 평소에 후세에 이름 남기기를 좋아하였다. 이에 일찍이 “높은 언덕이 골짜기가 되고 깊은 골짜기가 구릉으로 된다.” 하면서, 자신의 공을 새긴 비석 두 개를 만들어 하나는 만산(萬山)의 아래에 묻고, 하나는 현산(峴山)의 위에 세워놓았다. <晉書 卷34 杜預列傳>
♞두예침비[杜預沈碑] 진(晉)나라 두예(杜預)가 형주(荊州)를 지키는 대장으로 있으면서, 부하들과 함께 현산(峴山)에 올라가 탄식하기를, “이 산은 항상 있건마는 이 산에 놀던 사람은 천추 뒤에 누가 알겠는가.”하고, 비석(碑石) 돌을 만들어 자기의 사적을 새겨서, 하나는 산 위에 세워 두고, 하나는 후일에 산천이 변하여 산이 못이 되고, 못이 육지가 될 때를 예상하여 연못 속에 던져두었다.
 
 



번호 제     목 조회
377 마등[摩登] ~ 마란[馬卵] 4246
376 마도[馬圖] ~ 마두[馬竇] 4462
375 마남도[馬南渡] ~ 마니주[摩尼珠] 4440
374 마군공[馬群空] ~ 마귀[麻貴] 3722
373 마골구방인[馬骨九方歅] ~ 마공신[馬功臣] 3819
372 마고[麻姑] ~ 마고소양[麻姑搔痒] 5478
371 마계산[摩笄山] 4152
370 두운[杜韻]/두율천궁[兜率天宮]/두입[斗入] 3772
369 두우륙[杜郵戮] 3817
368 두오랑[杜五郞] ~ 두우혼[杜宇魂] 4178
367 두예[杜預] ~ 두예침비[杜預沈碑] 4608
366 두어오[蠹魚惡] ~ 두영[竇嬰] 3957



   411  412  413  414  415  416  417  418  419  420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열자

한비자 / 육도삼략 / 소서 / 손자병법 / 전국책 / 설원 / 한서 / 고사성어 / 옛글사전

소창유기 / 격언연벽 / 채근담(명) / 채근담(건) / 명심보감(추) / 명심보감(법) / 옛글채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