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글닷컴ː옛글채집/옛글검색

하늘구경  



 

등왕각[縢王閣] ~ 등용[登龍] ~ 등용문[登龍門]
 글쓴이 : 하늘구경
조회 : 2,753  

등왕각[縢王閣] 당나라 문인 왕발(王㪍)이 교지령(交趾令)으로 있는 아버지 복치(福畤)를 보러 가는 길에, 꿈에 강신(江神)이 와서 말하기를 내일 99일에 남창(南昌)의 등왕각(滕王閣)을 중수(重修)한 낙성식(落成式)이 있으니 참석하여 글을 지어 이름을 내라.”라고 하였다. 왕발이 대답하기를 여기서 남창까지 7백 리인데 하룻밤 사이에 당도할 수가 있습니까.”라고 하니, 강신(江神)배에 오르기만 하면 내가 바람을 빌려 주리라.”라고 하므로, 왕발은 과연 하룻밤 사이에 남창에 도착하니 홍주 자사(洪州刺史)가 등왕각에 낙성식을 크게 열고 여러 손들에게 필묵(筆墨)과 종이를 돌려 글을 짓게 하였다. 사실은 자사(刺史)가 자기의 사위를 시켜 미리 글을 지어 두고 여러 손들이 사양하기를 기다려 사위의 글을 자랑하려 하였던 것이다. 다른 손은 모두 사양하는데 왕발이 사양하지 않고 붓을 드니 자사는 불쾌하여 사람을 시켜 왕발의 글을 쓰는 대로 엿보고 와서 보고하도록 하였다. 중간에 가서 떨어진 놀은 외로운 따오기와 가지런히 날고, 가을 물은 긴 하늘과 한 빛이다[落霞與孤鶩齊飛 秋水共長天一色]”라는 구절을 쓰니, 자사가 듣고 참으로 기이한 재주로다.”라고 하였다. 왕발은 끝에 다시 시()를 쓰기를 그림 그린 기둥은 아침에 남포의 구름에 날고 주렴은 저녁에 서산 비에 걷는다[畵棟朝飛南浦雲 珠簾暮捲西山雨]”라 하였다. 등왕각은 등왕(滕王)에 봉해진 당고조(唐高祖)의 아들 이원영(李元嬰)이 홍주(洪州)의 도독(都督)으로 있을 때에 세운 누각이다.

등용[登龍] 후한(後漢) 환제(桓帝) 때의 명망가인 이응(李膺)의 집을 찾아가 그의 대우를 받는 것을 당시에 영광으로 알아 용문에 올랐다.[登龍門]”고 했던 고사가 있다.

등용문[登龍門] 입신출세(立身出世)의 계기를 잡음. 용문(龍門)은 황하 상류에 있는 급류로, 잉어가 여기를 통과하면 용이 된다는 말이 있다. 입신출세의 관문에 오름을 이른다. <후한서(後漢書)>

 

 



번호 제     목 조회
4385 도어[徒御] ~ 도연[道緣] ~ 도열강서파[圖列江西派] 2749
4384 약옥주[藥玉舟] ~ 약우전해[弱羽塡海] ~ 약장[藥匠] 2749
4383 은졸[隱卒] ~ 은죽[銀竹] ~ 은지작탐천[隱之酌貪泉] 2749
4382 문사서도강[聞思誓渡江] ~ 문사통노훈[聞思通爐薰] ~ 문산[汶山] 2750
4381 아기[牙旗] ~ 아기비황정[鵝豈費黃庭] ~ 아난[阿難] 2750
4380 미자[微子] ~ 미정갱[未政羹] ~ 미제[眉齊] 2752
4379 어묵[語黙] ~ 어미적[魚尾赤] ~ 어미죽간[魚尾竹竿] 2752
4378 백겹[白帢] ~ 백계몽[白鷄夢] ~ 백계몽중최[白鷄夢中催] 2753
4377 삼함각[三緘刻] ~ 삼해[三亥] ~ 삼허[參墟] 2753
4376 등왕각[縢王閣] ~ 등용[登龍] ~ 등용문[登龍門] 2754
4375 무안옥와진[武安屋瓦振] ~ 무안후[武安后] ~ 무애[無涯] 2754
4374 상군[上郡] ~ 상군상지수[桑君上池水] ~ 상군정[賞軍政] 2754



   81  82  83  84  85  86  87  88  89  90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열자

한비자 / 육도삼략 / 소서 / 손자병법 / 전국책 / 설원 / 한서 / 고사성어 / 옛글사전

소창유기 / 격언연벽 / 채근담(명) / 채근담(건) / 명심보감(추) / 명심보감(법) / 옛글채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