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글닷컴ː옛글채집/옛글검색

하늘구경  



 

흥진도문회[興盡到門廻] ~ 흥폐[興廢]
 글쓴이 : 하늘구경
조회 : 3,358  
♞흥진도문회[興盡到門廻] 진(晉) 나라 때 왕휘지(王徽之)가, 밤눈[夜雪]이 막 개고 달빛이 청명하자 갑자기 섬계(剡溪)에 있는 친구 대규(戴逵)가 문득 생각나서, 배를 타고 밤새도록 갔다가 막상 대규의 집앞에 당도해서는 들어가지 않고 그냥 되돌아왔는데, 누가 그 이유를 묻자 “내가 흥이 나서 갔다가 흥이 다해서 되돌아온 것이니, 꼭 안도(安道)를 볼 필요가 있는가.”고 답한 고사에서 온 말이다. <晉書 卷八十 王徽之傳>
♞흥진방환[興盡方還] 진(晉) 나라 왕자유(王子猶)가 눈 오는 밤에 배를 타고 섬계(剡溪)로 대안도(戴安道)를 찾아갔으나, 문 앞까지 갔다가 돌아왔는데, 사람이 그 까닭을 물으니, “흥이 나 왔다가 흥이 다해 돌아가니 하필 안도를 보아선 무엇하리오[乘興而來 興盡而去 何必見].” 하였다.
♞흥진비래[興盡悲來] 즐거운 일이 다하면 슬픈 일이 온다는 데서, 순환하는 세상의 이치를 가리키는 말이다.
♞흥진회도[興盡回棹] 진(晉) 나라 때 왕휘지(王徽之)가 일찍이 산음(山陰)에 살 적에 어느 날 밤 눈이 막 개고 달빛이 청량하자, 문득 섬계(剡溪)에 사는 친구 대규(戴逵)가 생각나므로, 즉시 조그마한 배를 타고 대규의 집을 향하여 밤새도록 가서 그의 집 문 앞까지 가서는 들어가지 않고 배를 돌려 되돌아왔다. 그러자 누가 그 까닭을 물으니, 대답하기를 “내가 본디 흥이 나서 왔다가 흥이 다하여 되돌아가는 것이니, 어찌 꼭 안도(安道; 대규의 자)를 만나볼 것이 있겠는가.”고 했던 데서 온 말이다. <晉書 卷八十>
♞흥진회선[興盡回船] 진(晉) 나라 왕휘지(王徽之)가 눈 내린 밤에 친구 대안도 생각이 나서 그 집 앞까지 배를 저어 갔다가 그냥 돌아왔는데, 누가 그 이유를 물으니 “흥이 나서 갔다가 흥이 다해서 돌아왔다.[乘興而行 興盡而返]”고 대답한 고사가 있다. <世說新語 任誕>
♞흥폐[興廢] 시경(詩經) 대서 소(大序疏)에 “왕자(王者)의 정사에는 흥폐(興廢)가 있다. 그래서 신령들에게 제사 지내지 않은 적이 또한 없다. 하지만 태평한 정치를 이루지 못하면 신령에게서 은혜로운 힘을 기대할 수도 없는 법이다. 그러므로 태평 정치를 이루는 것이 신공(神功)에 보답하는 길이 되는 것이다.” 하였다.
 
 



번호 제     목 조회
761 희년[稀年] ~ 희농[羲農] 3419
760 희구[喜懼] ~ 희기선종저처생[噫氣先從底處生] 3702
759 희강[姬姜] ~ 희공음[喜跫音] 3438
758 흥진도문회[興盡到門廻] ~ 흥폐[興廢] 3359
757 흥경원[興慶園] ~ 흥망성쇠[興亡盛衰] 4371
756 흠마[廞馬] ~ 흡흡[歙歙] 3539
755 흘간산두동살작[紇干山頭凍殺雀] ~ 흘흘[屹屹] 3576
754 흔석[狠石] ~ 흔흔[昕昕] 3297
753 흑책정사[黑冊政事] ~ 흑화[黑花] 3648
752 흑우생백독[黑牛生白犢] ~ 흑제[黑帝] 3336
751 흑수[黑水] ~ 흑수현지[黑水玄阯] 3532
750 흑곤륜[黑昆侖]~흑백이서[黑白二鼠]~흑삭장군[黑槊將軍]~흑산융[黑山戎] 3284



   381  382  383  384  385  386  387  388  389  390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열자

한비자 / 육도삼략 / 소서 / 손자병법 / 전국책 / 설원 / 한서 / 고사성어 / 옛글사전

소창유기 / 격언연벽 / 채근담(명) / 채근담(건) / 명심보감(추) / 명심보감(법) / 옛글채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