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옛글닷컴ː명언명구/사전

하늘구경  

 

 

 

 

망하루【望荷樓】다산(茶山)의 고향마을인 소내[苕川]에 있는 누각. 다산 31세 때인 임자년(1792)여름 다산의 부친이 임지인 진주(晉州)에서 별세하자 하담(荷潭)으로 반장(反葬)을 하고 소내에서 거상하면서, 그곳에서 2백 리 거리인 묘소가 있는 하담을 바라본다는 뜻으로 다산의 백씨(伯氏)가 목공을 시켜 그가 살고 있는 집 동남쪽 절반을 잘라 만든 누대. 《與猶堂全書 一集 卷十三 望荷樓記》

망해【芒蟹】팔월(八月)이 되면 게[蟹]의 뱃속에 꺼끄러기[稻芒]가 있는데, 길이가 한 치나 된다. 동쪽으로 향하여 해신(海神)에게 바치는데, 그것을 마치지 않으면 먹지 못한다. 《酉陽雜俎》

망해정【望海亭】망해정은 노량진에 있음.

망행첨포【望杏瞻蒲】농사철이 시작되었다는 말이다. 남조 진(陳) 서릉(徐陵)의 ‘사공 서주자사 후안도 덕정비(司空徐州刺史侯安都德政碑)’에 “살구를 보고서 땅을 갈게 하고, 부들을 보고서 농사일을 권면했네.[望杏敦耕 瞻蒲勸穡]”라는 표현이 있다.

망향대【望鄕臺】망향대는 본래 한성제(漢成帝) 때의 장군 왕궤(王潰)가 변방을 지키러 갔다가 왕망(王莽)이 찬역하자 궤(潰)가 호(胡)로 도망와서 부하들과 함께 대를 쌓아 거기에 올라 고향 있는 곳을 바라본 곳이다.

망협【莽浹】풀이 무성한 넓은 평야.

망형【忘形】나이의 노소(老少)가 틀리는 것을 잊고 서로 벗으로 사귀는 것을 망형(忘形)이라 한다. 동평(東平) 사람 여안(呂安)이 혜강(嵇康)의 고아한 풍치에 감복하여 매번 생각이 날 적마다 수레를 타고 천리길을 찾아오곤 하므로 혜강이 그를 절친한 벗으로 여긴 일을 말하는데, 벗끼리 서로 형체(形體)를 떠난 경지를 뜻한다.

망형【忘形】망형은 물아(物我)를 초탈하는 것. 장자(莊子) 양왕편에, “지(志)를 기르는 자는 형(形)을 잊게 되고, 형을 기르는 자는 이(利)를 잊게 되고, 도(道)에 이르는 자는 심(心)을 잊게 된다[養志者忘形 養形者忘利 致道者忘心矣].”라는 말이 있음.

망형위진【忘形魏晉】위(魏)의 하안(何晏)ㆍ진(晋)의 완적(阮籍)ㆍ혜강(嵇康) 등이 모두 노장(老莊)의 풍으로 청담(淸談)을 즐기고 예법과 신형(身形)을 돌보지 않았다.

망호【網戶】그물처럼 조각된 무늬 지게. 금루자(金樓子) 잡기(雜記)에 “공사(龔舍)가 초왕(楚王)과 함께 미앙궁(未央宮)에서 자게 되었는데, 크고 빨간 거미가 쳐놓은 그물에 벌레들이 걸려들어 꼼짝도 못하는 것을 보고 ‘벼슬은 곧 사람의 그물이다.’ 탄식하고 벼슬에서 물러나자, 사람들이 그를 지주은(蜘蛛隱)이라 했다.” 하였다.

망홀【芒笏】망과 홀은 황홀(恍惚)과 같은 뜻으로, 즉 황홀하여 헤아리기 어려움을 뜻한 것이다. 《莊子 至樂》

망회【忘懷】생각을 잊는다는 뜻으로, 즉 인간을 초월하여 모든 사물(事物)에 마음이 매달리지 않는다는 말이다. 도잠(陶潛) 오류선생전(五柳先生傳)에 “득(得)과 실(失)에 생각을 잊고 이대로 마치라.” 하였다.

매고【매皐】한 무제(漢武帝)때의 낭관(郞官). 해학을 좋아하고 문사(文思)가 민첩하여 동방삭(東方朔)과 함께 무제의 총애를 받았음. 《漢書 卷五十一》

매난국죽【梅蘭菊竹】매화, 난초, 국화, 대나무. 품성이 군자와 같이 고결하다고 여겨 사군자四君子라 함.

 

05/10/15/20/25/30/35/40/45/50/55/60/65/70/75/80/85/90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 열자

한비자 / 육도삼략 / 소서 / 손자병법 / 전국책 / 설원 / 한서 / 고사성어 / 옛글사전

소창유기 / 격언연벽 / 채근담(명) / 채근담(건) / 명심보감(추) / 명심보감(법) / 옛글채집

 

 

www.yetgle.com

 

 

Copyright (c) 2000 by Ansg All rights reserved

<돌아가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