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옛글닷컴ː명언명구/사전

하늘구경  

 

 

 

 

문상삽도【門上揷桃】정월(正月) 초하룻날 대문 위에 복숭아나무를 꽂아 재앙을 물리친다고 한다. 《晉書 禮志》

문생판서【門生判書】판서로서 오히려 연소배에게 아부함을 비웃던 말.

문서【文犀】무늬 있는 무소뿔 장식을 붙인 띠, 곧 서대(犀帶)를 말한다.

문서【文犀】무늬 있는 뿔을 지닌 무소를 가리킨다.

문석【文石】대궐 뜰의 돌

문석【文石】한(漢) 나라 매복(梅福)의 상소에, “원컨대 한 번 문석의 계단을 올라 생각한 바를 다 말하겠습니다.” 하였는데, 이는 궁궐을 뜻하는 말이다. 《漢書》

문선왕【文宣王】공자(孔子)를 높인 시호(諡號). 당(唐) 개원(開元) 27년에 공자를 문선왕으로 봉하였고, 송(宋) 상부(祥符) 원년에 지성문선왕(至聖文宣王)으로 가시(加諡) 하였으며, 원(元) 대덕(大德) 10년에 다시 대성지성문선왕(大成至聖文宣王)으로 가시하였다가 명(明) 가정(嘉靖) 9년에 지성선사(至聖先師)로 개칭하였는데, 우리나라에서는 대성문선왕의 시호를 그대로 쓰고 있다.

문선육신주【文選六臣注】문선(文選)은 양(梁) 나라 소명태자(昭明太子)의 찬으로, 내용은 진한(秦漢)으로부터 양ㆍ제(梁齊)에 이르기까지의 시문을 선록(選錄)한 것인데 총 60권임. 그 주석서에는 당 고종(唐高宗) 때 나온 이선(李善)의 주가 있고, 그 뒤 당 현종(唐玄宗) 때에 여연조(呂延祚)가 여연제(呂延濟)ㆍ유양(劉良)ㆍ장선(張銑)ㆍ여향(呂向)ㆍ이주한(李周翰) 등의 주를 모아 오신주(五臣注)라 했는데, 남송(南宋) 이후에 이선주(李善注)와 오신주를 합쳐 문선육신주라 했음.

문성【文星】문운(文運)을 맡은 별을 말한 것인데, 문창성(文昌星) 혹은 문곡성(文曲星)을 가리킨다. 동관주기(東觀奏記)에 “이경량(李景亮)이 아뢰기를 “문성(文星)이 어두우니 반드시 과장(科場)에 일이 있을 것입니다.’ 하였다.” 했다.

문성【文成】왕양명의 시호이다.

문성【文成函丈】율곡(栗谷) 이이(李珥)를 가리킨다. 문성은 그의 시호(諡號)이다.

문성공【文成公】고려의 유학자(儒學者) 안향(安珦)의 시호. 그는 일찍이 원(元) 나라에 들어가 주자학(朱子學)을 들여왔으며, 유학(儒學)을 일으켰다. 이 공로로 문묘(文廟)에 배향(配享)되었으며 순흥(順興)의 소수서원(紹修書院) 등에 제향되었다.

문성상【聞省想】귀로 듣고, 눈으로 보고 생각하는 것.

문소【聞韶】소는 순(舜)의 악명(樂名)으로, 도(道)를 즐긴다는 뜻이다. 논어(論語) 술이(述而)에 “공자가 제(齊) 나라에서 소를 듣고 3개월 동안이나 고기 맛을 몰랐다.” 하였다.

문소【聞韶】의성(義城)의 고호(古號)이다.

문소전【文昭殿】문소전은 조선 태조(太祖)의 왕후인 신의왕후(神懿王后)의 사당이다.

문속【問俗】임금의 사신(使臣)이 지방의 풍속을 물어 살피는 것을 말한다.

문수【汶水】문수는 먼 길을 떠나 북쪽에 가 있는 것을 비유적으로 표현한 것이다. 논어(論語) 옹야(雍也)의 “한 번 더 나를 부르러 오면 문수 가에 있을 것이다.”는 말에서 유래한 것이다.

문수【文殊】문수는 문수사리(文殊師利)임.

문수【文殊】문수보살. 불교에서 여래(如來)의 왼편에 있는, 지혜(智慧)를 맡은 보살로서 불성(佛性)을 명견(明見)하여 법신(法身)ㆍ반야(般若)ㆍ해탈(解脫)의 삼덕(三德)을 구족(具足)하고, 불가사의한 지혜를 가졌다 한다.

문수회【文殊會】문수는 보살 이름. 문수의 행사를 말함. 문수보살을 찬양하는 법회.

 

05/10/15/20/25/30/35/40/45/50/55/60/65/70/75/80/85/90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 열자

한비자 / 육도삼략 / 소서 / 손자병법 / 전국책 / 설원 / 한서 / 고사성어 / 옛글사전

소창유기 / 격언연벽 / 채근담(명) / 채근담(건) / 명심보감(추) / 명심보감(법) / 옛글채집

 

 

www.yetgle.com

 

 

Copyright (c) 2000 by Ansg All rights reserved

<돌아가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