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글닷컴ː옛글채집/옛글검색

하늘구경  



 

학서[鶴書] ~ 학습수비[學習數飛]
 글쓴이 : 하늘구경
조회 : 3,280  
♞학서[鶴書] 임금이 은사(隱士)를 부르는 조서(詔書)를 학서(鶴書)라 하는데, 고대의 예서(隸書) 자체(字體)에 학두서(鶴頭書)라는 자체가 있는데, 임금이 은사를 부르는 데는 학두서(鶴頭書)를 쓴다.
♞학서[鶴書] 조정에서 보내는 사면장을 말하는데, 죄수를 사면할 때의 행사에 썼던 때문에 온 말이다. 송사(宋史) 예지(禮志)에 “누(樓)에 납시어 사면하고 비단실로 목학(木鶴)을 묶어 놓고 줄을 누 아래로 늘여 놓으면 선인(仙人)이 목학을 타고 제서(制書)를 받들고 내려간다.” 하였다.
♞학성[鶴城] 울산(蔚山)의 옛 이름이다.
♞학성[鶴城] 학성은 안변(安邊)의 고호(古號)이다.
♞학수경[鶴殊脛] 장자(莊子) 변무(騈拇) 편에, 오리 다리는 짧고 학의 다리는 길지만 각기 그 본성이라 하였다.
♞학수고대[鶴首苦待] 학처럼 목을 길게 빼고 애타게 기다림. 사람이나 어떤 상황을 애태우며 기다림을 말한다.
♞학습수비[學習數飛] 배워 얻은 것을 수시로 익히기를 어린 새가 날기를 익히듯 한다는 것임. 논어(論語) 學而 “배워 얻은 것을 수시로 익히면 또한 기쁜 일이 아닌가.” 했는데, 그 주에 “익힘은 새가 자주 나는 것이니 배워서 마지않는 것이 새가 자주 낢과 같다.” 하였다.
 
 



번호 제     목 조회
713 학원유약[鶴猿有約] ~ 학일구[貉一丘] 3345
712 학여불급[學如不及] ~ 학역구[學易瞿] 4281
711 학야[鶴野] ~ 학어승구[鶴馭昇緱] 3327
710 학서[鶴書] ~ 학습수비[學習數飛] 3281
709 학사[壑蛇] ~ 학상요천[鶴上遼天] 3299
708 학무[鶴舞] ~ 학부[涸鮒] 3167
707 학랑배조[謔浪排調] ~ 학림[鶴林] 3593
706 학곡[鶴谷] ~ 학두서[鶴頭書] 3604
705 학가[鶴駕] ~ 학경불가단[鶴脛不可斷] 4538
704 하후탄주[夏后呑珠] ~ 하흠[賀欽] 3368
703 하회고택[河回故宅] ~ 하후씨이송[夏后氏以松] ~ 하후영[夏侯嬰] 4507
702 하하[下下] ~ 하황[蝦荒] 3205



   381  382  383  384  385  386  387  388  389  390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열자

한비자 / 육도삼략 / 소서 / 손자병법 / 전국책 / 설원 / 한서 / 고사성어 / 옛글사전

소창유기 / 격언연벽 / 채근담(명) / 채근담(건) / 명심보감(추) / 명심보감(법) / 옛글채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