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글닷컴ː명언명구/사전

하늘구경 

 

 

 

 

 

 

파군오자【巴郡吳資】화양국지(華陽國志) 에" 오자(吳資)가 파군 태수(巴郡太守)로 있으면서 자주 풍년(豐年)이 들자 사람들이 ‘새벽 바람 솔솔 불어오더니, 단비 내려 벼싹[禾苗]을 적시누나. 우리 임금 시무를 걱정하시어, 그 덕으로 우리들은 살기 편하다오.[習習晨風動 澍雨潤禾苗 我后恤時務 我人以優饒]’ 했다.” 하였다.

파금당작초당【把琴堂作草堂】벼슬을 그만두고 은거하기를 희망한 말이다. 금당은, 공자(孔子)의 문인 복자천(宓子賤)이 단보재(單父宰)로 있으면서 거문고만 타고 당(堂) 아래를 내려가지 않고도 고을이 잘 다스려졌다는 고사에서, 즉 정무(政務) 집행하는 곳을 가리킨다. 《呂覽 察賢》

파금은섬【破琴隱剡】거문고를 부수고 섬산(剡山)에 은거한 것은 진(晋) 나라 때 은사 대규(戴逵)의 고사이다.

파낭회종각【破浪懷宗慤】장쾌한 뜻을 품고 먼 길을 떠나는 것을 말한다. 남조(南朝) 송(宋) 나라 때, 종각(宗慤)이 어렸을 적에 숙부인 종병(宗炳)이 뜻을 묻자, 대답하기를, “저는 큰 바람을 타고 만리의 큰 파도를 깨뜨리고 싶습니다.” 하였다. 《宋書 卷76 宗慤列傳》

파내국【波奈國】파라나국(波羅奈國)의 약칭. “부처께서 파라나국에 계셔 숲과 못 속에서 여러 천인(天人)들을 위하여 묘한 법을 나타내어 이르셨다.”《法苑珠林》

파노설등주【坡老說登州】파로(坡老)는 소동파를 가리키는데, 그의 시집 속에 등주(登州)에서 지은 시가 여러 편 보이며, 원풍(元豐) 말년에 등주에서 입조(入朝)했다는 기록도 보인다. 《司馬溫公神道碑》

파도무【播鼗武】어진 사람이 속세를 피하여 은둔한다는 뜻이다. 논어(論語) 미자(微子)에, “북을 치는 방숙(方叔)은 하내(河內)로 들어가고, 작은 북을 흔드는 무(武)는 한중(漢中)으로 들어갔다.” 하였다.

파동한회【怕動寒灰】세월이 빠름을 안타깝게 여기는 말이다. 후기(候氣)의 법에 의하면, 방[室]을 삼중으로 밀폐시킨 다음, 그 안에 각 율관(律管)을 설치하고 거기에 갈대 재[葭灰]를 넣어두면, 기(氣)가 이를 때마다 그 재가 날아 흩어진다고 한다.

파두【爬頭】머리를 긁적이다.

파라밀【波羅蜜】불가의 말로, 건너 피안(彼岸)에 올랐다는 뜻. 《心經 註》

파락호【破落戶】깨어지고 몰락한 집안. 권세 있던 집안의 자식들이 행실이 바르지 못하고 방탕한 생활을 하여 파산되고 몰락하여 결딴난 사람을 이름. 즉, 경우 없이 노는 건달이나 불량배 또는 행세하는 집안의 무례하고 못된 자제를 뜻함.

파란만장【波瀾萬丈】파도의 물결치는 것이 만장(萬丈)의 길이나 된다. 일의 진행에 변화가 심함을 비유하는 말로 쓰인다. 파란만장(波瀾萬丈)

파랑풍【破浪風】남조 송(南朝宋) 종각(宗慤)이 소년 때에 “나의 소원은 장풍을 타고서 만 리의 물결을 헤쳐 보는 것이다.[願乘長風破萬里浪]”라고 말한 고사가 있다. 《宋書 宗慤傳》

파려【玻瓈】불교에서 말하는 칠보(七寶) 가운데 하나로, 수정(水晶)이나 수옥(水玉)을 말한다.

파렴치【破廉恥】염치가 없어 도무지 부끄러움을 모른다는 뜻의 고사성어.

 

05/10/15/20/25/30/35/40/45/50/55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 열자

한비자 / 육도삼략 / 소서 / 손자병법 / 전국책 / 설원 / 한서 / 고사성어 / 옛글사전

소창유기 / 격언연벽 / 채근담(명) / 채근담(건) / 명심보감(추) / 명심보감(법) / 옛글채집

 

 

www.yetgle.com

 

 

Copyright (c) 2000 by Ansg All rights reserved

<돌아가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