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글닷컴ː명언명구/사전

하늘구경 

 

 

 

 

 

 

노소【老蘇】노소는 본디 소식(蘇軾)의 아버지인 소순(蘇洵)을 가리킨다.

노소년【老少年】노소년은 안래홍초(雁來紅草)의 별칭.

노수【魯叟】노나라 늙은이, 곧 공자(孔子)를 이름.

노수부【魯叟桴】노수는 공자(孔子)를 이른 말로, 공자가 말하기를 “도가 행해지지 않으니, 내가 떼를 타고 바다에 뜨리라.” 한 데서 온 말인데, 전하여 바다에 나가 노니는 데에 비유한 다. 《論語 公冶長》

노수신【盧守愼】자는 과회(寡悔), 호는 소재(蘇齋)로서 의정까지 되었으며 76세의 나이로 죽었다.

노수욕승부【魯叟欲乘桴】노수(魯叟)는 공자를 말한다. 논어(論語) 공야장(公冶長)에 “도가 행해지지 않으니, 내가 장차 뗏목을 타고 바다로 나가볼까 한다.”라고 하였다.

노수절량【魯叟絶糧】노수는 공자(孔子)를 가리키는 말인데, 공자가 진(陳)ㆍ채(蔡)의 두 나라 사이를 지나다가 광도(狂徒)에게 포위를 당하여 7일간이나 식량이 떨어졌던 일을 말한다. 《論語 衛靈公》

노수철환【魯叟轍環】노나라 늙은이는 곧 공자(孔子)를 이르는 말로, 공자가 세상에 도(道)를 행하기 위하여 일생 동안 천하를 두루 돌아다녔던 일을 말한다.

노수한묘수【魯叟恨苗秀】노수는 공자를 이르는데, 공자가 학문을 시작만 해 놓고 이루지 못하는 것을 가리켜 이르기를 “싹만 나오고 꽃을 피우지 못한 자가 있고, 꽃만 피우고 결실을 못한 자도 있다.” 한 데서 온 말이다. 《論語 子罕》

노숙【露宿】한데서 자다. 길에서 잠을 잠.

노숙무추능탁지【老宿無錐能卓地】노숙은 나이와 덕이 높은 유자(儒者)를 이름. 전국 시대에 손경자(孫卿子)가 진 소왕(秦昭王)의 물음에 답하기를, “유자란 아무리 궁곤하여도 부정한 방도로 탐하지 않고, 송곳 하나 세울 만한 땅이 없어도 사직(社稷)을 지키는 대의에 밝다.” 한 데서 온 말이다. 《荀子 儒效》

노순【鱸蓴】농와 순채. 진(晉)의 장한(張翰)이 자기 고향의 순채국과 농어회가 생각나 벼슬을 버리고 고향으로 돌아갔었음. 《晉書 張翰傳》

노순몽【鱸蓴夢】진(晋) 나라 장한(張翰)이 중원(中原)에 와서 벼슬하다가 가을 바람이 일어남을 보고, 고향인 강동(江東)의 순채(蓴菜)와 농어(鱸魚)의 맛이 그립다 하고 곧 행장을 차려 돌아갔다.

노승발검【怒蠅拔劍】파리 때문에 성질이 난다고 칼을 뽑아 듦. 작은 일을 갖고 수선스럽게 화내는 것을 비유한다.

노시경편【魯詩駉篇】경(駉)은 시경(詩經) 노송(魯頌)의 편명으로, 노(魯) 나라 사관(史官) 극(克)이 희공(僖公)의 목마(牧馬)를 칭송한 시이다.

노시동궁【盧矢彤弓】노시는 검은 화살이고, 동궁(彤弓)은 붉은 활인데, 주 평왕(周平王)이 진 문후(晉文侯)를 방백(方伯)에 임명하면서 동궁과 노시를 하사한 데서 온 말이다. 《書經 文侯之命》

노시승리대【魯詩承鯉對】가전지학(家傳之學)을 이른 말로, 공자가 아들인 공리(孔鯉)에게 시경을 읽었느냐고 묻자, 아직 읽지 못했다고 대답한 데서 온 말이다.

노심초사【勞心焦思】몹시 마음을 졸이고 애태우며 생각함. 어떤 일에 걱정과 고민을 심하게 많이 하는 것을 일컫는다.

노야어가【魯野漁歌】어떤 유자(孺子)가 어부가를 노래하기를, “창랑(滄浪)의 물이 맑으면 내 갓끈을 씻을 것이요, 창랑의 물이 흐르면 내 발을 씻을 것이다.” 하자, 공자가 말하기를, “소자(小子)들아, 들어 보아라. 맑으면 갓끈을 씻게 되고, 흐리면 발을 씻게 되는 것이니, 모두가 스스로 취하는 것이다.”고 한 데서 온 말이다. 《孟子 離婁 上》

 

05/10/15/20/25/30/35/40/45/50/55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 열자

한비자 / 육도삼략 / 소서 / 손자병법 / 전국책 / 설원 / 한서 / 고사성어 / 옛글사전

소창유기 / 격언연벽 / 채근담(명) / 채근담(건) / 명심보감(추) / 명심보감(법) / 옛글채집

 

 

www.yetgle.com

 

 

Copyright (c) 2000 by Ansg All rights reserved

<돌아가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