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글닷컴ː명언명구/사전

하늘구경 

 

 

 

 

 

 

농수【隴水】중국 서부 산악지대인 감숙성(甘肅省)과 섬서성(陝西省)에 위치한 농산(隴山)에서 흘러나오는 물로, 일반적으로 깊은 산속에서 흘러나온 강물을 뜻한다.

농수음【隴水吟】농수음은 농두음(隴頭吟)으로, 한 나라의 횡취적곡(橫吹笛曲)이며, 이연년(李延年)이 지었다고 한다.

농승【聾丞】한(漢) 나라 때 황패(黃霸)가 영천 태수(潁川太守)가 되었는데, 허씨(許氏) 성을 가진 승리(丞吏)가 늙어서 귀머거리가 되었으므로, 독우(督郵)가 그를 쫓아내려 하자, 황패가 말하기를 “허승(許丞)은 청렴한 관리이다. 그는 비록 늙었지만 오히려 배기(拜起)ㆍ송영(送迎)에 능란하니 귀가 어두운 것이 무어 해롭겠는가. 잘 도와주라.” 하였다.

농아전【籠鵝全】진(晉) 나라 때 왕희지(王羲之)가 거위를 매우 좋아하여 산음(山陰)의 도사(道士)에게 도덕경(道德經)을 써 주고 그 대가로 거위를 싸 간 고사에서 온 말이다.

농암【農巖】조선 숙종(肅宗) 때의 성리학자(性理學者) 김창협(金昌協)의 호.

농암집【農巖集】김창협(金昌協)의 문집

농옥【弄玉】진목공(秦穆公) 때에 소사(簫史)가 퉁소를 잘 불므로, 그 소리를 듣고 봉황새가 날아 왔다 한다. 목공의 딸 농옥(弄玉)이 소사를 좋아하므로 짝을 지어 주었더니 부부가 봉황을 타고 신선이 되어 갔다 한다.

농옥【弄玉】춘추시대 진목공(秦穆公)의 딸로 퉁소를 잘 불었음.

농와지경【弄瓦之慶】딸을 낳은 기쁨

농와지희【弄瓦之喜】딸을 낳은 기쁨. 옛날 중국에서 딸을 낳으면 장난감으로 실패를 주었다는 데서 온 말

농우【隴右】농서(隴西) 지방으로, 감숙성(甘肅省) 일대를 가리킨다. 이씨(李氏)의 자칭 본관(本貫).

농우희음객【隴右喜吟客】농서(隴西)에서 태어난 시인 이백(李白)은 일찍이 ‘황운성가에 까마귀가 깃들려고 날아와서 까악까악 가지 위에 운다.[黃雲城邊烏欲棲 歸飛啞啞枝上啼]’로 시작되는 시를 지었다. 《李太白集 卷三 鳥夜啼》

농장【弄璋】생남(生男)을 말한다. 시경(詩經) 소아(小雅) 사간(斯干)에 “남자를 낳으면 구슬[璋]을, 여자를 낳으면 실패[瓦]을 가지고 놀게 한다.” 한 말이 있으므로 아들을 농장(弄璋), 딸을 농와(弄瓦)라 한다.

농장성【農丈星】즉 농장인성(農丈人星)으로 남두성(南斗星) 서남쪽에 있는 별이름인데, 추수(秋收)를 맡고 있다고 한다. 《晉書 天文志》

농장인【農丈人】진서(晉書) 전문지(天文志)에 “농장인의 한 별이 남두(南斗)의 서남쪽에 있는데 노농(老農), 가색(稼穡)을 맡는다.” 하였음. 또는 농가(農家)의 늙은이를 말함.

농장인성【農丈人星】별 이름. 남두성(南斗星) 서남쪽에 있는 별로 추수(秋收)를 주관한다고 한다.

농장지경【弄璋之慶】사내 아이를 낳았을 때 장(璋)으로 만든 구기를 주어 놀게 했다는 데서 나온 말로 사내 아이를 낳은 경사를 뜻 함.

농장지희【弄璋之喜】아들 낳은 즐거움. 옛날 사내아이를 낳으면 장난감으로 장(璋)이란 일종의 장난감을 주며 놀게 했음.

농적【隴笛】농적은 농서 지방의 젓대 소리를 말한다.

농조연운【籠鳥戀雲】새장 속에 있는 새는 구름을 그리워 한다. 곧 몸이 속박 당한 사람은 자유를 갈망한다는 뜻이다.

농조추【弄鳥雛】옛날 초(楚) 나라의 효자(孝子) 노래자(老萊子)가 나이 70에 부모 앞에서 어린애 옷을 입고 새 새끼를 희롱하여 부모의 마음을 기쁘게 한 일에서 온 말이다.

 

05/10/15/20/25/30/35/40/45/50/55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 열자

한비자 / 육도삼략 / 소서 / 손자병법 / 전국책 / 설원 / 한서 / 고사성어 / 옛글사전

소창유기 / 격언연벽 / 채근담(명) / 채근담(건) / 명심보감(추) / 명심보감(법) / 옛글채집

 

 

www.yetgle.com

 

 

Copyright (c) 2000 by Ansg All rights reserved

<돌아가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