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팔고【八苦】중생(衆生)들이 받는 8종의 고통. 생고(生苦)ㆍ노고(老苦)ㆍ병고(病苦)ㆍ애별리고(愛別離苦)ㆍ원증회고(怨憎會苦)ㆍ구부득고(求不得苦)ㆍ오음성고(五陰盛苦). 팔공【八公】왕일(王逸)의 초은사서(招隱士序)에, “옛날에 회남왕(淮南王) 유안(劉安)이 박아(博雅)하고 호고(好古)하니, 팔공(八公)의 무리가 모두 그 덕을 흠모하고 그 인(仁)에 귀의(歸依)하였다.” 하였는데 팔공은 좌오(左吳)ㆍ이상(李尙)ㆍ소비(蘇飛)ㆍ전유(田由)ㆍ모피(毛披)ㆍ뇌피(雷被)ㆍ진창(晉昌)ㆍ오피(伍被)임. 팔공초목진감시【八公草木盡堪猜】팔공산은 안휘성(安徽省) 동남방에 있는 산 이름인데, 진 효무(晉孝武) 태원(太元) 8년(383)에 부견(苻堅)이 이 산의 초목을 보고 모두 진(晉) 나라의 군사로 의심하였다. 팔관【八關】팔관재(八關齋)의 약칭. 부처를 받드는 자가 갖는 재로서 남조(南朝) 때에 성행하였는데 우리나라에서는 고려 때 성행하였음. 팔관대회【八關大會】고려 때 행해진 국가적 의식의 하나이다. 고려 태조는 불교를 신앙하는 동시에 팔관회, 연등회(燃燈會)와 같은 종래의 신인공락(神人共樂)적인 의식도 중시하여 이를 국가 제전(祭典)으로 삼았다. 팔괘【八卦】8괘(卦)는 주역(周易)의 건(乾)ㆍ태(兌)ㆍ이(離)ㆍ진(震)ㆍ손(巽)ㆍ감(坎)ㆍ간(艮)ㆍ곤(坤)의 8괘(卦)를 말한다. 복희씨(宓犧氏)가 임금이 되자 용마(龍馬)가 그림을 지고 하수(河水)에서 나왔다. 복희씨는 이 그림을 보고 법받아서 팔괘를 그었는데, 이것을 ‘복희선천(伏犧先天)’이라 한다. 팔굉【八紘】팔방(八方)의 아주 먼 곳을 가리킨다. 구주(九州)의 바깥에는 팔인(八殥)이 있고, 팔인의 바깥에는 팔굉이 있다고 한다. 《淮南子》 팔교【八敎】기자(箕子)가 지었다고 하는 고조선의 법률인 범금팔 조(犯禁八條)를 말한다. 고조선에는 일찍부터 8개의 금법(禁法)이 있어 각종 범죄를 처벌하였는데, 그 가운데 현재 ‘사람을 죽인 자는 죽인다[相殺償以命], 사람을 상하게 한 자는 곡물로 보상한다[相傷以穀償], 남의 물건을 훔친 자는 그 집의 노비로 삼는다[相盜者沒爲其家奴婢]’는 3개 조항만이 전하고 나머지는 전하지 않는다. 팔교【八敎】팔교는 천태종(天台宗)의 화의(化儀) 4교와 화법(化法) 4교를 합하여 말한 것이다. 팔구【八區】팔방(八方)의 밖으로 천하를 가리킨다. 팔구탄흉중【八九呑胸中】가슴에 운몽(雲夢) 팔구(八九)쯤은 삼킨다는 말이 있으며, 그것은 기개가 장하고 가슴이 넓다는 말이다. 팔극【八極】팔방(八方)의 끝으로 우주(宇宙)를 말한다. 팔기【八旗】청(淸) 나라 태조(太祖) 때, 정해진 병제(兵制)인 팔기병(八旗兵)을 가리킨다. 청 나라의 병제에 우익(右翼)에는 정황(正黃)ㆍ정백(正白)ㆍ정홍(正紅)ㆍ정람(正藍) 색깔의 기를, 좌익(左翼)에는 양황(鑲黃)ㆍ양백(鑲白)ㆍ양홍(鑲紅)ㆍ양람(鑲藍) 색깔의 기를 단다. 《淸會典 八旗都統》 팔난전저책【八難前箸策】진(秦) 나라 말 유방(劉邦)과 항우(項羽)가 천하를 놓고 서로 다툴 때 역이기(酈食其)가 유방에게 육국(六國)의 후대를 세워 함께 항우를 공격할 것을 건의하였다. 유방은 때마침 밥을 먹는 중이었는데 장량(張良)이 들어와 그 이야기를 듣고 유방이 들고 있는 젓가락을 달라고 하여 땅바닥에 그려가며 여덟 가지의 곤란한 이유를 설명하자, 유방은 먹던 밥을 토하고 역이기를 크게 꾸짖었다는 데서 나온 것으로, 조정에서 국가를 위한 절묘한 계책을 세우는 것을 뜻한다. 《漢書 卷四十 張良傳》
05/10/15/20/25/30/35/40/45/50/55
|
|
|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 열자 |
|
|
|
|
Copyright (c) 2000 by Ansg All rights reserved <돌아가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