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글닷컴ː명언명구/사전

하늘구경 

 

 

 

 

 

 

표낭【縹囊】책을 담는 청백색의 비단 갑. 양소명태자문선(梁昭明太子 文選) 서(序)에 “사인재자가 이름이 표낭에 넘친다.[詞人才子 名溢於縹囊]" 하였다.

표도【豹韜】병서(兵書) 육도(六韜)안에 들어 있는 편명으로, 곧 용병술을 뜻한다. 군사를 통솔하는 자의 이름으로 부르기도 한다.

표독【豹纛】독(纛)은 군대 가운데 세우는 큰 기, 표(豹)는 표범꼬리를 장식으로 한 큰 기. 바뀌어서 장군의 위엄을 나타내게 되었다.

표륜【飆輪】바람을 몰아서 간다고 하는 신선 수레를 말한다.

표리부동【表裏不同】겉과 속이 같지 않음. 마음이 음흉하여 겉모습과 속마음이 다름.

표모【漂母】표모는 빨래하는 부인을 말한다. 한신이 미천했던 시절, 남창(南昌)의 정장(亭長)에게 밥을 얻어먹었으나 그 부인이 싫어하므로 떠나가 회음성(淮陰城) 밑에서 낚시질하였는데 몹시 배가 고팠다. 이를 본 표모가 가엾게 여겨 밥을 주자, 한신은 고맙게 여겨 “내가 반드시 이 은혜를 중하게 갚겠다.” 하니, 표모는 성내며 “내가 왕손(王孫)을 가엾게 여겨 밥을 주었는데, 어찌 보답을 바라겠는가.” 하였다. 그 후 한신은 초왕(楚王) 항우(項羽)에게 갔으나 중용(重用)하지 않으므로 다시 패공(沛公)에게 가서 대장군(大將軍)이 된 다음, 많은 전공(戰功)을 세웠으며 결국 초 나라를 멸망시키는 결정적 역할을 하였다. 이 공로로 초왕(楚王)에 봉해진 한신은 고향인 회음에 가서 표모에게는 천금(千金)을 주어 보답하고 남창 정장에게는 꾸짖은 다음 백금을 주었다. 《漢書 淮陰侯傳》

표묘신옹유향각【縹緲神翁劉向閣】한(漢) 나라 유향(劉向)이 천록각(天祿閣)에 앉아 글을 교정하는데, 밤에 한 노인이 찾아와서 지팡이 끝에 불을 붙여 비추어 주었다. 유향이 성명을 묻자 ‘나는 태을(太乙)의 정기다.’하였다 한다. 《三輔黃圖》

표미【豹尾】천자(天子)의 행차 뒤에 따르는 속거(屬車)를 말한다. 한서(漢書) 양웅전(揚雄傳)에 “속거의 사이나 표미의 속에 끼어 있다.” 하였다.

표반【豹斑】개나 돼지[犬彘]는 가리지 않고 먹으면서 살을 찌우다가 갑자기 잡혀 먹히지만, 남산(南山)의 검은 표범[玄豹]은 일주일 동안이나 비가 내려 먹을 것이 없어도 산 아래로 내려가 먹을 것을 구하지 않으니, 이는 자신의 털 무늬를 아름답게 보존하기 위해서라는 이야기가 있다. 《列女傳 卷2 陶答子妻》

표반【豹斑】표반은 산림에 숨어사는 표범의 무늬처럼 시문이 아름다운 것을 뜻하는 말이다. 열녀전(烈女傳) 현명(賢明)에 “남산의 현표(玄豹)가 7일의 무우(霧雨)에도 먹이를 찾아 내려가지 않는 것은 그 털을 윤택하게 하여 문장을 이루고자 함이다.”라는 말이 있다.

 

05/10/15/20/25/30/35/40/45/50/55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 열자

한비자 / 육도삼략 / 소서 / 손자병법 / 전국책 / 설원 / 한서 / 고사성어 / 옛글사전

소창유기 / 격언연벽 / 채근담(명) / 채근담(건) / 명심보감(추) / 명심보감(법) / 옛글채집

 

 

www.yetgle.com

 

 

Copyright (c) 2000 by Ansg All rights reserved

<돌아가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