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글닷컴ː명언명구/사전

하늘구경 

 

 

 

 

 

 

풍성검【豐城劍】풍성은 진(晉) 나라 때 있었던 현(縣)으로 현재의 강서성(江西省) 남창현(南昌縣) 남쪽에 있었다. 진서(晋書) 장화전(張華傳)에 “장화가 ‘붉은 기운이 언제나 북두성에 뻗쳐있으니 이것이 무슨 기운인가?’ 하고 묻자, 천문에 밝은 뇌환(雷煥)은 ‘보검(寶劍)의 기운이 하늘에 비쳐서입니다.’ 하였다. 몇 해 뒤에 장화는 풍성 원이 되어 옥(獄) 터를 파다가 두 자루의 칼을 얻었는데, 하나는 용천(龍泉), 하나는 태아(太阿)라 새겨진 보검이었다. 이 보검을 발굴한 뒤로는 북두성 사이의 붉은 기운이 보이지 않았다.” 하였다.

풍성기【豐城氣】서기(瑞氣)가 하늘로 뻗친 것을 말한다. 진(晉)의 풍성령(豐城令) 뇌환(雷煥)이 두우성(斗牛星) 사이에 뻗친 검기(劍氣)를 발견하고 나서, 풍성의 옥(獄)터를 발굴하여 용천(龍泉)ㆍ태아(太阿) 두 자루의 명검(名劍)을 획득했다고 한다. 《晉書 張華傳》

풍성망두우【豐城望斗牛】중국 예장군(豫章郡) 풍성현(豐城縣)에 보검(寶劍)이 땅에 묻혀 밤마다 자기(紫氣)를 두우(斗牛) 사이에 쏘아서 비췄다는 전설이 있기 때문에 그렇게 말한 것이다. 《晉書 卷36 張華列傳》

풍성양신검【豊城兩神劒】걸출한 인재 또는 걸출한 인재가 알아주는 사람을 기다려서 뜻을 폄을 비유. 오(吳)나라가 멸망하지 않았을 때 두성(斗星)과 우성(牛星) 사이에 항상 붉은 기운이 있으므로 혹자는 “오나라가 바야흐로 강성한 소치다.” 하였는데, 급기야 오 나라가 망하자 붉은 기운은 더욱 뚜렷했다. 그래서 장화(張華)는 뇌환(雷煥)이 위상(偉象)을 통달했다는 말을 듣고 초청하여 함께 천문(天文)을 보니 뇌환은 말하기를 “두성ㆍ우성의 사이에 이상한 기운이 있는 것은 바로 보검(寶劒)의 정기가 위로 하늘에 통하기 때문이다.” 하므로 장화가 “어느 고을에 있겠는가”하고 물으니 뇌환은 “풍성에 있다.”고 했다. 장화는 곧 뇌환에게 부탁하여 비밀리에 찾기 위해 풍성령(豊城令)으로 보직되게 하니, 뇌환은 풍성현에 도임하여 옥옥(獄屋)의 기지를 파서 하나의 석함(石函)을 얻었었다. 그 속에 쌍검(雙劒)이 들어 있고 아울러 제각(題刻)이 있는데, 하나는 ‘용천(龍泉)’ 하나는 ‘태아(太阿)’라 하였다. 그날 저녁부터 두성ㆍ우성의 사이에 기운이 다시 나타나지 아니했다. 《晋書 張華傳》

풍성학려【風聲鶴唳】바람 소리와 울음소리란 뜻으로, 겁을 먹은 사람이 하찮은 일이나 작은 소리에도 몹시 놀람.

풍소소역수한【風蕭蕭易水寒】’바람은 쓸쓸하고 역수는 차도다’라는 뜻의 시의 한 구절로써, 장부가 큰 뜻을 품고 먼 길을 떠나는 마음을 표현한 고사성어.

풍속통【風俗通】풍속통의(風俗通議)의 약칭. 후한 응소(應劭)의 찬. 풍속의 과류(過謬)를 논한 것으로 본래 30권이었으나, 뒤에 산일되고 현존 10권 부족, 1권은 후인의 집록(輯錄)이라 함.

 

05/10/15/20/25/30/35/40/45/50/55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 열자

한비자 / 육도삼략 / 소서 / 손자병법 / 전국책 / 설원 / 한서 / 고사성어 / 옛글사전

소창유기 / 격언연벽 / 채근담(명) / 채근담(건) / 명심보감(추) / 명심보감(법) / 옛글채집

 

 

www.yetgle.com

 

 

Copyright (c) 2000 by Ansg All rights reserved

<돌아가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