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남풍【南風】남풍은 진 혜제(晉惠帝)의 후비인 가황후(賈皇后)의 이름. 가황후는 본디 황음하고 방자하여 간계를 써서 조서(詔書)를 위조하여 양황태후(楊皇太后)와 희회태자(熙懷太子)를 폐출하여 금용성에 안치시켰다가 끝내 모두 죽였는데, 이로 인해 결국 조왕 윤(趙王倫)에 의해 가황후는 폐해졌다가 사사(賜死)되었고, 혜제도 조왕 윤에게 제위를 찬탈당하고 금용성에 안치되었다. 이에 앞서 가황후의 비행을 두고 낙중(洛中)에 유행한 민요에는 “남풍이 맹렬하게 누런 모래 불어대니 …… 석달 뒤에는 너의 집을 멸망시키리라[南風烈烈吹黃沙……前至三月滅汝家].” 하였다. 《晉書 卷三十一》 남풍【南豐】송 나라 때의 증공(曾鞏)을 이르는 말이다. 증공은 당송 팔대가(唐宋八大家)의 한 사람으로, 남풍 지방 출신이므로 사람들이 남풍 선생이라 불렀다. 남풍【南風】순(舜)이 오현금(五弦琴)을 타며 노래했다는 시. “남풍이 훈훈함이여, 내 백성의 노염을 풀어 주리로다. 남풍이 철 맞춰 붊이여, 내 백성의 재물을 풍성하게 하리로다.” 하였다. 남풍곡【南風曲】순 임금이 지었다고 전하는 노래 이름이다. 옛날에 순 임금이 오현금(五絃琴)을 뜯으면서 남풍의 시를 지었는데, 그 시에 “남풍이 솔솔 붊이여, 우리 백성들의 울분을 풀 수 있겠도다. 남풍이 때맞추어 붊이여, 우리 백성들의 재산을 늘릴 수 있겠도다.[南風之薰兮 可以解吾民之慍兮 南風之時兮 可以阜吾民之財兮]”하였다. 《孔子家語 辨樂解》 남풍불경【南風不競】남방지역의 풍악은 미약하고 생기가 없다는 뜻으로 일반적으로 힘 또는 세력을 떨치지 못하다는 뜻의 고사성어. 남풍시【南風詩】우순(虞舜)이 지었다는 시. “남풍의 훈훈함이여, 우리 백성들 걱정 풀리겠네[南風之薰兮 可以解吾民之溫兮]”라고 한 시. 남해【南陔】남해는 시경(詩經) 소아(小雅)에 나오는 생시(笙詩 제목만 있고 가사는 없어진 시)의 편명으로, 어버이를 봉양하는 효자의 심정을 내용으로 하고 있다. 남해【南陔】효자가 서로 경계하여 부모를 봉양하는 시인데 그 시는 없다. 이에 대한 속석(束晳)의 보망시(補亡詩)에 “從彼南陔 言採其蘭" 의 구가 있음 남해조운탑【南海朝雲塔】애첩(愛妾)과 정다운 한때를 보낸 것을 말한다. 초왕(楚王)과 무산(巫山)의 신녀(神女)가 운몽(雲夢)의 누각 위에서 만나 남녀간의 지극한 환락(歡樂)을 나누었는데, 그 신녀가 떠나면서 “아침에는 구름이 되고 저녁에는 비로 내리면서[旦爲朝雲 暮爲行雨] 언제나 이 누각을 떠나지 않겠다.”고 말했다는 전설이 송옥(宋玉)의 고당부(高唐賦)에 나온다. 《文選 卷19》 남해편【南陔篇】생시(笙詩)의 편명으로, 효자(孝子)가 부모 봉양할 일을 서로 경계하는 노래인데, 본시(本詩)는 없어졌고 다만 진(晉) 나라 속석(束晳)의 보망시(補亡詩)가 있을 뿐이다. 남행【南行】남쪽 항렬(行列). 이 경우에는 ‘남항’이라 읽어야 할 터인데 ‘남행’이라 읽는 것은 관습이다. 제도상(制度上) 관용(慣用)하는 경우는 여러 가지가 있다. 1) 문관ㆍ무관의 정직(正職)이 아닌 잡직(雜職)에 있는 사람들, 2) 문과(文科)ㆍ무과(武科)에 급제하지 않고 부조(父祖)의 음덕(蔭德) 또는 본인의 학행(學行)때문에 벼슬이 오른 사람들,3) 회례(會禮)ㆍ회좌(會座) 때에 남쪽에 자리하는 사람들 등을 이르는 말로 쓰이며, 그 반열(班列) 자체를 뜻하기도 하고 그 반열에 속하는 개인 또는 전원을 뜻하기도 한다. 또 문ㆍ무의 반열을 동반(東班)ㆍ서반(西班)이라 칭하는 데에 대하여 잡직인 사람을 남반(南班)이라 칭하기도 하고, 회좌 때의 북벽(北壁)ㆍ동벽(東壁)ㆍ서벽(西壁)에 대하여 남쪽에 상(床)을 두고 앉는 좌차(座次)에 해당하는 사람을 남상(南床)이라 칭하기도 한다. 남헌【南軒】남헌은 송유(宋儒) 장식(張栻)에 대한 학자들의 존칭인 남헌 선생(南軒先生)의 약칭인데, 그의 남헌집(南軒集) 10권 ‘형주 석고산제갈충무후사기(荊州石鼓山諸葛忠武侯祠記)’에 제갈공명에 대한 곡진한 평가가 자세히 내려져 있다.
05/10/15/20/25/30/35/40/45/50/55
|
|
|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 열자 |
|
|
|
|
Copyright (c) 2000 by Ansg All rights reserved <돌아가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