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글닷컴ː명언명구/사전

하늘구경 

 

 

 

 

 

 

내무증【萊蕪甑】생활이 청빈(淸貧)한 것을 말한다. 한(漢) 나라 때 범염(范冉)은 자가 사운(史雲)으로, 내무현(萊蕪縣)의 장(長)이 되었다가 뒤에 당인(黨人)의 금고(禁錮)에 걸려 생활이 아주 청빈하였는데, 궁하게 살면서도 태연자약하였으며, 말과 용모가 조금도 바뀌지 않았다. 이에 당시 사람들이 노래하기를, “시루에 먼지가 이는 범사운이요, 솥에 고기가 사는 범 내무이네[甑中生塵范史雲 釜中生魚范萊蕪].”라 하였다. 《後漢書 獨行傳 范冉》

내미【內美】주자집주(朱子集註)에, “生得日月之良 是天賦我美質於內也”라고 보임.

내복【內服】왕기(王畿) 이내의 지방으로, 중국 본토를 말한다.

내복【萊服】춘추 시대 초(楚) 나라 노래자(老萊子)가 나이 70에 어버이를 기쁘게 해 드리기 위하여 색동옷을 입고 재롱을 떨었던 고사에서 나온 말이다. 《初學記 卷17》

내부【萊婦】주대(周代)에 초(楚)의 은사(隱士) 노래자(老萊子)의 아내인데, 자신의 아내를 낮춰서 일컫는 말.

내빈삼천【騋牝三千】시경(詩經) 정지방중(定之方中)에 “사람의 마음가짐 성실할 뿐만이 아닌지라, 우람한 말 삼천 마리 들어찼도다.[匪直也人 秉心塞淵 騋牝三千]”하였다.

내사【內史】선성 태수(宣城太守)를 지낸 남제(南齊)의 사조(謝朓)를 가리키는데, 사조는 시가 청아하고 아름다웠는데, 특히 오언시(五言詩)를 잘 지었다.

내사【內賜】임금이 물건을 신하에게 하사하는 것.

내사유상불계진【內史流觴祓稧辰】내사는 왕희지를 이름인데 그가 지은 난정서(蘭亭序)에 “流觴曲水" 가 있음.

내사황감【內史黃甘】내사는 회계내사(會稽內史)를 지낸 왕희지를 말하고 황감은 그의 황감첩(黃甘帖)을 말함.

내성【㮈城】강원도 평창군(平昌郡) 동쪽 17리에 있는 미탄현(味呑峴)에 자연석(紫硯石)이 유명하다. 《輿覽 平昌》

내성불구【內省不疚】마음 속에 조금도 부끄러울 것이 없음. 즉 마음이 결백함을 뜻한다.

내성외왕【內聖外王】안에는 성인(聖人)의 덕을 쌓고 밖에는 왕자의 도를 행함을 이른다.

내소【來蘇】와서 살려주기를 바라는 뜻. 서경(書經) 중훼지고(仲虺之誥)에 “우리 임금 오시니 우리를 살려주겠지.[后來其蘇]" 하였다.

내신인투수【來信人投水】진(晉) 나라 때 은선(殷羨)이 예장 태수(豫章太守)가 되어 떠날 때 서울 사람들이 부친 편지가 1백여 통이나 되었는데, 석두(石頭)에 이르러 모두 물 속에 던지고는 말하기를, “뜰 놈은 뜨고 가라앉을 놈은 가라앉거라. 은홍교(殷洪喬)는 편지나 전달하는 우체부는 될 수 없다.” 하였다는 이야기가 있다.

내씨【來氏】내씨는 명(明) 나라 때의 학자인 내지덕(來知德)을 이름.

내열【內熱】마음속의 해소되지 않는 갈등을 뜻한다. 장자(莊子) 인간세(人間世)의 “내가 아침에 왕의 명령을 받고 나서 저녁에 얼음물을 마시게 되었으니, 아마도 내 속이 뜨거워진 모양이다.[吾朝受命而夕飮冰 我其內熱與]”라는 말에서 비롯되었다.

내열자【內熱子】벼슬살이를 하는 사람들의 고달픈 심정을 동정한 말이다. 장자(莊子) 인간세(人間世)에 “오늘 내가 아침에 사명(使命)을 받들고서 저녁에 얼음물을 마셨으니, 아마도 내 속이 벌써 뜨거워진 것 같다.[今吾朝受命而夕飮冰 我其內熱與]”는 말이 있다.

 

05/10/15/20/25/30/35/40/45/50/55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 열자

한비자 / 육도삼략 / 소서 / 손자병법 / 전국책 / 설원 / 한서 / 고사성어 / 옛글사전

소창유기 / 격언연벽 / 채근담(명) / 채근담(건) / 명심보감(추) / 명심보감(법) / 옛글채집

 

 

www.yetgle.com

 

 

Copyright (c) 2000 by Ansg All rights reserved

<돌아가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