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글닷컴ː명언명구/사전

하늘구경 

 

 

 

 

 

 

표인【杓人】표적은 본시 추대를 받아 본보기가 된다는 뜻이다. 장자(莊子) 경상초(庚桑楚)에 “노담(老耼)의 제자에 경상초(庚桑楚)라는 자가 있는데 외루(畏壘) 지방 사람들이 ‘우리가 어찌 그를 임금으로 모시어 사직(社稷)을 맡도록 하지 않을 것인가?’ 하니, 경상자(庚桑子)가 ‘그러면 내가 표적이 되는 사람이 된단 말인가?’ 했다.” 한 데서 기인한 말이다.

표일변【豹一變】표범의 무늬가 뚜렷하고 아름다운 것처럼 사람의 성행(性行)이 갑자기 착해져서 면목이 일신됨을 비유한 말이다. 양자(揚子)의 법언(法言)에 “살쾡이가 변하면 표범이 되고, 표범이 변하면 호랑이가 된다.”고 하였다.

표재【俵災】재상(災傷)을 입은 전결(田結)을 사정(査定)하는 일과 재상을 입은 전결에 대하여 면세율(免稅率)을 나누어 매겨 주는 일. 흉년 든 해에 재상액(災傷額)을 분배하는 일. 감사가 호조(戶曹)에서 배당한 재결수(災結數)에 의하여 일정한 수량의 재결을 각도에 분배하면 수령들은 그 분배된 수량에 의하여 관내의 전지에 재결을 배당하니 이것을 표재라 하며 감사가 각 군현에 재결을 나누어 주는 것도 표재라 한다.

표조【驃駣】표조는 황백색 준마의 이름.

표종【表從】고모(姑母)의 자녀를 이르는 말이다. 지금 세속에서 고모의 자녀를 내종(內從)이라 하고, 외사촌을 표종(表從)이라 하는데, 옛날 문자에는 흔희 고모의 아들도 표종이라고 하였다.

표지【標枝】높은 가지를 말한다. 장자(莊子) 천지(天地)에 “임금은 높은 가지와 같고 백성은 들사슴과 같다.[上如標枝 下如野鹿]" 하였다.

표지야록【標枝野鹿】장자(莊子) 천지(天地)에 “지덕(至德)의 세상에는 어진이를 숭상하지 않고 능한 자를 부리지 않았으며, 윗사람은 높이 솟은 나뭇가지처럼 무심하게 위에 있을 뿐이요, 백성들은 무심히 들판에 뛰노는 사슴과 같았다.[上如標枝 民如野鹿]” 한 데서 온 말로, 즉 태평 성대를 이른 말이다.

표직【豹直】휴일(休日)에 혼자서 숙직하는 것을 이른 말이다.

표표【彯彯】끈이 치렁거리는 몽양, 가볍게 날리는 모양

표표【儦儦】사람이나 짐승이 많은 모양, 성한 모양

표표【彪彪】아롱진 문체가 있는 모양

표표【嘌嘌】절도가 없는 모양

표풍【飄風】회오리 바람.

품계【品階】직품(職品)과 관계(官階)

품자매【品字梅】매화의 일종으로 꽃 하나에 열매 셋이 품(品)자와 같이 서로 붙어 있기 때문에 생긴 이름이다. 《群芳譜 梅》

품종【品從】국가에 공역(公役)이 있을 때에, 품계의 높낮음에 따라 차등하게 복종(僕從)을 내어 돕는 것을 말한다.

품휘【品彙】당시품휘(唐詩品彙)를 말함. 당시품휘는 명(明) 나라 고병(高棅)이 편집한 것으로 90권에 습유(拾遺) 10권으로 되어 있으며 모두 6백 20가(家)의 작품 5천 7백 69수를 수록하였음.

 

05/10/15/20/25/30/35/40/45/50/55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 열자

한비자 / 육도삼략 / 소서 / 손자병법 / 전국책 / 설원 / 한서 / 고사성어 / 옛글사전

소창유기 / 격언연벽 / 채근담(명) / 채근담(건) / 명심보감(추) / 명심보감(법) / 옛글채집

 

 

www.yetgle.com

 

 

Copyright (c) 2000 by Ansg All rights reserved

<돌아가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