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천기【千騎】고악부(古樂府)인 맥상상(陌上桑)에, 나부(羅敷)라는 미녀가 한 성읍(城邑)의 어른이 된 자기 남편을 자랑하면서 “동쪽으로 떠나는 일천 기마병, 우리 남편 제일 앞자리에 앉아 있네.[東方千餘騎 夫婿居上頭]”라고 노래한 가사가 실려 있는데, 이로부터 천기(千騎)를 주목(州牧)이나 태수(太守)의 별칭으로 쓰게 되었다. 천기【天機】만물 속에 내재(內在)한 하늘의 기틀, 즉 자연의 이법(理法)을 뜻한다. 천기절【天祺節】북송(北宋)의 진종(眞宗) 대중상부(大中祥符) 원년 4월 1일에 하늘에서 천서(天瑞)가 두 번째로 내려온 상서(祥瑞)가 있다 하여 국경일로 지정된 날. 천난규관측단예【天難闚筦測端倪】즉 큰 것을 볼 줄 모른다는 말이다. 반고(班固) 유통부(幽通賦)에 “표주박으로 바닷물을 헤아리고 대롱 구멍으로 하늘을 본다.[旣傾蠡而酌海 遂側管而窺天]" 라고 하였다. 천남【天南】서울의 남쪽 지방을 가리킨다. 천낭【天狼】옛날에 침략을 상징하는 것으로 여겨졌던 별 이름이다. 천낭성【天狼星】옛날에 세상이 어지러우면 이 별이 나타나 요기(妖氣)를 부린다고 믿었다. 천녀【天女】직녀성을 이름. 천녀목성【天女目成】천녀는 곧 신녀(神女)인데, 초사(楚辭) 구가(九歌) 대사명(大司命)에 “당에 가득한 미인들이여 갑자기 유독 나와 뜻을 통하도다[滿堂兮美人 忽獨與余兮目成]” 한 데서 온 말이다. 천년우주【千年遇主】천 년 만에 한 번이나 만날 수 있는 성군(聖君). 천년일청【千年一淸】황하(黃河)같은 탁류(濁流)가 맑기를 바란다는 뜻으로, 가능하지 않은 일을 바라는 것. 천년주【千年柱】한(漢) 나라 때 요동 사람 정령위(丁令威)가 죽은 뒤에 학(鶴)으로 변해서 요동 땅 고향에 돌아와 성문의 화표주(華表柱)에 내려 앉았는데, 어떤 소년이 활을 쏘려고 하자, 공중을 배회하며 말하기를 “집 떠난 지 천 년만에 돌아왔는데 성곽은 의구하나 사람은 다르구나.” 하고 떠나갔다는 설화가 전해진다. 《搜神後記》 천노【千奴】양양(襄陽) 이형(李衡)이 가족 몰래 무릉(武陵) 용양주(龍陽洲)에 감자(柑子) 천(千)나무를 심어 두었다가 죽을 때에 아들에게 말하기를, “용양주에 천두(千頭) 목노(木奴)가 있으니 해마다 비단 수천 필을 얻을 것이다.” 하였다. 천노【千奴】천 그루의 귤나무. 이형(李衡)이 귤나무 1천 주를 심고서 그 아들에게 말하기를 “내 목노(木奴) 1천 두(頭)가 있으니, 네가 의식 걱정은 하지 않을 것이다.” 하였다. 《襄陽記》 천노대장견수감【千奴待長絹輸柑】한(漢) 나라 때 이형(李衡)은 벼슬살이가 청렴했는데, 만년에 시골에 천 그루의 감귤나무를 심어 두고는 죽을 때 아들을 불러 놓고 말하기를, “너는 내가 돈을 못 벌어서 가난하다고 탓하지 말라. 시골에 일천 두(一千頭)의 목노(木奴)를 길러 두었으니 너희들 의식 걱정은 없을 것이며, 매년 비단 한 필씩이 올라올 테니 또한 충분히 쓸 수 있을 것이다.” 하였다 한다. 《三國志 吳志 孫休傳》
10/20/30/40/50/60/70/80/90/100/10/20/30
|
|
|
|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 열자 |
|
|
|
|
||
Copyright (c) 2000 by Ansg All rights reserved <돌아가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