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옛글닷컴ː명언명구/사전

하늘구경  

 

 

 

 

철마【鐵馬】철마는 갑옷을 입힌 전마(戰馬)로 정예의 기병을 가리킨다.

철면【鐵面】철면은 추위를 잘 이긴다 하여 매화를 이른 말이다.

철면어사【鐵面御使】강직하고 사심이 없는 어사를 말한다. 송(宋) 나라 때 조변(趙抃)이 전중시어사(殿中侍御使)가 되어 권신(權臣)들을 거리낌 없이 탄핵하자 경사(京師) 사람들이 철면어사라고 불렀다고 한다. 《宋史 卷316 趙抃列傳》

철면피【鐵面皮】쇠로 된 낯가죽. 즉, 얼굴에 철판을 깐 듯 수치(羞恥)를 수치로 여기지 않는 사람.

철목씨【鐵木氏】철목씨(鐵木氏)는 원(元) 나라이다.

철묵【啜墨】책벌레의 이칭임. 왕조(汪藻)의 시에 “書魚多啜墨 筆免每噴煙" 이라 하였음.

철문한【鐵門限】남조(南朝) 진(陳) 나라 때 지영선사(智永禪師)가 오흥(吳興) 영흔사(永欣寺)에 갔었는데, 글씨를 청해 오는 사람들이 워낙 많이 모여들어서 그의 문지방이 모두 닳아져 없어지므로, 쇠[鐵]로 문지방을 포장하였다는 고사가 있음. 소식의 증상주보은장로시(贈常州報恩長老詩)에도, “憑師爲作鐵門限 準備人間請話人”이란 구절이 있음.

철법【徹法】철법은 주(周)의 세법으로 1백 묘를 농민이 경작하여 그 중 10묘의 소출을 따로 떼내 조세로 바친다는 뜻으로, 10분의 1을 조세로 바치는 제도임. 《孟子 滕文公上》

철봉우림【鐵鳳羽林】철봉은 철봉궐(鐵鳳闕)의 준말로, 문 꼭대기에 철제(鐵製) 봉황을 달아 놓은 도성 궁궐 문을 말하고, 우림(羽林)은 임금의 근위 금군(禁軍)을 말한다. 참고로 두보(杜甫)의 시에 “철봉궐 그늘진 곳, 훈련하는 우림 군사.[陰沈鐵鳳闕 敎練羽林兒]”라는 구절이 있다. 《杜少陵詩集 卷15 贈崔十三評事公輔》

철부지급【轍鮒之急】수레바퀴 자구 속에 있는 붕어의 위급함이라는 뜻으로, 곤궁한 처지나 다급한 위기, 곤궁한 처지를 비유하는 말로 쓰인다.

철삭은구【鐵索銀鉤】매끄럽고 꼿꼿한 필치를 형용한 것이다.

철상【鐵象】남송(南宋) 때 사람 곡단(曲端)에게 평소 매일 4백 리씩을 달리는 철상(鐵象)이란 말이 있었다 함.

철색은구【鐵索銀鉤】아주 힘차게 잘 쓴 글씨를 형용한 말이다.

철석간장【鐵石肝腸】쇠나 돌같이 굳은 마음. 굳센 의지나 굳은 지조.

철석장【鐵石膓】천성이 견강함을 이름. 피일휴(皮日休)의 부서(賦序)에, “나는 일찍이 송광평(宋廣平)의 정승됨을 아름답게 여기며 철석(鐵石)의 심장이라 여겼다.” 하였음.

철쇄침강【鐵鎖沈江】유우석(劉禹錫)의 금릉회고시에 “천 길의 쇠사슬을 강물 속에 가로쳤건만 한 조각 항복의 깃발이 석두성에서 나왔네[千尋鐵鎖沈江底 一片降旛出石頭]” 한 데서 온 말인데, 이 내용은 바로 오(吳) 나라에서 일찍이 진(晉) 나라 군대를 막기 위하여 석두(石頭)에 성(城)을 쌓고, 강(江)에는 수많은 쇠사슬을 가로질러 치고 수많은 철퇴까지 세워 놓았었으나, 진(晉) 나라 용양장군(龍驤將軍) 왕준(王濬)이 그 내막을 탐지하고는 사전에 그 쇠사슬과 철퇴를 모두 제거한 다음 만곡선(萬斛船)을 건조하여 대군을 거느리고 오 나라 석두성을 격파해서 손호(孫皓)의 항복을 받았던 고사를 읊은 것이다. 《晉書 卷四十二》

 

10/20/30/40/50/60/70/80/90/100/10/20/30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 열자

한비자 / 육도삼략 / 소서 / 손자병법 / 전국책 / 설원 / 한서 / 고사성어 / 옛글사전

소창유기 / 격언연벽 / 채근담(명) / 채근담(건) / 명심보감(추) / 명심보감(법) / 옛글채집

 

 

www.yetgle.com

 

 

Copyright (c) 2000 by Ansg All rights reserved

<돌아가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