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옛글닷컴ː명언명구/사전

하늘구경  

 

 

 

 

해의반박【解衣盤礡】송원군(宋元君)이 그림을 그리려고 여러 화사(畵史)들을 불렀는데 그들은 모두 붓을 빨고 먹을 찍었다. 그런데 한 사람은 인사도 없이 사관(舍館)으로 가므로 송원군이 사람을 시켜 엿보니, 그는 옷을 벗고 자유롭게 앉았으므로, 송원군은, “이 사람이 참으로 그림 그릴 사람이로다.” 하였다.

해인【海印】해인삼매(海印三昧)는 부처의 깨달아 얻은 삼매인데, 큰 바다 가운데 모든 물상(物象)이 비치는 것처럼 부처의 지혜 바다[智海] 가운데 일체(一切)가 나타나는 것이다.

해자괴【諧者怪】해자(諧者)의 괴담(怪談)이라는 것은 장자(莊子) 소요위(逍遙遊)에" 제해(齊諧)란 괴이한 말들을 적은 책이다.” 한 데서 온 말이다. 《後漢書 卷八十二》

해장【海藏】복잡한 시중(市中)에 은거하는 것을 이름. 소식(蘇軾)의 시에 “바다처럼 수많은 사람 속에 한 몸이 숨는다[萬人如海一身藏]”하였다.

해점【薤簟】해점은 해엽점(薤葉簟)의 준말로, 마치 부추 잎을 펼쳐놓은 것처럼 보이는 푸른 대자리를 이른 말이다.

해정오두【解酲五斗】진(晉) 나라 유령(劉伶)이 한 번 술을 마시면 한 섬이요 해장할 땐 다섯 말의 술을 마셨다는 “五斗解酲”의 고사가 전해 온다. 《世說新語 任誕》

해제참【解齊驂】춘추 시대 제 나라의 현자(賢者)인 월석보(越石父)가 남에게 매인 몸이 되어 곤경에 처했을 때, 재상 안영(晏嬰)이 나갔다가 길에서 그를 만나, 왼쪽 참마(驂馬)를 풀어서 속(贖) 바치고 그를 빼내왔던 고사에서 온 말이다. 《史記 晏嬰傳》

해제천규【海帝穿竅】쓸데없는 억지 짓을 말함. 남해(南海)의 제(帝)는 숙(鯈)이고, 북해(北海)의 제는 홀(忽)이며, 중앙의 제는 혼돈(渾沌)인데, 숙과 홀은 언제나 혼돈으로부터 좋은 대우를 받아왔다. 숙과 홀은 혼돈의 후의에 감격하여 그에게 보답할 꾀를 내기를, “사람에게는 모두 일곱 개의 구멍이 있어 그 구멍을 통하여 보고 듣고 먹고 숨쉬고 하는데, 그에게는 그것이 없으니 구멍이나 뚫어주자.” 하고 하루에 구멍 하나씩을 팠더니 7일 만에 혼돈은 견디다 못해 죽고 말았다는 것이다. 《莊子 應帝王》

해조【海棗】무루자(無漏子)라는 과실의 별명. 그 나무가 곁가지 하나 없이 곧 바로 삼사십 길을 커 올라가 맨 꼭대기에 가서야 여남은 가지가 돋고 5년 만에 과실 하나가 여는데 아주 크고 달다고 함.

해조【解絛】속박을 벗어나는 것을 이름.

해조【解嘲】양웅(揚雄)이 쓴 글의 편명(篇名). 양웅이 태현경(太玄經)을 초하고 있으면서 초연한 자세를 취하고 있는 것을 누가 조롱하자, 양웅이 그 조롱에 대해 해명을 한 것이란 뜻으로 만들어진 이름임. 《文選 揚雄 解嘲序》

해조문【解嘲文】세상의 조롱을 스스로 해명하는 글이라는 뜻이다. 한(漢) 나라 양웅(揚雄)이 태현경(太玄經)을 지을 때, 권세에 아부하여 출세한 자들이 그의 담박한 생활 태도를 비웃자, 이를 해명하는 글을 지어 “해조(解嘲)”라고 명명하였다. 《漢書 揚雄傳下》

해조수【海鳥愁】노(魯) 나라에 원거(爰居)라는 바다새가 동문(東門)에 왔는데 사람들이 그 새에게 좋은 음식으로 제사를 드리니 그 새는 받아먹지 못하고 근심만 하였다 한다.

해조음【海潮音】부처가 설법(說法)하는 음성을 해조음이라 한다.

해조함석【海鳥銜石】옛날 염제(炎帝)의 딸이 동해(東海)에 빠져 죽어서 정위(精衛)라는 새가 되었는데, 그는 항상 서산(西山)의 목석(木石)을 물어 날라서 동해를 메꾼다는 전설에서 온 말이다.

 

10/20/30/40/50/60/70/80/90/100/10/20/30/40/50/60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 열자

한비자 / 육도삼략 / 소서 / 손자병법 / 전국책 / 설원 / 한서 / 고사성어 / 옛글사전

소창유기 / 격언연벽 / 채근담(명) / 채근담(건) / 명심보감(추) / 명심보감(법) / 옛글채집

 

 

www.yetgle.com

 

 

Copyright (c) 2000 by Ansg All rights reserved

<돌아가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