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해시【海市】해시는 바람이 없는 조용한 날에 대기(大氣)의 밀도(密度)와 광선(光線)의 반사(反射)와의 관계로 인하여 멀리 해변(海邊)이나 사막(沙漠)의 상공에 성곽(城郭)이나 누대(樓臺) 등이 나타나는 현상을 말한다. 신기루(蜃氣樓). 해시지와【亥豕之訛】서적을 베끼거나 책을 간행할 때 비슷한 글자는 잘못 쓰기 쉽다는 뜻의 고사성어. 해신독각【獬神獨角】해(獬)라는 짐승은 실제로 있는 것이 아니요 상상의 동물인데, 사람의 마음속을 잘 알아본다고 한다. 예전부터 우리 나라 광화문 앞에 있는 해태라는 것이 그것이니, 그 궁문으로 드나드는 백관들을 충신인지 간신인지를 알아본다는 의미로 그렇게 궁문 앞에 세운 것이다. 해심려불측【海深蠡不測】표주박으로 바닷물을 헤아릴 수 없듯이, 천박한 식견으로 깊은 경지를 헤아릴 수 없음을 비유한 말이다. 해아삼【孩兒蔘】사람의 형체와 비슷하게 생긴 인삼을 말하는데, 이 삼이 특효가 있다고 한다. 해악【海嶽】사해(四海)와 오악(五嶽)을 말한다. 해안【蟹眼】게 눈알로, 물이 막 끓기 시작할 때의 작은 거품을 형용한 것이다. 해안【海眼】연못의 물이 빠져나가도록 만든 유출구(流出口)를 말한다. 연못을 만들 때 바다나 강으로 물이 빠져나가도록 땅 속으로 구멍을 뚫기 때문에 이렇게 이르는 것이다. 해안【海眼】연적(硯滴)의 모양을 이름. 중국 복주(福州)의 설봉(雪峯)에 조수(潮水)에 따라 나오는 샘이 있어, 조수가 오를 때면 물이 졸졸 나오고 조수가 물러가면 그치므로 이를 해안(海眼)이라 하는데, 여기서는 연적의 물방울 나오는 모양을 비유한 것이다. 해안【海眼】천안(泉眼)으로, 샘물이 빠져 나가는 구멍을 말한다. 옛날 사람들은 샘물이 땅속을 흘러서 바다로 들어간다고 믿었으므로 이렇게 칭하였다. 해안사【海安寺】개성(開城) 서쪽 24리 봉명산(鳳鳴山)에 있었음. 《輿地勝覽》 해안어린【蟹眼魚鱗】게의 눈과 고기 비늘은 곧 차를 끓일 때에 물이 부그르르 끓어오르는 모양을 형용한 말이다. 해안하청【海晏河淸】천하의 태평을 말함. 해약【海若】북해 약(北海若)의 준말로, 약(若)은 바다 귀신의 이름이다. 널리 해신(海神)을 지칭하는 말로도 쓰인다. 해양【海陽】광주(光州)의 고호임. 해양【海陽】해주(海州)의 옛 이름이다. 해어지화【解語之花】말을 알아듣는 꽃이란 뜻으로, 미인을 이르는 말. 해어화【解語花】말을 이해하는 꽃. 즉, 미인을 일컫는 말. 당(唐)나라 현종(玄宗)과 양귀비(楊貴妃)에게서 유래한 말. 개원천보유사(開元天寶遺事)에 “당 명황(唐明皇)이 비자(妃子)와 함께 태액지(太液池)의 천엽연(千葉蓮)을 구경하면서 비자를 가리켜 해어화라 하였다.” 하였다.
10/20/30/40/50/60/70/80/90/100/10/20/30/40/50/60
|
|
|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 열자 |
|
|
|
|
Copyright (c) 2000 by Ansg All rights reserved <돌아가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