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홍루【紅淚】여인의 눈물을 가리킨다. 홍류적【鴻留迹】정처없이 떠도는 인생의 허무한 자취를 말한다. 소식(蘇軾)의 “떠도는 인생살이 무엇과 같다 할꼬, 눈 위에 찍힌 기러기의 발자국. 우연히 발톱 자욱 남겨 놓고는, 날아가면 어찌 다시 동서남북 따지리요.[人生到處知何似 應似飛鴻蹈雪泥 泥上偶然留指爪 鴻飛那復計東西]”라는 시구에서 나온 것이다. 《蘇東坡詩集 卷3 和子由澠池懷舊》 홍류화저【虹流華渚】세자가 태어남을 상상하는 것이다. 온자승순묘비(溫子昇舜廟碑)에 “무지개 기운 신령을 내려 요씨의 터에 성인이 탄생되었다.”는 말이 있음. 홍릉담【紅綾餤】당(唐) 나라 희종(僖宗)이 바야흐로 떡을 먹다가 그때 진사(進士)들이 곡강(曲江)에서 문희연(聞喜宴)을 한다는 말을 듣고 어주(御廚)에 명하여 사람 수효대로 각기 홍릉병담(紅綾餠餤)을 하사했다. 홍릉병【紅綾餠】붉은 비단으로 겉을 싼 맛좋은 떡의 일종으로 중국의 왕이나 고관 귀족의 집안에서 주로 먹었다. 홍린약빙【紅鱗躍氷】효성이 지극함을 말한다. 진서(晉書) 권49에 “왕상은 효도가 극진하였는데, 어머니가 겨울에 생선을 먹고 싶다고 하므로 강에 가서 옷을 벗고 얼음 깨고 고기를 잡으려 하자, 잉어 두 마리가 얼음 위로 뛰어나왔다.” 하였다. 홍매【洪邁】송 나라 반양(鄱陽) 사람으로 자는 경로(景盧), 호는 용재(容齋)이다. 경(經)ㆍ사(史)ㆍ백가(百家)와 의학ㆍ복서ㆍ천문ㆍ산술 등 서적을 두루 읽었으며 효종(孝宗) 때 단명전 학사(端明殿學士)가 되었다. 홍면숙【洪勉叔】면숙(勉叔)은 홍무적(洪茂績)의 자(字)이다. 홍명익【鴻冥弋】벼슬을 우습게 보는 고사(高士)의 비유이다. 가물가물 나는 기러기를 활 쏘는 사람이 어찌 잡으랴. 《法言》 홍모【鴻毛】기러기 털로, 아주 가벼운 것을 뜻한다. 홍모척【鴻毛擲】기러기털을 집어던졌다는 것은 더없이 귀중한 목숨을 사물 가운데 가장 가볍다는 기러기털처럼 여겨 미련없이 버렸다는 것이다. 홍몽【鴻濛】우주가 형성되기 이전부터 있어 온 천지의 원기, 혹은 그와 같은 혼돈 상태를 가리키는 말로서, 끝없이 펼쳐진 바다나 하늘을 뜻하기도 한다. 홍무【洪武】명 태조(明太祖)의 연호. 홍무체【洪武體】홍무는 명 나라 태조의 연호로, 그때 새로 나온 서체라는 뜻이다. 홍범【洪範】서경(書經)의 편명. 홍(洪)은 대(大), 범(範)은 법(法)으로 천하를 다스리는 큰 법이라는 뜻. 기자가 주 무왕(周武王)에게 진술한 것인데, 모두 9조목으로 되어 있어 홍범구주(洪範九疇)라 칭한다. 홍범구주【洪範九疇】홍범은 서경(書經)의 편명(篇名)으로 나라를 다스리는 큰 법이란 뜻이며, 구주는 아홉 가지 무리란 뜻으로 옛날 우(禹) 임금이 홍수를 다스릴 때에 낙수(洛水)에서 거북이가 나왔는데 그 등에 1에서 9까지의 점이 그려져 있었다 한다. 그리하여 이것을 보고 홍범 구주를 만들었다 하는데, 첫번째는 금(金)ㆍ목(木)ㆍ수(水)ㆍ화(火)ㆍ토(土)의 오행(五行)이고, 두 번째는 모(貌)ㆍ언(言)ㆍ시(視)ㆍ청(廳)ㆍ사(思)의 오사(五事)이며, 세 번째는 식(食)ㆍ화(貨)ㆍ사(祀)ㆍ사공(司空)ㆍ사도(司徒)ㆍ사구(司寇)ㆍ빈(賓)ㆍ사(師)의 팔정(八政)이고, 네 번째는 세(歲)ㆍ월(月)ㆍ일(日)ㆍ성신(星辰)ㆍ역수(曆數)의 오기(五紀)이며, 다섯 번째는 황극(皇極)이고, 여섯 번째는 정직(正直)ㆍ강극(剛克)ㆍ유극(柔克)의 삼덕(三德)이며, 일곱 번째는 우(雨)ㆍ제(霽)ㆍ몽(蒙)ㆍ역(驛)ㆍ극(克)ㆍ정(貞)ㆍ회(悔)의 계의(稽疑)이고, 여덟 번째는 우(雨)ㆍ양(暘)ㆍ욱(燠)ㆍ한(寒)ㆍ풍(風)ㆍ시(時)의 서징(庶徵)이며, 아홉 번째는 수(壽)ㆍ부(富)ㆍ강녕(康寧)ㆍ유호덕(攸好德)ㆍ고종명(考終命)의 오복(五福)과 흉단절(凶短折)ㆍ병(病)ㆍ우(憂)ㆍ빈(貧)ㆍ악(惡)ㆍ약(弱)의 육극(六極)이다. 홍범수【洪範數】서경(書經) 홍범의 아홉 조항의 수를 말하는데, 그 아홉 조항은 곧 오행(五行), 오사(五事), 팔정(八政), 오기(五紀), 황극(皇極), 삼덕(三德), 계의(稽疑), 서징(庶徵), 오복(五福)이다.
10/20/30/40/50/60/70/80/90/100/10/20/30/40/50/60
|
|
|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 열자 |
|
|
|
|
Copyright (c) 2000 by Ansg All rights reserved <돌아가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