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옛글닷컴ː명언명구/사전

하늘구경  

 

 

 

 

만초【蔓草】좌전(左傳) 은공(隱公) 원년(元年) 조(條)에, “덩굴풀도 번지고 나면 제거 못하는 것인데 하물며 임금의 사랑하는 아우이겠습니까.” 하여, 점점 세력을 확장해 가는 권신을 만초(蔓草)에다 비유하였음.

만촉【蠻觸】조그마한 땅을 말한다. 만(蠻)과 촉(觸)은 달팽이 뿔 위에 있는 나라로, 작은 일을 가지고 서로 아옹다옹 다투는 것을 뜻한다. 장자(莊子) 칙양(則陽)에, “달팽이의 왼쪽 뿔 위에 있는 나라를 촉씨(觸氏)라 하고, 달팽이의 오른쪽 뿔 위에 있는 나라를 만씨(蠻氏)라 하는데, 서로 영토를 다투어서 전쟁을 하였다.” 하였다.

만촉교쟁【蠻觸交爭】사소한 일로 서로 분쟁을 일으키는 것을 말한다. 장자 칙양(則陽)에 “달팽이의 왼쪽 뿔에 나라를 갖고 있는 자는 촉씨(觸氏)라 하고 오른쪽 뿔에 나라를 갖고 있는 자는 만씨라고 하는데 서로 땅을 빼앗으려고 수시로 전쟁을 하여 수만 명의 시체가 깔렸다.” 하였다.

만촉교쟁와각중【蠻觸交爭蝸角中】사소한 일로 다툼을 비유한 말로 달팽이의 왼쪽 뿔에 만국(蠻國)이 있고 오른쪽 뿔에 촉국(觸國)이 있는데, 거기에서 서로 땅을 다투며 싸운다는 데서 온 말이다. 《莊子 則陽》

만촉전【蠻觸戰】작은 나라들끼리 서로 다툰다는 뜻. 장자(莊子) 칙양(則陽)에 “달팽이의 왼쪽 뿔 위에 만(蠻)이라는 나라가 있었고 오른쪽 뿔 위에는 촉(觸)이라는 나라가 있었는데, 서로 땅을 쟁탈하느라 전쟁을 벌여 수만의 시체가 쌓였었다.” 한 우언(寓言)에서 나온 것이다.

만추가경【晩秋佳景】늦가을의 아름다운 경치.

만치【萬雉】치첩(雉堞)이 만이나 되는 큰 성이란 말이다.

만타【曼陀】인도(印度)의 사원(寺院)에서 많이 심는 만다라(曼陀羅)꽃으로, 나팔꽃 모양의 백색의 꽃이 피는데, 불경(佛經)에서 불타(佛陀)의 위신력(威神力)을 상징적으로 표현할 때, “하늘에서 이 꽃이 비처럼 쏟아져 내렸다.[是時天雨曼陀羅花]”고 곧잘 표현하곤 한다.

만파식적【萬波息笛】신라 옥적(玉笛)이 ‘만파식곡(萬波息曲)’이었는데, 이 적을 불면 외국의 군병이 물러가고 병이 낫고, 가뭄에 비가 오며 장마가 개고, 바람은 진정되고 물결이 잔잔해지므로[風定波平], ‘만파식적(萬波息笛)’이라 불렀다.

만필【晩筆】늘그막에 쓴 글씨나 그림을 가리킨다.

만한【滿漢】만주(滿洲)와 중국(中國)을 가리킨다.

만호대제학【萬戶大提學】선조(宣祖) 때 문신 박충원(朴忠元)이 문형(文衡)의 직위에 있으면서 명나라 조사(詔使)들을 영접할 때, 문사(文詞)가 졸렬하여 비웃음을 샀으므로 당시 사람들이 그를 ‘만호대제학’이라 기롱하였는데 이는 무관 말직인 만호(萬戶)에 빚대어 그의 무식함을 비유한 것임.

만화방창【萬化方暢】따뜻한 봄날에 만물이 나서 자람

만회【萬回】당 나라 때에 만회(萬回)라는 도승(道僧)이 있었는데, 매일 술을 먹고 미친 척하고 하루동안 만리(萬里)를 갔다가 돌아왔기 때문에 만회라 하였다.

만획【漫畫】새 이름. 이 새는 수초(水草) 사이를 다니면서 조금도 쉴 새 없이 부리로 모래를 그어 먹이를 찾곤 하므로 붙여진 이름이라 한다.

만휘군상【萬彙群象】수많은 사물들과 무리의 형상. 우주의 온갖 수많은 형상

말감【末減】가장 낮은 등급(等級)으로 낮춤. 법률(法律)이 허용하는 한 가장 가벼운 처벌규정(處罰規定)을 적용하는 것을 말할 뿐만 아니라, 조세(租稅)를 징수(徵收)하는 경우 등에도 마찬가지로 쓰인다.

말계【末契】보통은 나이 많은 자와 어린 자의 교분(交分)을 뜻한다.

 

05/10/15/20/25/30/35/40/45/50/55/60/65/70/75/80/85/90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 열자

한비자 / 육도삼략 / 소서 / 손자병법 / 전국책 / 설원 / 한서 / 고사성어 / 옛글사전

소창유기 / 격언연벽 / 채근담(명) / 채근담(건) / 명심보감(추) / 명심보감(법) / 옛글채집

 

 

www.yetgle.com

 

 

Copyright (c) 2000 by Ansg All rights reserved

<돌아가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