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글닷컴ː명언명구/사전

하늘구경 

 

 

 

 

 

 

노관【老關】후량(後梁) 관동(關同)은 산수도(山水圖)의 명가(名家)로 추산한림도(秋山寒林圖)가 있다.

노구반교【老龜蟠蛟】늙은 거북이란 비신(碑身)을 받치는 석각(石刻)한 거북 모양의 귀부(龜趺)를 가리키고, 서린 용이란 비신 꼭대기에 서린 모양의 용을 새긴 이수(螭首)를 가리킨다.

노구효월【盧溝曉月】북경(北京)의 팔경(八景) 가운데 하나인 ‘노구교 가의 새벽달[盧溝曉月]’을 두고 한 말이다.

노군후천【老君後天】도교(道敎)의 태상노군(太上老君)은 천지가 다한 뒤에까지 산다 하였다.

노규반온비수자【老虯盤穩秘鬚髭】소식(蘇軾)의 “땅 속에 천년 묵은 뿌리가 마치 규룡처럼 도사리고 있네.” 하는 창포시(菖蒲詩) 일부를 인용한 말이다.

노귤【盧橘】금귤(金橘)의 이칭이다.

노귤【奴橘】이형(李衡)이 용양주(龍陽洲)에 귤나무 천 그루를 심어 놓고 아들에게 “나에게 나무하인[木奴] 천 명이 있으니, 너의 의식(衣食)에 아무 걱정이 없다.”고 이른 고사에서 인용한 말.

노긍【盧兢】조선조 후기(1738~1790)의 시인. 과시(科詩)에 능했고, 소설 화사(花史)를 썼음.

노기【虜騎】노기는 북쪽 오랑캐의 기병(騎兵)이다.

노기난【路岐難】옛날에 어떤 사람이 양(羊)을 잃고 그것을 찾으려 뒤쫓았으나 갈림길이 많아서 끝내 찾지 못했다는 고사에서 온 말로, 학문의 다단(多端)한 진리(眞理)를 얻기 어려움에 비유한 말이다. 《列子 說符》

노기다처읍양주【路岐多處泣揚朱】양주(楊朱)는 길을 가다가 분기(分岐)된 길을 보면 울었는데 한 번 나뉘면 다시는 합칠 수 없는 것을 슬퍼함이다.

노기복력【老驥伏櫪】나이 많은 천리마가 헛간 널빤지 위에 잠을 자고 있다는 뜻으로, 어진 사람이 나이 먹어도 아직 세상에 쓰이지 않고 있음을 비유함.

노기수【路歧愁】어떤 길을 선택해야 할지 고민하는 것을 말한다. 옛날 양주(楊朱)가 사통팔달한 대로(大路)에 서서 어디로 가야 할지 몰라 통곡했다는 이야기가 전한다. 《淮南子 說林訓》

노기읍【路岐泣】옛날 양주(楊朱)가 갈림길을 만나면, 남으로도 갈 수 있고 북으로 갈 수 있다 하여 울었다는 고사에서 온 말로, 마음에 주관이 없음을 비유한 말이다.

노기충천【怒氣沖天】화난 기색이 하늘을 찌를 듯이 극도로 달한 것.

노남【盧枏】명(明) 나라 사람으로 재주가 높고 특히 시에 뛰어나서 사진(謝榛)과도 교의가 깊었는데, 일찍이 현령(縣令)에게 거슬러서 옥고(獄苦)를 치르기도 하였고, 평생 동안 뜻을 펴지 못하고 죽었다.

노남【魯男】노(魯) 나라에 홀아비가 과부를 이웃하여 살고 있었는데, 밤에 폭우로 과부가 집이 무너져서 피란을 왔으나 문을 닫고 거절하므로, 과부가 말하기를, “그대는 왜 유하혜(柳下惠)와 같이 못하는가? 그는 찾아온 여자를 거절하지 않았는데도 사람들이 난잡하다고 하지 않았다.” 하자, 홀아비는, “유하혜는 그렇게 해도 나는 그렇게 할 수 없다. 나는 나의 할 수 없음으로써 유하혜의 할 수 있음을 배우겠다.” 하였다 한다.

노녀비소【魯女悲嘯】노(魯) 나라 한 여인이 슬프게 휘파람을 불므로 사람들이 물으니, “나라에 장차 환란이 있을까 걱정한다.” 하였다.

노노【呶呶】떠들썩하게 지껄이는 모양, 추근추근하게 변명하는 모양

노노【怓怓】왁자지껄하고 어수선함

노담【老聃】노자(老子)의 이름.

노당익장【老當益壯】사람은 늙을수록 더욱 기운을 내어야 하고 뜻을 굳게 해야 한다. 노익장(老益壯)

 

05/10/15/20/25/30/35/40/45/50/55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 열자

한비자 / 육도삼략 / 소서 / 손자병법 / 전국책 / 설원 / 한서 / 고사성어 / 옛글사전

소창유기 / 격언연벽 / 채근담(명) / 채근담(건) / 명심보감(추) / 명심보감(법) / 옛글채집

 

 

www.yetgle.com

 

 

Copyright (c) 2000 by Ansg All rights reserved

<돌아가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