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감국【監國】임금을 대신해서 임시로 나라를 맡아 다스리는 사람으로, 태자(太子)를 가리킨다. 감국무군【監國撫軍】태자를 이른 말이다. 감무(監撫) 감군은【感君恩】조선 초기 악장으로, 임금의 은택을 찬양하고 충성을 다하겠다는 내용으로 되어 있다. 감녕【甘寧】삼국 시대 오 나라 사람으로, 처음에는 황조(黃祖)를 섬기다가 뒤에 손권(孫權)을 섬기면서 주유(周瑜)를 도와서 적벽(赤壁)에서 위병(魏兵)을 격파하였는데, 활을 아주 잘 쏘았으며, 강표호신(江表虎臣)이라 불리워졌다. 《三國志 卷五十五》 감노【監奴】가노(家奴)의 우두머리. 감담【坎窞】감담은 구덩이를 뜻하는 주역(周易) 감괘(嵌卦)의 말로, 위험을 의미한다. 감담박【甘淡薄】관직 생활에 얽매이지 않고 고향에 돌아와 청정한 생활을 즐길 수 있게 되었다는 말이다. 참고로 남조 송(宋) 안연지(顔延之)의 ‘오군영(五君詠)’ 중 상수(向秀)를 읊은 시에 “상수는 담박함을 달게 여기며, 붓과 종이에다 깊은 마음 의탁했네.[向秀甘淡薄 深心托豪素]”라는 표현이 나온다. 감당【甘棠】어진 관리의 아름다운 정사를 말하는데, 주(周) 나라 때 소공(召公)이 북연(北燕)에 봉해져서 감당나무 아래에서 어진 정사를 펼쳤는데, 소공이 죽은 뒤에 백성들이 소공을 그리워해 감당나무를 감히 베지 못하면서 감당지시(甘棠之詩)를 지어 기렸다. 《史記 卷34 燕召公世家》 감당【甘棠】훌륭한 정사를 베풀어 백성에게 은택을 끼쳤다는 뜻. 옛날 소백(召伯)이 남국(南國)을 순행하면서 문왕(文王)의 교화를 펼 때, 감당나무 아래 머물렀었는데, 그 뒤에 백성이 그 은덕을 잊지 못하여 차마 나무를 베지 못하였다는 고사에서 나온 말. 《詩經 召南》 감당구【甘棠句】감당은 팥배나무로 시경(詩經) 소남(召南)의 편명인데, 주(周)나라 소공(召公)의 선정을 기린 노래이다. 흔히 지방관의 선정을 말할 때 인용한다. 감당물전【甘棠勿剪】소공(召公)의 덕에 감화된 백성들이 소공을 사모하여, 일찍이 소공이 쉬어갔던 감당 나무를 백성들이 대단히 존중하여 서로 나무를 다치게 하지 말도록 경계한 데서 온 말이다. 《詩經 召南 甘棠》 감당시우로【甘棠施雨露】지방에 가서 선정(善政)을 할 것이라는 뜻이다. 감당(甘棠)은 곧 감당지애(甘棠之愛)와 같은 말로, 주(周) 나라 소공(召公)이 남국(南國)을 순행하면서 선정을 하여 그에 감격한 백성들이, 그가 일찍이 쉬어갔던 감당나무를 소중히 여겼다는 데서 온 말이다. 시경(詩經) 국풍 소남에 “무성한 감당나무를 치거나 베지 말라.” 하였다. 감당애【甘棠愛】정치를 잘하는 자를 사모하는 정을 나타내는 고사성어. 감당화【甘棠化】감당(甘棠) 교화(敎化). 어진 관리의 아름다운 정사를 말한다. 주(周) 나라 때 소공(召公)이 북연(北燕)에 봉해져서 감당나무 아래에서 어진 정사를 펼쳤는데, 소공이 죽은 뒤에 백성들이 소공을 그리워해 감당나무를 감히 베지 못하면서 감당지시(甘棠之詩)를 지어 기렸다. 《史記 卷34 燕召公世家》 감령【減齡】주 문왕(周文王)이 아들 무왕(武王)이 상제(上帝)로부터 구령(九齡)을 받은 꿈을 꾸었다는 말을 듣고 이르기를 “나의 수명은 백세이고 너는 90세이니 내가 너에게 3세를 주겠노라”하였는데, 과연 문왕은 97세로 생을 마쳤고 무왕은 93세로 생을 마친 데서 온 말인 듯하다. 《禮記 文王世子》 감로【甘露】단 이슬로 신선이 먹는 불사약(不死藥)이라 하는데, 술을 아름답게 칭하기도 한다. 감로사【甘露寺】현 강소성(江蘇省) 진강현(鎭江縣) 북고산(北固山) 위에 있음. 삼국 오(吳) 때 창건 감로수【甘露水】불교에서 말하는 육욕천(六慾天)의 둘째 하늘인 도리천에 있는 달콤하고 신령스런 액체를 ‘감로’라 한다. 이 액체는 한 방울만 마셔도 온갖 괴로움이 사라지고, 살아 있는 사람은 오래 살 수 있고, 죽은 이는 부활한다고 한다. 이 때문에 불사주(不死酒)로도 일컬어진다. 때로는 부처의 교법(敎法)을 비유하는 말로도 쓰임. 일반적으로 맛이 썩 좋은 물을 가리킴. 감로요장【甘露澆腸】부처가 불법으로 중생에게 혜택을 주는 것을 감로수로써 목마른 사람을 축여 주는데 비유한다. 감로장【甘露漿】맛이 단 이슬인 감로(甘露)를 말한다.
10/20/30/40/50/60/70/80/90/100/10/20/30/40/50/60/70/80/90/200/10/20/30
|
|
|
|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 열자 |
|
|
|
|
||
Copyright (c) 2000 by Ansg All rights reserved <돌아가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