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고부【鼓缶】주역 이괘(離卦) 구삼(九三)에, “해가 저무는 격이니 평범한 장군이나 두들기며 노래하고 즐겨야지 그렇지 않고 늙음을 한탄하기만 하면 나쁘다.” 하였음. 고부발계【姑婦勃磎】장자(莊子) 외물(外物)에 “방안에 공간이 없으면 시어머니와 며느리가 장소를 서로 다투어 반목한다.” 한 데서 온 말이다. 고분【鼓盆】고분가(鼓盆歌)와 같다. 장자(莊子) 지락(至樂)에 “장자(莊子)의 아내가 죽어서 혜자(惠子)가 위문하러 찾아갔는데 장자가 걸터앉아 동이를 두드리며 노래를 부르고 있었다.”고 하였다. 후세에 아내가 죽었을 때 사용하는 고사이다. 고분【鼓盆】전국 시대에 장자(莊子)가 아내를 잃고 동이를 두드리며 노래한 고사. 고분【孤憤】한비자(韓非子)가 지은 글의 편명(篇名)으로, 홀로 외로이 곧아 세상에 용납받지 못하는 것을 안타깝게 여긴다는 뜻이다. 고분가【鼓盆歌】장자(莊子) 지락(至樂)에 “장자(莊子)의 아내가 죽어서 혜자(惠子)가 위문하러 찾아갔는데 장자가 걸터앉아 동이를 두드리며 노래를 부르고 있었다.”고 하였다. 후세에 아내가 죽었을 때 사용하는 고사이다. 고분문한비【孤憤問韓非】고분은 한비자(韓非子)의 편명인데, 그 뜻은 바로 세상에 용납되지 못하여 분개함을 이른 말이다. 고분비【叩盆悲】아내를 잃은 슬픔을 말한다. 고분은 고분(鼓盆)과 같은데, 장자(莊子)가 그의 아내가 죽자, 두 다리를 뻗고 동이를 두들기며 노래한 데서 온 것이다. 고분지탄【叩盆之嘆】아내의 죽음으로 인한 한탄 고분지통【鼓盆之痛】아내가 죽은 슬픔. 고불일【顧不一】정건(鄭虔)에 대해 지은 시 중의, “神翰顧不一 體變鍾兼兩”에 보임. 분문집주에는, “虔好書及畵 恨無紙 慈恩寺貯柿葉數屋 歲取隸書 歲久皆遍……書苑曰虔善草隸 呂摠云 虔書如風送雲收霧慛月上 鍾兼兩 鍾繇鍾會也 父子善隸書皆盡其妙”라 주해했고, 두시언해에는, “신기라 왼글 쓰기 한 가지 아니로소니 체를 개변하여 종유를 따라 두 가지를 한다.”라고 하였다. 고개지는 진(晉) 나라 사람인데, 그에게는 재절(才絶)ㆍ화절(書絶)ㆍ치절(癡絶) 즉 삼절(三絶)이 있다고 함. 고비【皐比】고비는 일반적으로 호피(虎皮)를 말함. 옛날에 스승이 앉는 자리에는 반드시 호피(虎皮)를 깔았으므로 강석(講席)을 고비라 칭한다. 고비【鼓鼙】적이 쳐들어올 때 신호로 치는 북. 전하여 전쟁 또는 군사(軍事)를 뜻한다. 고비【皐比】호피(虎皮)로, 옛 사람들이 호피를 깔고 앉아서 강학(講學)하였으므로, 후대에는 사석(師席)의 뜻으로 쓰이게 되었다. 고빙【叩氷】얼음을 두드림. 고사【瞽史】고사는 주(周)나라 때의 두 관직명으로, 고는 악관(樂官)이고 사는 음양ㆍ천시(天時)ㆍ예법에 관한 문헌을 담당하였다. 고사【姑射】본디는 장자(莊子)에 나오는 산 이름인데, 후대에는 신선(神仙)을 가리키는 말로 쓰였다. 고사【孤楂】외로운 등걸. 고사고【古史攷】책명. 촉한(蜀漢)의 초주(樵周)가 편찬하였는데 모두 25편. 고사빙부【姑射氷膚】고야산[姑射山]에 신인(神人)이 사는데, 살결은 빙설(氷雪) 같고, 이쁘기는 처녀(處女)와 같으며, 바람과 이슬만 마시고 산다 한다. 《莊子》 고사성어【故事成語】옛날 있었던 일에서 만들어진 어구(語句) 고사전【高士傳】진(晉) 나라 황보밀(皇甫謐)이 편찬한 은사(隱士)의 전기(傳記). 원래는 72인이었는데 뒤에 첨가되어 지금은 96인이 전한다.
10/20/30/40/50/60/70/80/90/100/10/20/30/40/50/60/70/80/90/200/10/20/30
|
|
|
|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 열자 |
|
|
|
|
||
Copyright (c) 2000 by Ansg All rights reserved <돌아가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