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옛글닷컴ː명언명구/사전

하늘구경  

 

 

 

 

계여포【繫如匏】한 군데에 매어 있음을 말함. 논어(論語) 양화(陽貨)에 “내가 어찌 조롱박처럼 매달려만 있겠느냐? 먹지 못하는 쓸모 없는 조롱박은 되지 않을 것이다.” 한 데서 온 말이다.

계연【計然】계연(計然)은 춘추 시대 월(越) 나라 사람으로 치부(致富)의 술(術)이 뛰어나서, 범려(范蠡)가 그의 계책을 이용하여 거만장자(巨萬長者)가 되었으므로, 전하여 치부의 방도를 의미한다.

계연【計然】춘추시대 월(越) 나라 규구(葵丘) 사람으로 성은 신씨(辛氏), 자는 문자(文子)인데 범려(范蠡)의 스승이다. 월왕 구천(句踐)에게 재물을 축적하는 이재(理財)의 묘리를 가르쳐 줘 그대로 시행한 지 10년 만에 부강한 나라를 만들어, 5패(五覇)의 하나가 되게 하였다. 《史記 卷一百二十九 貨殖列傳》

계연가식재난피【桂緣可食災難避】계심(桂心)은 계피(桂皮)의 겉껍질을 벗긴 속껍질인데 먹을 수 있는 것이기 때문에 사람으로부터 베임을 당한다는 말이다. 즉 사람도 재주가 뛰어난 사람은 남으로부터 시기를 받아 반드시 피해를 입게 되고, 재주는 적어도 덕이 있는 사람은 그런 피해를 입지 않는다는 뜻이다.

계영【桂影】계영은 달 속에 들어 있다는 전설상의 계수나무를 일컫는다.

계옥【桂玉】계옥지지(桂玉之地)의 준말로 경성(京城)을 가리킨다.

계옥【桂玉】사기(史記)에, “땔나무를 구하기는 계수나무보다 귀하고 쌀은 옥보다도 귀하다.”는 말이 있다.

계옥【啓沃】온 정성을 다하여 임금을 보좌하는 것을 말한다. 서경(書經) 열명 상(說命上)에, “너의 마음을 열어서 짐의 마음을 적셔주라.[啓乃心 沃朕心]”이라 하였다.

계옥불찬【桂玉不爨】가난해서 땔감과 쌀이 몹시 귀하여 끼니를 제대로 때우지 못함을 말한다.

계옥지탄【桂玉之歎】몹시 가난함.

계온【季溫】김종직(金宗直)의 자이다.

계요【薊遼】계주(薊州)와 요주(遼州), 즉 지금의 요령(遙寧)과 하북성(河北省) 동북쪽 일대를 가리킨다.

계우포상【繫于苞桑】주역(周易) 비괘(否卦) 구오(九五)에 “망하지 않을까 망하지 않을까 하고 경계해, 뽕나무 우거진 뿌리에 매어 둔 것처럼 견고해진다.[其亡其亡 繫于苞桑]”라고 하였다. 망할 듯하다가 다시 유지된다는 뜻이다.

계운궁【啓運宮】인조(仁祖)의 생모이다. 좌찬성 구사맹(具思孟)의 딸로 선조(宣祖)의 다섯 째 아들인 정원군(定遠君)에게 출가하였는데, 뒤에 정원군이 원종(元宗)으로 추존됨에 따라 인헌왕후(仁獻王后)로 추봉(追封)되었다.

계원【桂苑】계방(桂坊)과 같다. 계방은 당대(唐代)의 사경국(司經局)의 별칭.

계원【雞園】본디 중인도(中印度)에 있던 고대의 사찰 이름으로, 전하여 사찰을 뜻한다.

계월【係越】한(漢) 나라 종군(終軍)의 약관(弱冠)이 무제(武帝)에게 글을 올려, “갓끈 하나만 주시면 남월왕(南越王)의 목을 매어다 바치겠습니다.” 하였다.

계유【계貐】사람을 잡아먹는 맹수로서 용의 머리에 말의 꼬리, 범의 발톱을 지녔는데, 유도(有道)한 임금이 있는 세상에는 숨어서 나타나지 않고 무도한 임금이 있는 세상에는 나와서 사람을 잡아먹는다고 한다.

계유군자불수관【季由君子不須冠】계유(季由)는 공자 제자 자로(子路)를 말한 듯함. 자로가 위(衛) 나라 태자 괴외(蒯聵)의 난리에 갓끈이 떨어지자, 군자(君子)가 갓을 벗고 죽을 수는 없다고 하면서 갓끈을 손수 고쳐맸다고 함.

계음【禊飮】옛날의 풍속에 3월 3일에 동류수(東流水) 위에 모여서 불상(不祥)한 것을 제거하며 술을 마시고 놀았는데, 이것을 계(禊)라 한다.

 

10/20/30/40/50/60/70/80/90/100/10/20/30/40/50/60/70/80/90/200/10/20/30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 열자

한비자 / 육도삼략 / 소서 / 손자병법 / 전국책 / 설원 / 한서 / 고사성어 / 옛글사전

소창유기 / 격언연벽 / 채근담(명) / 채근담(건) / 명심보감(추) / 명심보감(법) / 옛글채집

 

 

www.yetgle.com

 

 

Copyright (c) 2000 by Ansg All rights reserved

<돌아가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