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계응【季鷹】계응은 진(晉) 나라 때 장한(張翰)의 자임. 장한이 일찍이 낙양(洛陽)에 들어가 대사마동조연(大司馬東曹掾)을 지내다가, 가을 바람이 일어나자, 자기 고향 오중(吳中)의 고채(菰菜)와 농어[鱸魚]를 생각하면서 “인생은 자기 뜻에 맞게 사는 것이 귀중한데, 어찌 수천리 밖에서 벼슬에 얽매일 수 있겠느냐.” 하고는, 즉시 고향으로 돌아갔던 데서 온 말이다. 《晉書 卷九十二》 계응【季鷹】계응은 진(晉) 나라 장한(張翰)의 자(字)이다. 그가 낙양에서 벼슬살이를 하다가 가을 바람이 불어오자 고향인 오(吳) 땅의 순채국과 농어회 맛이 생각나서 벼슬을 그만두고 곧장 내려갔던 고사가 전한다. 《世說新語 識鑑》 계응구유사순흥【季鷹久有思蓴興】계응은 진(晉) 나라 때 장한(張翰)의 자인데, 그가 낙양(洛陽)에 들어가 벼슬을 하다가 가을 바람이 불기 시작하자, 자기 고향 오중(吳中)의 순채국[蓴羹]과 농어회[鱸魚膾]를 생각하면서 “인생은 뜻에 맞게 사는 것이 중요하다.” 하고는, 즉시 벼슬을 버리고 고향으로 갔던 데서 온 말이다. 《晉書 卷九二》 계응노오강【季鷹老吳江】벼슬을 그만두고 고향에서 만년을 보내고 싶다는 말이다. 계응(季鷹)은 진(晉) 나라 장한(張翰)의 자(字)이다. 낙양(洛陽)에 들어와서 동조연(東曹掾)의 벼슬을 하다가 가을바람이 이는 것을 보고 고향인 오중(吳中)의 순채국과 농어회가 생각나자 곧바로 돌아갔던 고사가 있다. 《晉書 卷92》 계응애순【季鷹愛蓴】계응(季鷹)은 장한(張韓)의 자(字)이다. 오(吳)나라 사람으로 진(晋)나라에 와서 벼슬하다가 세상에 난리가 날 것을 보고는, “내 고향인 강동(江東)에 순채(蓴菜)와 노어(鱸魚)가 맛이 좋은데 하필 천 리 밖에 벼슬할 필요가 있는가.” 하고, 곧 고향인 강동으로 돌아갔다. 계응어【季鷹魚】계응(季鷹)은 진(晉) 나라 때 깨끗한 지조로 이름 높았던 장한(張翰)의 자이며, 노어는 농어이다. 장한이 가을바람이 부는 것을 보고는 자신의 고향인 오중(吳中)의 순채국과 농어회가 생각나서 말하기를, “인생살이에 있어서는 뜻에 맞게 사는 것이 귀한 법인데, 어찌 벼슬에 얽매여서 수천 리 밖을 떠돌면서 명예와 관작을 노리겠는가.” 하고는, 드디어 수레를 타고 고향으로 돌아갔다. 《晉書 卷92 文苑列傳 張翰》 계응주【季鷹舟】계응(季鷹)은 진(晉) 나라 장한(張翰)의 자인데, 대사마 동조연(大司馬東曹掾)으로 있다가 고향 강동(江東)의 순채나물과 농어회가 그립다는 구실로 벼슬을 그만두고 배를 타고 돌아갔다는 데서 나온 말이다. 계응지기【季鷹知幾】계응은 진(晉) 나라 오군(吳郡) 사람 장한(張翰)의 자이다. 그가 일찍이 대사마 동조연(大司馬東曹掾)에 임명되었으나, 당시 세상이 혼란하여 화란이 곧 일어날 기미가 보이자 자기 고향 오군의 순채와 농어회 등을 생각하면서 말하기를 “인생이란 뜻에 맞는 것을 귀하게 여기는 것인데, 내 어찌 고향 떠나 수천 리 밖에 와서 부질없이 명예와 작위를 구하겠는가.” 하고는 재촉하여 수레를 고향으로 돌아갔다. 《晉書 卷九十二 文苑列傳 張翰》 계응추【季鷹秋】계응은 진(晉) 나라 때 깨끗한 지조로 이름 높았던 장한(張翰)의 자이다. 장한이 가을바람이 부는 것을 보고는 자신의 고향인 오중(吳中)의 순채국과 농어회가 생각나서 말하기를, “인생살이에 있어서는 뜻에 맞게 사는 것이 귀한 법인데, 어찌 벼슬에 얽매여서 수천 리 밖을 떠돌면서 명예와 관작을 노리겠는가.” 하고는, 드디어 수레를 타고 고향으로 돌아갔다. 《晉書 卷92 文苑列傳 張翰》 계응환【季鷹還】계응(季鷹)은 진(晉) 나라 장한(張翰)의 자(字)이다. 그가 낙양(洛陽)에서 벼슬살이를 하던 중에 가을바람이 불어오는 것을 보고는 고향인 오(吳) 땅의 고채와 순채와 농어회 생각이 불현듯 일어나서 그 길로 벼슬을 그만두고 곧장 돌아왔던 고사가 전한다. 《世說新語 識鑑》 계의【稽疑】시초와 영구는 상고 시대의 길흉을 점치는 도구이고, 계의는 의심나는 것을 알아본다는 뜻임.
10/20/30/40/50/60/70/80/90/100/10/20/30/40/50/60/70/80/90/200/10/20/30
|
|
|
|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 열자 |
|
|
|
|
||
Copyright (c) 2000 by Ansg All rights reserved <돌아가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