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곤양【昆陽】후한(後漢) 광무제(光武帝)가 왕망(王莽)의 대군을 격파한 곳이다. 곤양성【昆陽城】동한(東漢)의 광무제(光武帝)가 왕망(王莽)의 군사 백만을 무찌른 성이다. 곤양전상【昆陽戰象】후한(後漢) 경시(更始) 원년에 왕망(王莽)의 군사가 곤양에서 왕풍(王風), 유수(劉秀) 등 후한의 군사와 싸울 적에 코끼리를 이용해서 싸웠다. 《後漢書 卷1 光武帝紀》 곤어초학【困魚焦涸】장자(莊子) 외물(外物)에 “주(周 장자의 이름)가 수레바퀴 자국을 돌아보니 붕어[鮒魚]가 있었다. 주가 묻기를 ‘너는 무엇을 하는 자냐?’ 하니, 붕어가 ‘나는 동해의 파신(波臣)인데, 그대가 두승(斗升)의 물로 나를 살려 주겠는가?’ 했다.”는 말이 있는데, 이는 장자가 자기의 곤궁한 처지를 비유한 것이다. 곤오【錕鋘】해가 중천에 떠 있는 곳. 곤오검【昆吾劍】곤오산의 광석을 제련하여 만든 명검 이름이다. 곤오도【昆吾刀】곤오산(昆吾山)의 광물(鑛物)을 제련해서 만든 보검으로, 옥(玉)을 자를 수 있다고 하여 곤오할옥도(昆吾割玉刀)라고도 불리는데, 주 목왕(周穆王) 때 서호(西胡)가 바쳤다는 고사가 전한다. 《海內十洲記 鳳麟洲》 곤오적도【昆吾赤刀】주(周) 나라 곤오국(昆吾國)에서 생산되는 명검(名劍)으로, 붉은 빛을 발산하면서 마치 진흙을 베듯이 옥물(玉物)을 자른다고 한다.《元和志ㆍ海內十洲記》 곤외【閫外】곤외는 임금이 도성 밖으로 출병하는 장수를 떠나보낼 때 수레바퀴를 밀어주며 “성곽의 문지방 안은 과인이 처리할 테니, 그 바깥은 장군이 알아서 처리하라.[閫以內者 寡人制之 閫以外者 將軍制之]”고 했던 고사에서 유래한 것이다.《史記 卷102 馮唐列傳》 곤외분우【閫外分憂】옛날에 임금이 장수를 밖으로 보낼 때에, “도성문 안[城內]은 내가 맡을 것이요, 도성문 밖은 장군이 맡으라.” 하였는데, 임금의 걱정을 나누어 지방의 일을 맡는다는 말이다. 곤우치수【鯀禹治水】곤과 우의 치수 신화는 산해경ㆍ해내경에 실려 있다. 전하는 바에 의하면, 요임금 때 한차례 큰 홍수가 발생하여 12년 동안이나 지속되었다. 홍수는 마을을 통째로 삼키고, 인류가 고생하며 쌓아온 모든 성과들을 쓸어 없앴다. 하늘의 신 곤은 이러한 광경을 보고 매우 안타까워했다. 이에 홍수를 다스리기 위해 곤은 ‘불어나는 흙(息壤)’이라는 특별한 흙을 천상에서 몰래 훔쳐왔다. ‘불어나는 흙’은 끊임없이 생겨나는 능력이 있으니 이것으로 홍수를 막는다면 더 할 나위 없는 것이었다. 곤이 큰 공을 이룰 바로 그 때 천제가 이 일을 알게 되었다. 곤이 감히 ‘불어나는 흙’을 훔쳐 인간세상에 가지고 간 것은 하늘을 무시하는 대역무도한 행위였다. 천제는 크게 진노하여 영을 내려 곤을 우산(羽山)에서 사형에 처하고, 나머지 ‘불어나는 흙’을 모두 몰수하였다. 오래지 않아 홍수가 다시 일어나 사람들을 괴롭혔다. 곤이 죽은 후, 그의 아들 우가 일을 이어받았는데, 우는 부친이 홍수를 막았던 방법을 채용하지 않고, 용문(龍門)을 파고 구하九河의 물꼬를 터서 홍수를 동쪽으로 흘러 바다로 들어가게 했다. 우는 한결같은 마음으로 물을 다스리느라 30세가 되어서도 미처 결혼을 하지 못했다. 후에 그는 도산(塗山)씨와 결혼했는데, 갓 결혼한 지 얼마 안되어 곧 집을 떠나 치수하러 갔다. 10년간 치수하면서 그는 집을 세 번이나 지나갔지만 안에 들어서지 않았다. 전하는 바에 의하면, 우는 곰으로 변해서 산을 일구었고, 또한 용으로 하여금 치수를 돕도록 명령할 수 있었다 한다. 우의 영도 아래, 백성들은 마침내 역사상 유례없이 거대하기 짝이 없는 홍수를 제압했다. 곤원【坤元】지도(地道)의 큰 덕을 말한다. 곤월【袞鉞】공자가 실제로 정치할 수 없게 되자 춘추(春秋)를 지었는데, 한 (字)로 표창한 것이 곤룡포[袞]보다 영광스럽고 한 자로 깎은 것이 도끼[鉞]보다 무섭다 하였다.
10/20/30/40/50/60/70/80/90/100/10/20/30/40/50/60/70/80/90/200/10/20/30
|
|
|
|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 열자 |
|
|
|
|
||
Copyright (c) 2000 by Ansg All rights reserved <돌아가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