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공판【邛阪】공래구절판(邛郲九折阪)의 준말이다. 공평무사【公平無私】사사로운 이익이나 욕심을 버리고 공정하게 사물을 보는 것. 공포【孔誧】궐리(闕里)지역의 인물지(人物志)에, “보(誧)의 자는 중조(仲助)이고 노(魯)의 상사(相史)다.” 하였음. 공피고아【攻彼考我】상대를 공격하려면 자기 자신을 먼저 살펴야 함 공핍군흥오자부【恐乏軍興汚資斧】군량이 결핍되어 자부를 더럽힐까 두렵다. 이 말은 주역(周易) 손(巽)괘 상구(上九)효사(爻辭)에, “上九 巽在牀下 喪其資斧 貞凶”이라고 보임. 자부(資斧)는 재화(財貨)와 기용(器用)을 말함. 공행공반【空行空返】행하는 것이 없으면 돌아오는 것(소득)도 없음 공형【公兄】조선조 각 고을의 상급 관속(官屬). 호장(戶長)ㆍ이방(吏房)ㆍ수형리(首刑吏)를 일러 삼공형(三公兄)이라고 함. 공혜장【空蕙帳】공치규(孔雉珪)의 북산이문(北山移文)에 “산 사람 가고 없으니, 혜초 장막 비었네[山人去兮黃帳空].”라고 하였다. 공화【空花】공중의 꽃이란 뜻으로, 허공 중에는 본디 꽃이 없는 것이지만, 눈병 있는 사람이 혹시 이를 보는 수가 있다. 본디 실재하지 않는 것을 실재한 것이라고 잘못 아는 것을 비유한 말로, 즉 망상(妄想)을 의미한다. 공화【空花】눈으로 천공(天空)을 쳐다볼 적에 아무것도 없는 공중에서 마치 꽃 같은 것이 어른어른하게 보이는 것을 말하는데, 불가(佛家)에서 이르는 번뇌(煩惱)의 일종인 망상(妄想)을 뜻한다. 공화【共和】두 사람 이상이 화합하여 정무(政務)를 시행함. 소공(召公)과 주공(周公) 두 사람이 함께 나라를 다스린 것을 가리키는 말에서 기원. 공화【空華】불경(佛經)에, “일체의 세간(世間)은 허공에 아른거리는 꽃과 같다.” 하였는데, 그것은 눈에 병이 있는 사람이 허공을 쳐다보면 꽃 같은 것이 아른거리나 실제로는 꽃이 없다는 뜻이다. 공화만안【空花滿眼】눈병에 걸리면 허공에 꽃이 만발한 듯 보이는 것처럼 중생의 번뇌로 말미암아 떠오르는 여러 가지 망상을 뜻하는 불교의 용어이다. 공황【龔黃】공황은 한(漢) 나라 때의 순리(循吏)인 발해 태수(渤海太守)의 공수(龔遂)와 영천 태수(潁川太守) 황패(黃霸)의 병칭이다. 유자휘(劉子翬)의 시에 “백성 잘 다스리기론 한 나라 공황이 최고일레.[治民漢許龔黃最]" 라고 하였다. 공황황【孔遑遑】황황(遑遑)은 바쁘다는 말인데, “공자 맹자도 역시 황황하였다.”는 구절이 송 나라 구양수(歐陽修)의 글에 있다. 공자와 맹자가 때를 만나지 못하여 사방(四方)으로 바쁘게 돌아다녔다는 말이다. 맹자(孟子) 등문공 하(縢文公 下)에 공자(孔子)가 벼슬을 잃은 지 석 달만 되면 마음이 황황하여 국경을 나갈 때에 반드시 폐백을 준비했다고 하였다. 공회정【孔懷情】시경(詩經) 소아(小雅) 상체(常棣)에, “죽어 장사하는 두려움에 형제간에 몹시 걱정한다.[死喪之威 兄弟孔懷]”하였다. 공후【箜篌】현악기(絃樂器)의 한 가지임. 공후사【箜篌詞】고조선(古朝鮮) 곽리자고(霍里子高)의 처(妻) 여옥(麗玉)이 지었다는 ‘공무도하가(公無渡河歌 공후인(箜篌引)이라고도 함)’를 말한다. 한 노인이 미쳐서 머리를 흩뜨린 채 술병을 들고 강물을 건너다가 빠져 죽자, 이를 말리던 노인의 처 역시 공후(箜篌)를 끌어다 노래를 부르고는 강물에 몸을 던져 죽었다는 내용이다. 《樂府詩集 相和歌辭 箜篌引》 공후인【箜篌引】고조선(古朝鮮)의 진졸(津卒) 곽리자고(霍里子高)의 아내 여옥(麗玉)이 지은 악부곡으로, 어떤 백수광부(白首狂夫)가 하수(河水)를 건너다 빠져 죽자, 그의 아내가 공후(箜篌)를 가져다 슬피 노래한 다음 그 역시 하수에 투신 자살한 사실을 남편으로부터 전해 듣고 이 곡을 지었다 한다. 공무도하가(公无渡河歌)라고도 한다. 공후입몽【箜篌入夢】미래에 자기 아내가 될 여인을 꿈에 본 것을 일러 공후입몽(箜篌入夢)이라고 함. 《閱微草堂筆記》 공휴원【孔休源】양 무제(梁武帝) 때의 명신. 공휴일궤【功虧一궤】흙을 돋우어 산을 만들 때 한 삼태기의 흙 때문에 산이 무너질 수 있다는 뜻. 잠깐의 사소한 방심으로 된 일이 실패로 돌아감.
10/20/30/40/50/60/70/80/90/100/10/20/30/40/50/60/70/80/90/200/10/20/30
|
|
|
|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 열자 |
|
|
|
|
||
Copyright (c) 2000 by Ansg All rights reserved <돌아가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