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채팽윤【蔡彭胤】조선조 영조 때 사람. 자는 중기(仲耆), 이름은 팽윤(彭胤), 호는 희암(希菴). 형조 참판을 거쳐 부제학(副提學)을 지냈고, 시와 글씨에 뛰어났음. 저서에는 희암집(希菴集)이 있음. 채필【綵筆】남조(南朝)의 강엄(江淹)이 꿈속에서 오색필(五色筆)을 곽박(郭璞)에게 돌려준 뒤로부터 미문(美文)이 나오지 않았다는 고사와, 이태백(李太白)이 붓 끝에 꽃이 피는 꿈을 꾸고 난 뒤로부터 더욱 시상(詩想)이 풍부해졌다는 ‘채필생화(綵筆生花)’의 고사가 전한다. 《南史 卷59 江淹傳ㆍ開元天寶遺事 夢筆頭生花》 채필【彩筆】뛰어난 문장 솜씨를 이름. 양(梁) 나라 때 문장가인 강엄(江淹)이 어릴 적에, 자칭 곽박(郭璞)이란 사람으로부터 채색 붓을 받는 꿈을 꾸고부터 시문(詩文)으로 명성을 크게 떨쳤는데, 한번은 꿈에 자칭 곽박(郭璞)이라는 사람이 나타나 “내 붓이 그대에게 다년간 있었으니 이제는 돌려달라.” 하므로, 강엄이 품속에서 오색필(五色筆)을 꺼내 그에게 돌려주었는데, 그 꿈을 꾼 이후로는 강엄의 재주가 다해버렸다는 고사에서 온 말이다. 《梁書 卷十四》 채필【綵筆】뛰어난 문장 실력을 뜻한다. 이백(李白)이 붓 머리에 꽃이 피어나는 꿈을 꾸었다는 “綵筆生花”의 고사에서 유래한 것이다. 채필무공【彩筆無功】재능이 떨어졌다고 스스로 비유한 말. 양(梁)나라 때 강엄(江淹)이 젊어서 문장으로 크게 이름을 떨쳤었는데, 한번 야정(冶亭)에서 잠을 자다가 꿈을 꾸었는바, 꿈에 한 장부가 나타나 곽박(郭璞)이라 자칭하면서 “내 붓이 그대에게 가 있은 지 여러 해가 되었으니, 이제는 돌려줘야겠다.” 하므로, 강엄이 자기 품속에서 오색필(五色筆)을 꺼내 주었더니, 그 후로는 재주가 떨어져서 시를 지어도 미사여구가 전혀 없었다는 고사에서 온 말이다. 《梁書 卷十四》 채필토홍예【彩筆吐虹蜺】훌륭한 문장을 짓는 것을 비유한 말. 채색 붓이란, 양(梁) 나라 때 강엄(江淹)이 일찍이 문장으로 이름이 높았는데, 어느 날 꿈에 곽박(郭璞)이라 자칭하는 사람이 와서 자기 붓을 돌려 달라고 하자, 강엄이 품속에서 오색필(五色筆)을 꺼내어 그 사람에게 주었던바, 그 후로는 강엄에게 훌륭한 문사가 나오지 않았다는 고사에서 온 말이고, 무지개를 토한다는 것 또한 시문의 재주가 풍부함을 형용한 말이다. 《南史 江淹傳》 채혈각이도강【蔡血脚而途僵】송 나라 때 채원정(蔡元定)이 간신인 한탁주(韓侂冑) 등으로부터 위학(僞學)이란 배척을 받고 도주(道州)로 귀양가면서 짚신을 신은 채 3천여 리를 계속 가고 나니, 다리에서 피가 흘러 내렸다는 고사이다. 《宋史 卷四百三十三》 채호재고진【彩毫才告盡】양(梁) 나라 강엄(江淹)이 꿈속에서 곽박(郭璞)으로부터, 맡겨 놓았던 붓을 되돌려달라는 요구를 받고 품속을 더듬어 5색의 붓을 내준 뒤로는 뛰어난 글이 나오지 않았으므로 사람들이 “이제는 그의 재주가 다했다.” 하였다. 채호제구벽롱사【彩毫題句碧籠紗】당나라 왕파(王播)가 어릴 때 곤궁하여 양주(楊州) 혜소사(惠昭寺) 목란원(木蘭院)에서 거처할 때 그곳의 중들로부터 푸대접을 받았다가 나중에 존귀한 신분으로 다시 그곳을 찾아가서 보니 지난날 그가 절의 벽에 써붙였던 시구를 푸른 비단으로 감싸놓았다 한다. 곧 미천할 때 지었던 글이 신분이 존귀해짐과 동시에 좋은 대접을 받는 것을 뜻한다. 채홍준사【採紅駿使】연산군 때 삼남의 미녀와 양마(良馬)를 뽑아 올리도록 보내던 사신을 말한다. 채화지【採華芝】당(唐) 나라 이상은(李商殷)의 동환(東還)이란 시에 “신선의 재능 있음을 스스로 알지 못해, 십 년 동안 길이 꿈속에서 영지를 캐었구나.” 하였는데, 이는 재능이 있으면서도 벼슬하지 않고 은거하였음을 뜻한다.
10/20/30/40/50/60/70/80/90/100/10/20/30
|
|
|
|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 열자 |
|
|
|
|
||
Copyright (c) 2000 by Ansg All rights reserved <돌아가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