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치절【痴絶】지극히 어리석다는 말로, 진서(晋書) 권92에 “세상에서 말하기를, 고개지(顧愷之)는 세 가지 뛰어난 것이 있으니, 재주가 뛰어나고[才絶], 그림 솜씨가 뛰어나고[畫絶], 어리석음이 뛰어났다[痴絶]고 했다.” 한 데서 온 말인데, 여기서는 더없이 기쁘다는 뜻이다. 치절【癡絶】치절은 아주 시시하다는 말로, 진서(晋書) 고개지전(顧愷之傳)에 “고개지(顧愷之)가 삼절(三絶)이 있는데, 재절(才絶)ㆍ화절(畫絶)ㆍ치절(癡絶)이라 하였다. 치조비조【雉朝飛操】제 선왕(齊宣王) 때의 처사(處士)인 독목자(犢牧子)는 나이 50세가 되도록 아내가 없었으므로, 한번은 산에 땔나무를 하러 갔다가 암꿩과 수꿩이 서로 따르며 날아다니는 것을 보고는, 하늘을 우러러 탄식하기를, “대성(大聖)이 위에 계시어 은택이 초목 금수에까지 미치고 있는데 나만 유독 은택을 입지 못했다.” 하고, 인하여 거문고를 타서 치조비조(雉朝飛操)를 지어 불렀다고 한다. 《樂府詩集 琴曲歌辭》 치지도외【置之度外】내버려 두고 상대하지 않음. 치진피소포【緇塵避素袍】성정이 고결한 인사들은 도성에서 벼슬살이하는 일을 그만두고 은거하는 생활을 즐겼다는 말이다. 진(晉) 나라 육기(陸機)가 “서울엔 어찌 그리 풍진도 많은지, 흰 옷이 온통 새카맣게 변하였네.[京洛多風塵 素衣化爲緇]”라고 읊은 데에서 유래한 것이다. 《文選 卷24 爲顧彦先贈歸》 치창시【熾昌詩】시경(詩經) 노송(魯頌) 비궁(閟宮)에 “너에게 부귀 영화가 불일 듯하고, 너에게 오래 살고 덕이 있게 하기 바라노라[俾爾熾而昌 俾爾壽而臧]”하였다. 치천【穉川】박상홍(朴相洪)의 자이다. 이덕무의 외사촌동생이다. 치천【稚川】진(晉) 나라 때 도가(道家)로 이름난 갈홍(葛洪)의 자이다. 치첩【雉堞】치첩은 성(城) 위에 쌓은 성가퀴로 여장(女墻)이라고도 하는데, 지금도 동대문에 남아 있는데, 활쏘는 구멍을 뚫어 놓은 그것이다. 치청산인【豸靑山人】이개(李鍇). 자는 철군(鐵君)으로 봉천(奉天) 사람이다. 벼슬이 제수되었으나 나아가지 않고 아내와 함께 반산(盤山)에 은거하여 치청봉(豸靑峯) 밑에서 농사를 지었다. 저서로는 함중집(含中集)이 있다. 치초【鵗超】진(晉) 나라 때 사람으로 특히 담론(談論)을 잘하였으므로, 일찍이 환온(桓溫)의 참군(參軍)이 되어 극진한 예우를 받았었다. 치치【侈侈】성한 모양 치치남기취차성【哆侈南箕取次成】아첨과 참소가 난무한다는 말이다. 시경(詩經) 소아(小雅) 항백(巷伯)에 “약간씩 떨어져 제자리 잡고, 남기성 별자리 이루었구나. 참소하는 저 자들, 누구와 모의하려 저리 바쁜고.[哆兮侈兮 成是南箕 彼譖人者 誰適與謀]”라고 하였다. 치치무포맹【蚩蚩貿布氓】시경(詩經) 위풍(衛風) 맹(氓)에 “어수룩한 저 남자, 베 안고 실 사러 찾아왔는데, 실 사러 온 것이 목적이 아닌지라, 나에게 곧장 와서 수작을 붙이누나.[氓之蚩蚩 抱布貿絲 匪來貿絲 來卽我謀]”라는 말이 있다. 치현보【治縣譜】남제(南齊) 때 부염(傅琰)의 부자가 모두 지방관으로 뛰어난 업적이 있었는데, 사람들이 말하기를, “부씨(傅氏) 집안에는 고을을 잘 다스리는 비결을 적은 보첩(譜牒)이 있는데, 자손들에게만 전하고 남에게는 보여주지 않는다.” 하였다 한다.
10/20/30/40/50/60/70/80/90/100/10/20/30
|
|
|
|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 열자 |
|
|
|
|
||
Copyright (c) 2000 by Ansg All rights reserved <돌아가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