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옛글닷컴ː명언명구/사전

하늘구경  

 

 

 

 

침가비【沈家脾】심씨(沈氏)는 곧 당(唐) 나라 심전사(沈傳師)를 가리키는데, 그는 밥을 잘 먹기로 유명했기 때문에 이른 말이다.

침개【針芥】자석(磁石)에 붙는 바늘과 호박(琥珀)에 붙는 개자. 자석은 능히 바늘을 끌어오고 호박(琥珀)은 능히 개자(芥子)를 줍는다는 옛말이 있으므로 사람의 정과 성(性)이 계합(契合)하는 것에 인용함.

침계평안불사시【寢戒平安不似屍】시체처럼 눕지는 말라는 뜻. 논어(論語) 향당(鄕黨)에 “공자는 누울 적에 시체처럼 하지 않았다.” 하였는데, 집주(集註)에 “이것은 시체와 같은 것을 미워해서 뿐만 아니라 게으른 기색을 보이지 않기 위해서이다.” 하였다.

침고【沈橭】주(周)시대에 수충(水蟲)제거를 맡았던 호탁씨(壺涿氏)가 수신(水神)을 죽이기 위하여 느릅나무 줄기에다 구멍을 뚫고 그 구멍에다 상아(象牙)를 꿰어 십자(十字)모양으로 만든 다음 그것을 물 속에다 가라앉히면 그곳 수신은 죽고 그 못은 변하여 구릉이 된다는 것이다. 《周禮 秋官 壺涿氏》

침과【枕戈】부모의 원수를 갚으려 할 적에는 거적자리에 잠자고 창을 베고 자며, 원수와는 한 하늘 밑에 같이 살지 않는다 하였다. 《禮記》

침과【枕戈】창을 베고 잔다는 뜻인데, 군국(軍國)의 일로 인하여 편하게 잠자지 않음을 비유한 것으로, 위급한 사태가 발생하였을 경우 즉시 대비하기 위하여 항상 경계를 하고 있는 것을 말한다. 《晉書 劉琨傳》

침괴【枕塊】부모 상중(喪中)에 비통한 뜻을 표시하기 위하여 상주(喪主)가 누울 때 흙덩어리를 베개로 삼는 것을 말한다.

침괴명발와【枕塊明發窩】명발와는 김종직(金宗直)의 서재 이름이고, 흙덩이를 벤다는 것은 곧 부모의 상중에 있음을 뜻함. 의례(儀禮) 기석례(旣夕禮)에 “거적을 깔고 흙덩이를 벤다.[寢苫枕塊]”하였다.

침류수석【枕流漱石】진(晋) 나라 손초(孫楚)가 산수간에 숨어살겠다는 뜻을 말하면서, “나는 장 돌을 베개로 삼고 흐르는 물에 입을 씻겠다.” 하려는 것이 말이 잘못 나와서, “흐르는 물을 베고 돌로 입을 씻겟노라.” 하였다. 옆에 사람이 조롱하기를, “흐르는 물을 어찌 베개로 삼으며 돌로 어찌 입을 씻으랴.” 하니, 그는 답하기를, “흐르는 물을 베개로 함은 귀를 씻으려는 것이요, 돌로 입을 씻음은 이[齒]를 잘 닦으려 함이다.” 하였다는 일화(逸話)가 있다.

침명도【沈冥圖】자신의 자취가 세상에 드러나지 않고 묻혀지게 하려는 의도를 뜻한다.

침묘【寢廟】옛날 종묘(宗廟)의 제도에, 앞에 있는 것을 묘(廟), 뒤에 있는 것을 침(寢)이라 하였다.

침문【寢門】내실(內室)의 문. 당 나라 백거이(白居易)의 장경집(長慶集) 권11 곡제고인인기원8(哭諸故人因寄元八)에 “어제도 침문에서 통곡을 하고 오늘도 침문에서 통곡하였네[昨日哭寢門 今日哭寢門].” 하였음.

침문【寢門】친구의 죽음에 곡(哭)하는 것을 뜻함. 공자(孔子)가 말하기를 “스승에게는 내가 정침(正寢)에서 곡하고, 친구에게는 내가 침문(寢門) 밖에서 곡할 것이다.” 한 데서 온 말인데, 침문은 곧 정침의 문을 가리킨다. 《禮記 檀弓上》

침문【寢門】태자가 새벽마다 황제의 침실(寢室) 문 앞에 문안하였다.

 

10/20/30/40/50/60/70/80/90/100/10/20/30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 열자

한비자 / 육도삼략 / 소서 / 손자병법 / 전국책 / 설원 / 한서 / 고사성어 / 옛글사전

소창유기 / 격언연벽 / 채근담(명) / 채근담(건) / 명심보감(추) / 명심보감(법) / 옛글채집

 

 

www.yetgle.com

 

 

Copyright (c) 2000 by Ansg All rights reserved

<돌아가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