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하계【霞溪】하계는 권유(權愈)의 호인데 숙종 때 대사간과 예문관 대제학 등을 역임하였다. 하계구가【夏啓謳歌】하(夏) 나라의 우(禹)가 죽은 뒤에, 백성들이 우의 아들 계(啓)에게 칭송[謳歌]하고 따랐다. 하계진【賀季眞】당 나라 초기의 시인인 하지장(賀知章)을 말하는데, 계진은 곧 그의 자이고, 호는 사명광객(四明狂客)이다. 하곡【荷谷】허봉(許篈)의 호. 하공【何公】하공은 진 무제(晉武帝) 떄 벼슬이 태위(太尉)에 이른 하증(何曾)을 말한다 하과【夏課】고려 때 선비들의 학습 관례. 5~6월이 되면 선비들이 절의 승방(僧房)을 빌려 약 50일 간 함께 모여 글을 읽는 것을 말하는데, 십이도(十二徒) 초창기에 성행하였다. 특히 최충(崔冲)의 문도는 귀법사(歸法寺)의 승방을 빌려 하과를 닦았는데, 그들 중 학업이 우수한 자들을 뽑아 각촉부시(刻燭賦詩)를 시험하여 우수한 자를 술로 표창하였다. 하과【夏課】옛날에 공부하는데 가을과 겨울에는 글을 읽고, 여름에는 글짓기를 일과(日課)로 하였다. 하관【荷冠】비를 막으려고 연잎으로 만든 고깔. 하괴【荷蕢】세상에 나가지 않고 은거(隱居)한 현인을 말한다. 하궤는 삼태기를 진 사람으로 은거한 현인이다. 논어(論語) 헌문(憲問)에 “공자가 위(衛) 나라에서 경(磬)을 치고 있었는데 삼태기를 지고 공자의 집앞을 지나가는 사람이 있었다.”고 하였는데, 주자(朱子)의 주에 “이 역시 은거한 현인이다.”라고 하였다. 하괴【河魁】하괴는 문곡성(文曲星)을 말한 것인데, 이백(李白) 사마장군가(司馬將軍歌)에 “몸이 옥장에 거하매 하괴(河魁)가 임하고 붉은 수염 창 같은데, 머리에 쓴 관 산처럼 높아라.” 한 시가 있다. 하괴【荷蕢】하궤는 논어(論語)에 있는데 공자가 위(衛)에 있을 때, 삼태기를 멘 사람[荷蕢者]이 문 앞을 지나가며, 공자의 세상을 건지려고 다니는 것을 조롱한 은사(隱士)이다. 하교【河橋】이별하는 장소로 곧잘 등장하는 시어(詩語)이다. 보통 하교 양류(河橋楊柳)로 많이 쓴다. 하교일자다【河橋一字多】이별할 때에는 한마디의 말도 오히려 많다는 뜻. 하교는 교량(橋梁)을 가리키는 말인데, 이별을 읊은 시에 주로 등장한다. 하군【何窘】어찌나 군색한지. 하궤【荷簣】혼란한 세상을 피해 숨어사는 사람을 말한다. 논어(論語) 헌문(憲問)에, 삼태기를 메고 가던 사람[荷簣人]이 공자의 경쇠 소리를 듣고는 “경쇠 두들김이여, 마음이 세상에 있구나.[有心哉 擊磬乎]”라고 비평한 내용이 나온다. 하규【夏畦】증자(曾子)가 이르기를 “어깨를 으쓱이면서 아첨하여 웃는 짓이 무더운 여름날에 김매기보다 괴로운 일이다.”고 한 데서 온 말인데, 하규(夏畦)는 곧 여름날 논밭에 나가 김매는 것을 말한다. 《孟子 滕文公下》
10/20/30/40/50/60/70/80/90/100/10/20/30/40/50/60
|
|
|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 열자 |
|
|
|
|
Copyright (c) 2000 by Ansg All rights reserved <돌아가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