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하로【賀老】이태백(李太白)을 적선(謫仙)이라고 일컬었던 당(唐) 나라의 하지장(賀知章)을 높여 부르는 말이다. 비서감(祕書監)으로 있다가 그의 고향인 회계산 경호(鏡湖)의 도사(道士)로 나가게 해 줄 것을 청하자, 현종(玄宗)이 경호(鏡湖) 1곡(曲)을 하사하였으므로, 경호를 하감호(賀監湖) 혹은 감호(鑑湖)로 부르게 되었는데, 이 시의 감호당이라는 당호(堂號) 역시 여기에서 비롯된 것이다. 참고로 이태백의 시에 “강동을 향해서 가고 싶다만, 정작 누구와 술잔을 들꼬. 회계산에 이미 하로도 없지 않나, 술 실은 배 노 저어 돌아올밖에.[欲向江東去 定將誰擧杯 稽山無賀老 却棹酒船回]”라는 구절이 나온다. 《李太白集 卷22 重憶》 소동파의 시에 “경호에 하감 같은 사람이 없어, 혜산의 길목에서 통곡하노라.[鏡湖無賀監 慟哭嵆山道]”라는 구절이 보인다. 《蘇東坡詩集 卷15 哭 景純》 하로동선【夏爐冬扇】여름의 화로와 겨울의 부채. 쓸모 없는 재능을 말한다. 하로아오어【賀老雅吳語】하로(賀老)는 당(唐) 나라 때의 시인 하지장(賀知章)을 이른다. 그는 현종(玄宗) 때에 벼슬이 비서감(祕書監), 예부 시랑(禮部侍郞)에 이르러 그만두고 도사(道士)가 되기를 청하여 고향으로 돌아갔었다. 오어(吳語)는 남방(南方)의 방언을 가리키는데, 두보(杜甫)의 견흥시(遣興詩)에 “하공은 본디 오어를 잘하여, 관직에 있어도 항상 맑고 미치광이 같았네[賀公雅吳語 在位常淸狂].”라고 한 데서 온 말이다. 《杜少陵集 卷七》 하루【何陋】공자가 구이(九夷)에 살고 싶어하자, 어떤이가 말하기를 “고루해서 어떠하시겠습니까?" 하니, 공자가 “군자가 사는데 무엇이 고루하겠는가.” 한 데서 온 말이다. 《論語 子罕》 하류신난처【下流信難處】논어(論語) 자장(子張)에 “군자는 하류에 처하는 것을 싫어하나니, 천하의 악이 모두 그곳으로 모여들기 때문이다.[君子惡居下流 天下之惡皆歸焉]”라고 한 공자의 제자 자공(子貢)의 말이 실려 있다. 하륜【下淪】낮게 깔리다. 하리【何李】명(明) 나라 때의 시인인 하경명(何景明)과 이몽양(李夢陽)을 병칭한 말이다. 하리가【下里歌】장사를 치를 때 무덤 앞에서 부르는 노래란 뜻으로, 만가(挽歌)를 가리킨다. 하리백설【下里白雪】하리곡과 백설곡은 전국시대 초 나라의 곡명으로, 하리곡은 수준이 매우 낮고 백설곡은 매우 높다 하여 흔히 시 품격의 높낮이에 대한 대칭으로 쓰인다. 하막학부시【何莫學夫詩】공자가 제자들에게 왜 시경(詩經)을 배우지 않느냐고 질책하면서, 시는 일으킬 수 있으며 살필 수 있으며 무리를 지을 수 있으며 원망할 수 있으며, 가까이는 어버이를 섬기고 멀리는 임금을 섬길 수 있게 하며 조수와 초목의 이름을 많이 알게 한다고 하였다. 《論語 陽貨》 하만자【何滿子】사곡(詞曲) 이름. 하만(何滿)은 사람 이름인데, 그가 형장(刑場)에 나아갔을 때 자신의 속죄(贖罪)를 위하여 이 사곡을 비로소 만들었다고 함. 백거이(白居易)의 하만자(何滿子)
10/20/30/40/50/60/70/80/90/100/10/20/30/40/50/60
|
|
|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 열자 |
|
|
|
|
Copyright (c) 2000 by Ansg All rights reserved <돌아가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