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옛글닷컴ː명언명구/사전

하늘구경  

 

 

 

 

함방원【含芳院】연산군이 의성위(宜城尉)의 집을 치우고 계평악(繼平樂)을 거처케 한 뒤 붙인 이름이다.

함벽【銜璧】항복하는 예로서, 스스로 죄인을 자처하여 손을 뒤로 결박하였으므로, 부득이 상대에게 바칠 예물인 옥벽을 입에 문다는 고사에서 온 말이다. 《左傳僖公 六年》

함부림【咸傅霖】여말 선초의 문신. 호는 난계(蘭溪). 시호는 정평(定平). 고려 말에 병조 정랑(兵曹正郞) 등을 역임하고, 이조의 개국공신(開國功臣) 3등에 들었으며, 이후에 또 동북면 도순문찰리사(東北面都巡問察理使) 등을 역임하였다. 《高麗史》

함분축원【含憤蓄怨】분한 마음(분노)을 품고 원한(원망)을 쌓음. 분하고 원통한 마음을 가짐

함사사영【含沙射影】모래를 머금어 그림자를 쏘다란 말로 암암리에 사람을 해친다는 뜻.

함삭【銜索】아가미에 새끼줄이 꿰어진 생선꾸러미란 뜻으로, 몸이 구속되어 있어 부모를 효도로써 봉양하지 못한다는 말이다.

함삼【函三】함삼은 태극(太極)의 원기(元氣)가 아직 나누어지지 않아 천(天)ㆍ지(地)ㆍ인(人)이 하나로 혼합되어 있는 혼돈(混沌) 상태를 말한다. 《漢書 律曆志 注》

함상서【咸尙書】함상서는 고려(高麗) 명종(明宗) 때 공부상서(工部尙書)를 지낸 함유일(咸有一)을 가리킨다.

함서【緘書】고문진보(古文眞寶) 전집(前集) 악부 상(樂府上)에 “손이 먼 곳에서 와서 나에게 한 쌍의 잉어를 주길래, 아이를 불러 삶게 했더니 뱃속에 편지 한 폭이 들어 있었네.” 하였다.

함소【咸韶】요(堯)의 악(樂)인 함지(咸池)와 순(舜)의 악인 소무(韶舞).

함소리【含消梨】한 무제(漢武帝)의 동산에서 생산되었다는 배의 일종으로, 닷되들이 항아리만큼 커서 땅에 떨어지면 깨지기 때문에 주머니를 밑에 받치고 땄다고 한다. 곧 질좋은 배를 말한다.

함양【咸陽】진(秦) 나라 서울이었는데 항우(項羽)가 불을 놓아서 모두 태워버렸다.

함영【含景】초목(草木)의 꽃.

함영【咸英】황제(黃帝)가 만든 음악인 함지(咸池)와 제곡(帝嚳)이 만든 음악인 오영(五英)을 합칭한 말이다.

함우주주【銜羽周周】주주(周周)는 새의 이름인데, 이 새는 머리가 무겁기 때문에 하수(河水)에서 물을 마시려면 반드시 넘어지므로, 언제나 깃을 입에 물고 물을 마신다는 고사에서 온 말이다.

함유일【咸有一】함유일 고려(高麗) 명종(明宗) 때 공부상서(工部尙書)를 지냈는데, 그는 일찍이 의종(毅宗) 때 내시(內侍)에 들어가 교로도감(橋路都監)을 관장하면서 무당들을 교외로 추방하고, 음사(淫祠)를 불지르는 등 미신 타파에 힘썼다.

 

10/20/30/40/50/60/70/80/90/100/10/20/30/40/50/60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 열자

한비자 / 육도삼략 / 소서 / 손자병법 / 전국책 / 설원 / 한서 / 고사성어 / 옛글사전

소창유기 / 격언연벽 / 채근담(명) / 채근담(건) / 명심보감(추) / 명심보감(법) / 옛글채집

 

 

www.yetgle.com

 

 

Copyright (c) 2000 by Ansg All rights reserved

<돌아가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