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옛글닷컴ː명언명구/사전

하늘구경  

 

 

 

 

현감【玄鑑】깊은 견해, 임금.

현개경【玄介卿】거북 또는 귀갑(龜甲)을 지칭하는 말로, 장수(長壽)를 뜻한다.

현거【懸車】현거속마(懸車束馬)의 준말로, 험난한 역정(歷程)을 뜻한다.

현거【懸車】수레를 달아매고 다시 출세하지 않을 뜻을 보인다는 말. 후한서(後漢書)에 “진식(陳寔)이 여러 번 부름을 입고도 나서지 않음과 동시에 문을 닫고 수레를 매달았다[陳寔屢徵不起閉門懸車].” 하였다.

현거【懸車】재상이 늙어 퇴직한 뒤에는 수레를 달아매 놓고 다시 출입하지 아니한다는 뜻이다. 한(漢) 나라 때 설광덕(薛廣德)이 연로(年老)하여 벼슬을 그만두고 나온 뒤 천자가 하사한 안거(安車)를 매달아 놓고 자손에게 전하여 영광으로 삼았다는 고사에서 온 말. 곧 치사(致仕)의 뜻을 나타내는 말이다. 《漢書 卷七十一 薛廣德傳》

현검【懸劍】춘추 시대 오(吳) 나라 계찰(季札)의 고사. 처음 먹은 마음을 끝까지 지키는 것을 뜻함. 계찰이 상국(上國)으로 사신가는 길에 서(徐) 나라 임금을 잠깐 찾아보았는데, 서 나라 임금이 계찰의 보검(寶劍)을 보고는 그것을 갖고 싶어하면서도 차마 말을 못하였다. 그러자 계찰은 마음속으로 그 칼을 그에게 주기로 약속하고 떠났었는데, 그후 계찰이 사명을 마치고 돌아오는 길에 다시 그 곳에 들르니 서 나라 임금이 이미 죽었으므로, 계찰이 “내가 처음에 마음속으로 이미 허락한 것이니, 그 사람이 죽었다 해서 내 마음을 변할 수 없다.” 하고, 그 칼을 그의 묘수(墓樹)에 걸어두고 떠났던 고사에서 온 말이다. 《史記 卷三十一 吳太伯世家》

현경【玄經】한(漢) 나라 양웅(揚雄)이 지은 태현경(太玄經)을 가리킨다. 양웅이 좋아하는 술도 먹지 못할 정도로 가난하였는데, 아무도 찾아오지 않는 중에 가끔씩 문자를 물으러 오는 자들이 주효(酒肴)를 싸 들고 왔다는 고사가 있다. 《漢書 揚雄傳下》

현경실【懸磬室】아무것도 없는 집을 가리킨다. 국어(國語) 노어(魯語)에 “노(魯) 나라의 창고가 텅 비어서 마치 틀에 매달려 있는 경쇠와 같다.” 했으므로 이른 말이다.

현경자【玄卿子】먹의 이칭.

현경초【玄經草】양웅(揚雄)은 은거(隱居)하면서 태현경(太玄經) 초고(草稿)를 만들었다.

현경취후종조백【玄經就後從嘲白】한(漢) 나라 양웅(揚雄)이 태현경(太玄經)을 지을 때에 벼락감투를 쓴 자들이 “완전히 검지 못하고 아직도 하얗다.[玄尙白]”고 조롱들을 하였는데, 여기에 기인하여 후대에 공명(功名)을 이루지 못한 것을 비유하는 말로 쓰이게 되었다. 《漢書 揚雄傳下》

현곡【玄谷】정백창(鄭百昌)의 호이다.

현곤【玄袞】제사를 지낼 때 입는 예복이다.

현공【玄公】호가 현옹(玄翁)인 신흠(申欽)을 말한다.

 

10/20/30/40/50/60/70/80/90/100/10/20/30/40/50/60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 열자

한비자 / 육도삼략 / 소서 / 손자병법 / 전국책 / 설원 / 한서 / 고사성어 / 옛글사전

소창유기 / 격언연벽 / 채근담(명) / 채근담(건) / 명심보감(추) / 명심보감(법) / 옛글채집

 

 

www.yetgle.com

 

 

Copyright (c) 2000 by Ansg All rights reserved

<돌아가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