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옛글닷컴ː명언명구/사전

하늘구경  

 

 

 

 

현명【玄冥】동신(冬神). 형살(刑殺)을 담당하는 북방(北方)의 신(神)으로 동장군(冬將軍)을 말한다. 예기(禮記) 월령(月令)에, “맹동, 중동, 계동의 달은, 그 제(帝)는 전욱(顓頊)이고 그 보좌하는 신(神)은 현명(玄冥)이다.” 하였다. 수신(水神). 우사(雨師)라고도 한다.

현명【玄明】약의 이름.

현모양처【賢母良妻】자식에게는 어진 어머니면서 남편에게는 착한 아내

현무【玄武】별이름. 현무는 북방 현무에 두(斗)ㆍ우(牛)ㆍ여(女)ㆍ허(虛)ㆍ위(危)ㆍ실(室)ㆍ벽(壁)의 일곱 별이다.

현무구진【玄武鉤陳】현무(玄武)는 북방을 가리키고, 구진(鉤陳)은 자미궁(紫微宮) 밖의 군대를 상징하는 별자리 이름으로, 대궐의 근위병(近衛兵)을 뜻한다.

현무칠숙【玄武七宿】북방의 일곱 별인 두(斗)ㆍ우(牛)ㆍ여(女)ㆍ허(虛)ㆍ위(危)ㆍ실(室)ㆍ벽(壁)의 통칭 현무(玄武)는 거북으로 나타내며 북방의 태음신(太陰神)을 상징함.

현묵【玄黙】한(漢) 나라 문제(文帝)가 몸소 현묵(玄黙)을 닦아서 나라를 평화롭게 다스렸다 하는데, 현묵(玄黙)이란, 현묘(玄妙)한 도(道)를 묵묵히 생각하여 법령이나 군사를 너무 떠벌리지 않고 백성을 절로 교화되게 하는 것이다.

현문【玄門】현묘한 문(門)인데, 불가(佛家) 도가(道家)이다.

현보【縣譜】고을을 다스리는 데 대한 전가(傳家)의 비결을 뜻함. 남제(南齊) 때 부승우(傅僧祐)가 산음령(山陰令)으로 치적의 명성이 높았는데, 그의 아들인 부염(傅琰) 또한 송 무제(宋武帝) 때에 무강령(武康令)ㆍ산음령(山陰令)을 지내면서 뛰어난 치적을 올려 백성들에게 부성(傅聖)이란 칭호를 받기까지 하여 부자(父子)가 모두 치적의 명성이 높았으므로, 당시 사람들이 말하기를 “부씨(傅氏)들에게는 치현보(治縣譜)가 있는데, 자손들이 서로 전하면서 남에게는 보여 주지 않는다.”고 했던 데서 온 말이다. 《南史 卷七十》

현비【翾飛】가볍게 나는 모양.

현빈【玄牝】도가(道家)의 용어로, 새끼를 낳는 암컷, 즉 도(道)를 말한다.

현빈지신【玄牝之神】만물을 내는 도(道)를 말한다. 노자(老子)의 도덕경(道德經) 6장에 “골짜기 신은 죽지 않으니 이를 일러 현빈(玄牝)이라 한다.” 하였다.

현산【峴山】현산은 호북성(湖北省) 양양현(襄陽縣) 남쪽 3리 지점에 있는 산이다.

현산방공【峴山龐公】후한(後漢) 때 현산 남쪽에 은거하면서 유표(劉表)의 초청을 사절한 고사(高士) 방덕공(龐德公)을 말한다.

현상【玄霜】신선(仙藥)이 먹는다는 불로장생의 선약. 한무제내전(漢武帝內傳)에 “선가(仙家)의 상약(上藥)에 현상ㆍ강설(絳雪)이 있다.” 하였다.

현상【玄裳】학(鶴)의 이칭(異稱)인 현상호의(玄裳鎬衣)의 준말. 현상호의는 곧 흑색의 상(裳)과 백색의 상의(上衣)라는 뜻이다. 소동파의 적벽부(赤壁賦)에, “학이 검은 치마 흰 저고리로 배를 스쳐 지나 갔다.” 하였다.

현상백【玄尙白】현(玄)은 한(漢) 나라 양웅(揚雄)의 태현경(太玄經)을 가리키면서 검다는 뜻을 내포하고, 상백(尙白)은 아직도 여전히 희다는 말인데, 양웅을 조롱한 이 말이 후대에는 공명(功名)을 성취하지 못했다고 잘못 비평할 때 종종 쓰이게 되었다. 《漢書 揚雄傳下》

현상우객【玄裳羽客】학(鶴)의 모양을 일컫는 말이다.

 

10/20/30/40/50/60/70/80/90/100/10/20/30/40/50/60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 열자

한비자 / 육도삼략 / 소서 / 손자병법 / 전국책 / 설원 / 한서 / 고사성어 / 옛글사전

소창유기 / 격언연벽 / 채근담(명) / 채근담(건) / 명심보감(추) / 명심보감(법) / 옛글채집

 

 

www.yetgle.com

 

 

Copyright (c) 2000 by Ansg All rights reserved

<돌아가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