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옛글닷컴ː명언명구/사전

하늘구경  

 

 

 

 

호사다마【好事多魔】좋은 일에는 마가 많이 낀다. 좋은 일이 있을 땐 이상하게도 이를 방해하는 궂은 일이 많이 생김. 또는 좋은 일이 성취되기 위해서는 그 만큼 노력과 고충이 뒤따른다는 말

호사무인송주전【好事無人送酒錢】한(漢) 나라 양웅(揚雄)이 가난해서 좋아하는 술도 못 먹고 있었는데, 호사자(好事者)들이 가끔씩 술과 안주를 가지고 찾아와서 배우며 노닐었다 한다. 《漢書 揚雄傳下》

호사수구【狐死首丘】고향을 잊지 않음. 여우가 죽을 때면 제가 살던 언덕 쪽으로 머리를 돌린다고 함. 《淮南子 說林訓》

호사유피【虎死留皮】호랑이가 죽으면 가죽을 남김과 같이 사람도 죽은 뒤 이름을 남겨야 한다는 말

호사유피인사유명【虎死留皮人死留名】어려운 환경 속에서도 열심히 공부한다는 뜻의 고사성어.

호사인【好事人】물으러 오는 사람. 한 나라 양웅(揚雄)은 술을 무척 좋아하면서도 집이 가난해 마시지를 못했는데, 호사자(好事者)가 술과 안주를 싸들고 와서[載酒肴] 종유(從游)하며 배웠다는 고사에서 유래한 것이다. 《漢書 揚雄傳 贊》

호사자【好事者】술병을 들고 찾아와서 글을 묻는 사람들을 말한다. 한(漢) 나라 양웅(揚雄)이 좋아하는 술도 못 먹을 정도로 집이 가난하였는데, 인적이 드문 그 집에 이따금씩 호사자가 술과 안주를 들고 찾아와 글을 배웠다는 고사가 전한다.《漢書 卷87 下 揚雄傳贊》

호사필수구【狐死必首丘】여우는 죽을 때 반드시 머리를 살던 언덕으로 향한다.

호사휴호지【好事携壺至】한(漢) 나라 양웅(揚雄)이 집안이 가난하여 좋아하는 술을 마시지 못하고 있었는데, 호사자들이 술과 안주를 싸들고 와서 종유(從游)하였다고 한다. 《漢書 揚雄傳》

호산【壺山】여산(礪山)의 옛 이름이다.

호상【滈翔】높이 날다.

호상【湖湘】호상은 동정호(洞庭湖)와 상강(湘江)을 말한다.

호상락【濠上樂】장자와 혜시(惠施)가 징검다리 위[濠梁之上]에서 물고기의 즐거움에 대해서 토론을 벌인 이야기가 장자(莊子) 추수(秋水) 말미에 나온다.

호상원지【濠上遠志】장자(莊子)가 혜자(惠子)와 만나 호량(濠梁)위에서, 뛰노는 물고기의 즐거움에 대해 문답하던 시속을 초월한 뜻. 《莊子 秋水》

호생【好生】서경(書經) 대우모(大禹謨)에 “好生之德 洽于民心" 의 대문이 있음.

호성홀혜패【胡星忽彗孛】안녹산(安祿山)이 반기(叛旗)를 들고 일어난 것을 말함인데, 안녹산은 원래 흉노(匈奴) 족속이었다.

호소【縞素】흰색의 상복(喪服)을 말한다.

호손입낭【胡孫入囊】호손은 원숭이의 별칭이다. 송(宋) 나라 매성유(梅聖兪)가 끝내 관직 하나를 얻지 못하다가 처음으로 당서(唐書)를 개수(改修)하라는 조칙을 받자, 자기 아내에게 “내가 실록을 개수하게 되다니, 얻기 힘든 호손이 자루 속에 절로 들어온 것이나 다름없다.[吾之修書 可謂胡孫入布袋矣]”고 했다는 일화가 구양수(歐陽脩)의 귀전록(歸田錄) 2권(卷)에 수록되어 있다.

 

10/20/30/40/50/60/70/80/90/100/10/20/30/40/50/60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 열자

한비자 / 육도삼략 / 소서 / 손자병법 / 전국책 / 설원 / 한서 / 고사성어 / 옛글사전

소창유기 / 격언연벽 / 채근담(명) / 채근담(건) / 명심보감(추) / 명심보감(법) / 옛글채집

 

 

www.yetgle.com

 

 

Copyright (c) 2000 by Ansg All rights reserved

<돌아가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