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화초【華貂】궁중의 담비가죽. 화초주맹【花草主盟】모란을 화중왕(花中王)이라 한다. 화촉【華燭】결혼을 상징하는 붉은 색 양초를 일컫는 고사성어. 화총【花驄】푸른 털과 흰 털이 뒤섞인 얼룩말로, 곧 썰매를 가리키는데, 당 현종(唐玄宗)이 타고 다닌 준마 이름이 바로 옥화총(玉花驄)이었다고 한다. 화축【華祝】화축은 화봉삼축(華封三祝)의 준말로, 당요(唐堯) 때 화(華) 땅에 봉해진 사람이 요임금에게 장수하고[壽] 부유하고[富] 아들을 많이 낳기[多男子]를 축원하였다는 데서 임금에게 다복하기를 축원한다는 용어로 쓰인다. 《莊子 天地》 화태수신재초방【禍胎須信在椒房】옛날 한 나라 때에 황후 있는 궁중의 내전(內殿)을 호초(胡椒)로 방 바람벽을 발랐으므로 황후 있는 내전을 초방이라 한다. 여기서는 안녹산이 문제가 아니라 궁중 안에 있는 양귀비가 문제라는 말이다. 화택【火宅】불교 용어로, 번뇌(煩腦)가 많은 속세를 이르는 말이다. 법화경(法華經) 비유품(譬喩品)에 “편안치 못한 이 삼계, 불타는 집과 같도다.[三界無安 猶如火宅]" 하였다. 화택【火澤】주역 64 괘 중의 하나인데, 상리하태(上離下兌) 즉 상괘(上卦)와 하괘(下卦)가 위로 치솟는 불과 아래로 스며드는 늪으로 되어 있어 서로 어긋나는 상황을 상징함. 화택천대【火宅泉臺】이승과 저승이라는 말이다. 화택(火宅)은 삼계화택(三界火宅)의 준말로 고통이 가득한 이 세상을 뜻한다.《法華經 譬喩品》 천대(泉臺)는 땅속의 묘혈(墓穴)을 가리킨다. 화토필【花吐筆】송(宋) 나라 강엄(江淹)이 일찍이 뛰어난 문장으로 유명하였으나, 꿈속에서 곽박(郭璞)에게 오색붓을 돌려준 뒤로는 재주가 상실되었다 한다. 화판【花判】당 나라 때 중서사인(中書舍人)들의 오화판사(五花判事)를 말한다. 화포【和炮】’포화(飽和)’와 같은 뜻임. 당 나라 양숙(梁肅)의 하소이상손사군인군시(賀蘇二常孫使君隣郡詩)에 “民樂其敎 且飽其和" 가 있음.’炮’는 ‘飽’와 통용함. 화표【華表】옛날 교량이나 궁전, 능묘(陵墓) 등에 세운 거대한 돌기둥이다. 요동(遼東)사람 정령위(丁令威)가 영허산(靈虛山)에서 도술을 배우고, 죽어 학이 되어 고향인 요동으로 날아와서 성문의 화표주(華表柱)에 앉아 있었다고 한다. 《搜神後記》 화표주【華表柱】무덤 앞에 있는 망주석으로, 요동 사람 정령위(丁令威)가 학이 되어 날아와서 앉았던 곳이다. 한 나라 때 요동 사람 정령위가 영허산(靈虛山)에서 도를 닦아 신선이 되었다. 그 뒤에 학이 되어 요동에 돌아와 화표주에 앉아 시를 지었는데, 그 시에, “새여, 새여, 정령위여, 집 떠난 지 천 년 만에 오늘에야 돌아왔네. 성곽은 의구한데 사람들이 아니로세. 어찌 신선 아니 배워 무덤이 총총하뇨.” 하였다. 《搜神後記》 화표중래학【華表重來鶴】정령위(丁令威)는 원래 요동 사람이었는데 영허산(靈虛山)에서 도를 닦다가 뒤에 학으로 변하여 자기 고국 요동으로 날아가서 그곳 성문 화표주(華表柱) 위에 앉았었다. 《搜神後記》 화표지주【華表之柱】요동(遼東)의 정령위(丁令威)가 신선이 되어 갔다가 뒤에 학으로 변하여 고향에 돌아와서 화표(華表)의 기둥에 앉았다. 화표천년학【華表千年鶴】정령위(丁令威)의 고사를 말한다. 무덤 앞에 있는 망주석으로, 요동 사람 정령위(丁令威)가 학이 되어 날아와서 앉았던 곳이다. 한나라 때 요동 사람 정령위가 영허산(靈虛山)에서 도를 닦아 신선이 되었다. 그 뒤에 학이 되어 요동에 돌아와 화표주에 앉아 시를 지었는데, 그 시에, “새여, 새여, 정령위여, 집 떠난 지 천 년 만에 오늘에야 돌아왔네. 성곽은 의구한데 사람들이 아니로세. 어찌 신선 아니 배워 무덤이 총총하뇨.” 하였다. 《搜神後記》 화표학【華表鶴】화표의 학(鶴)이란 곧 한(漢) 나라 때 요동(遼東)의 정령위(丁令威)란 사람이 영허산(靈虛山)에서 선술(仙術)을 배워 학으로 변하여 자기 고향에 돌아와 화표주(華表柱)에 앉았었다는 이야기가 도잠(陶潛)의 수신후기(搜神後記) 권1에 전한다.
10/20/30/40/50/60/70/80/90/100/10/20/30/40/50/60
|
|
|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 열자 |
|
|
|
|
Copyright (c) 2000 by Ansg All rights reserved <돌아가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