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황도【黃圖】수서(隋書) 경적지(經籍志)에 황도(黃圖)가 나오는데, 삼보궁관(三輔宮觀)ㆍ능묘(陵廟)ㆍ명당(明堂)ㆍ벽옹(辟雍)ㆍ교전(郊田) 등을 기록하였다. 황도【黃道】태양(太陽)이 운행하는 궤도(軌道). 천구(天球)의 황도(黃道)는 양 옆으로 각각 8도로서 도합 16도인데 그 구간을 황도대(黃道帶)라 한다. 해와 달과 주요 행성이 이 길로 운행된다고 함. 황도【黃道】해와 달이 다니는 길. 전(轉)하여 제왕이 다니는 길을 말하기도 한다. 진서(晉書) 제12권 천문지(天文志)에, “해에는 중도(中道)가 있고 달에는 구행(九行)이 있는데, 중도란 것은 황도(黃道)이며, 광도(光道)라고도 한다.” 하였다. 황도【皇圖】황도는 제왕(帝王)이 통치하는 판도(版圖)이다. 황도【黃道】황제의 의범(儀範)을 말한다. 황도일【黃道日】황도일은 음양도(陰陽道)의 측면에서 일을 거행하기에 가장 좋은 길일(吉日)을 말한다. 황독【黃獨】황독은 토란의 이명(異名). 옛날 형악사(衡岳寺)의 중 명찬선사(明瓚禪師)가 성품이 게을러 음식 찌꺼기를 먹는다 하므로 이필(李泌)이 이상하게 여겨 찾아가 보니, 화롯불에 토란을 굽고 있었다 한다. 참고로 두보(杜甫)의 동곡현가(同谷縣歌)에 “황독은 싹이 돋지 않았는데 산에는 눈이 마구 퍼붓고[黃獨無苗山雪盛], 짧은 옷은 자주 당겨도 정강이를 못 가린다.[短衣數挽不掩脛]" 하였다. 황두랑【黃頭郞】오행(五行)의 생극(生克)으로 보아 토극수(土克水)라 하여 토(土)는 황색(黃色)이므로 옛날에 배를 관리하는 벼슬아치들을 모두 누른 모자를 쓰게 하고 이름하여 황두랑(黃頭郞)이라고 하였음. 《漢書 鄧通傳》 황량【黃粱】인간 세상의 영욕(榮辱)이 한바탕 꿈처럼 부질없는 것을 가리킨다. 한단(邯鄲)의 노생(盧生)이 객사(客舍)에서 여동빈(呂洞賓)을 만나 자기의 곤궁한 신세를 한탄하였더니, 여옹이 베개 하나를 주며, “이것을 베고 누우면 뜻대로 되리라.” 하였다. 노생은 베개를 베고 누웠더니 모든 것이 소원대로 되어, 부귀공명(富貴功名)을 80년간 누리다가 깨고 보니 한바탕의 꿈이었는데, 여관 주인이 짓던 메조[黃粱] 밥이 채 익지도 않은 짧은 동안이었다 한다. 《枕中記》 황량몽【黃粱夢】황량몽은 곧 한단몽(邯鄲夢)과 같은 말이다. 황량은 누른 기장. 당 덕종(唐德宗) 때 심기제(枕旣濟)가 우언(寓言)으로 지은 침중기(枕中記)에서 나온 말로서, 인생의 부귀영화는 허무하다는 뜻으로 인용된다. 침중기에 의하면, 당 현종(唐玄宗) 7년에 매우 가난한 노생(盧生)이란 젊은이가 한단(邯鄲)의 객사에서 여옹(呂翁)이란 도사를 만나 그가 준 요술베개를 베고 잠이 들었는데, 꿈속에서 그 베개 속으로 들어가 자기가 평소에 동경하던 온갖 부귀영화를 다 누리고 꿈을 깨보니, 객사의 주인이 짓고 있던 기장밥이 아직 익지 않았다고 하였다. 황량미숙【黃梁未熟】당 나라의 침중기(沈中記)란 소설에 노생(盧生)이 한단(邯鄲) 여숙에서 도사(道士) 여옹(呂翁)을 만나 그가 주는 베개를 베고 꿈을 꾸어 출장입상(出將入相), 자손이 모두 영달(榮達), 80년의 호화를 누리다가 문득 깨니, 여숙 주인이 짓던 누른 조밥이 아직 익지 않았다. 황량불과편시증【黃粱不過片時蒸】부귀 공명이 덧없음을 비유한 말. 당(唐) 나라 때 노생(盧生)이라는 사람이 도사(道士) 여옹(呂翁)의 베개를 베고 잠을 잤는데, 좁쌀밥 한 번 짓는 동안에 온갓 부귀공명을 누린 꿈을 꾸었다는 고사에서 온 말이다. 황량숙【黃粱熟】인간 세상의 부귀공명이 덧없음을 비유한 말. 당(唐) 나라 때 노생(盧生)이란 자가 도사(道士) 여옹(呂翁)의 베개를 빌어 잠을 잤더니, 메조밥을 한 번 짓는 동안에 부귀 공명을 다 누린 꿈을 꾸었다는 데서 온 말이다. 황량일취몽【黃粱一炊夢】당(唐) 나라의 도사(道士) 여옹(呂翁)이 기장밥을 짓는 동안, 곤궁함을 탄식하는 노생(盧生)을 위해 부귀 공명을 누리는 꿈을 꾸게 해 주었던 고사로서, 인생의 영화(榮華)라는 것도 일장춘몽(一場春夢)이라는 의미이다. 한단지몽(邯鄲之夢)이라고도 한다. 《沈旣濟 枕中記》 황량지몽【黃粱之夢】당(唐) 나라 때 노생(盧生)이란 사람이 도사 여옹(呂翁)의 베개를 빌어 잠을 잤더니, 메조밥을 한 번 짓는 동안에 부귀공명을 다 누린 꿈을 꾸었다는 고사로, 즉 부귀공명이 덧없음을 비유한 말이다.
10/20/30/40/50/60/70/80/90/100/10/20/30/40/50/60
|
|
|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 열자 |
|
|
|
|
Copyright (c) 2000 by Ansg All rights reserved <돌아가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