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옛글닷컴ː명언명구/사전

하늘구경  

 

 

 

 

흥폐【興廢】시경(詩經) 대서 소(大序疏)에 “왕자(王者)의 정사에는 흥폐(興廢)가 있다. 그래서 신령들에게 제사 지내지 않은 적이 또한 없다. 하지만 태평한 정치를 이루지 못하면 신령에게서 은혜로운 힘을 기대할 수도 없는 법이다. 그러므로 태평 정치를 이루는 것이 신공(神功)에 보답하는 길이 되는 것이다.” 하였다.

희강【姬姜】희씨(姬氏)ㆍ강씨(姜氏). 희(姬)는 주(周) 나라 성(姓)이고. 강(姜)은 제(齊) 나라 성인데 큰 나라였으므로 그 국족(國族)의 여자에 대한 통칭이었으나, 미녀(美女)의 뜻으로 쓰이기도 한다. 두 성씨가 항상 혼인 관계를 맺곤 하였다 한다. 《左傳 成公 9年》

희견【餼牽】공가(公家)에서 공급하는 음식이다.

희경【羲經】복희씨(伏羲氏)가 지은 경서라는 뜻으로 주역(周易)을 가리킨다.

희고【希古】자신도 훌륭한 고인(古人)처럼 되기를 희망함을 뜻한다.

희고역운원【豨膏易運圓】돼지 기름은 수레 굴대에 발라서 바퀴가 잘 굴러가게 하는 것인데, 송(宋) 나라 소식(蘇軾)의 술고이시견책루불부회시(述古以詩見責屢不赴會詩)에 “청명한 때에 누차 밀어준 건 고마우나 돼지 기름이 어찌 모난 바퀴를 굴릴 줄 알랴[多謝淸時屢推轂豨膏那解轉方輪]” 한 데서 온 말이다.

희공술【姬公術】희공은 주공(周公)을 이른 말로, 일설에 주공이 지었다고 하는 구장산술(九章算術) 즉 방전(方田)ㆍ속미(粟米)ㆍ차분(差分)ㆍ소광(少廣)ㆍ상공(商功)ㆍ균수(均輸)ㆍ영부족(嬴不足)ㆍ방정(方程)ㆍ구고(句股) 등 아홉가지 최초의 산법(算法)을 말한다.

희공음【喜跫音】궁벽한 곳에 외로이 있으면 사람의 발자국 소리만 들어도 반갑게 여긴다는 데서 온 말로, 친구가 찾아온 것을 비유한 말이다. 《莊子 徐無鬼》

희구【喜懼】어버이의 연세가 고령(高齡)이라는 말이다. 논어(論語) 이인(里仁)에 “어버이의 연세를 자식들은 주목해야 할 것이니, 한편으로는 오래 사셔서 기쁘고 한편으로는 쇠해지셔서 두려운 마음이 들게 될 것이다.[父母之年不可不知 一則以喜 一則以懼]”라고 한 공자의 말이 있다.

희구이위구【戲韭以爲九】남제(南齊) 때 유고지(庾杲之)가 매우 청빈하여 밥 먹을 때면 매양 구저(韭葅)ㆍ약구(瀹韭)ㆍ생구(生韭)로만 반찬을 하므로, 임방(任昉)이 희롱하기를 “그 누가 유랑(庾郞)이 가난하다고 했는가. 식탁에 항상 27종의 반찬이 오르는 걸.” 하였는데, 27종이라는 것은 곧 3× 9〓27의 뜻으로 ‘韭’의 음이 ‘구’이기 때문에 구(九)자의 뜻으로 해석하여 농담을 붙인 것이다. 《南齊書 卷三十四 庾杲之傳》

희기선종저처생【噫氣先從底處生】장자(莊子) 제물론(齊物論)에 “저 대지가 숨을 내뿜는 것, 그것을 바람이라고 이름한다. 이것이 오직 불지 않으면 그만이지만, 한번 불어왔다 하면 일만 개의 구멍이 성내어 부르짖기 시작한다.[夫大塊噫氣 其名爲風 是唯無作 作則萬竅怒呺]”라는 유명한 구절이 있다.

희년【稀年】두보(杜甫)의 시 곡강(曲江)에 나오는 인생칠십고래희(人生七十古來稀)에서 나온 것으로, 나이 70세를 뜻한다.

희노동군저【喜怒同群狙】장자(莊子)에, “저공(狙公)이 잔나비를 기르는데 하루에 밤을 일곱 개씩 주는데, 아침에 세 개를, 저녁에 네 개를 주겠다 하니 뭇 잔나비들이 성을 내다가 다시 아침에 네 개를, 저녁에 세 개를 주겠다 하니 잔나비들이 기뻐하였다.” 했다. 실제는 같은데 기뻐함과 성냄이 다르다는 뜻이다.

희노애락【喜怒哀樂】기쁨과 노여움과 슬픔과 즐거움. 사람이 느끼는 온갖 감정

희노임군저【喜怒任群狙】옛날에 원숭이를 기르던 저공(狙公)이 여러 원숭이에게 상수리를 아침에 세 개, 저녁에 네 개씩 주겠다고 하자, 원숭이들이 모두 성내므로, 그러면 아침에 네 개, 저녁에 세 개씩을 주겠다고 하니, 그제는 원숭이들이 모두 기뻐했다는 고사에서 온 말이다. 《莊子 齊物論》

희농【羲農】희농은 상고 시대 제왕인 태호복희씨(太昊伏羲氏)와 염제신농씨(炎帝神農氏)를 합칭한 말이다. 중국 전설시대에 처음으로 짐승을 기르기 시작한 사람을 복희(伏羲)라 하였고, 처음으로 농사짓기 시작한 사람을 신농(神農)이라 이름하였다.

 

10/20/30/40/50/60/70/80/90/100/10/20/30/40/50/60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 열자

한비자 / 육도삼략 / 소서 / 손자병법 / 전국책 / 설원 / 한서 / 고사성어 / 옛글사전

소창유기 / 격언연벽 / 채근담(명) / 채근담(건) / 명심보감(추) / 명심보감(법) / 옛글채집

 

 

www.yetgle.com

 

 

Copyright (c) 2000 by Ansg All rights reserved

<돌아가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