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희단거동【姬旦居東】희단(姬旦)은 주공(周公)을 말함. 희는 주(周) 나라의 성이고, 단은 주공의 이름임. 주 무왕(周武王)이 죽고 아들 성왕(成王)이 즉위하였으나, 성왕이 어리므로 주공이 그를 도와 섭정(攝政)을 하자, 주공의 형인 관숙(管叔)ㆍ채숙(蔡叔)이 주(紂)의 아들 무경(武庚)과 함께 모반을 하고 또 나라에 유언비어를 퍼뜨려 “주공이 성왕에게 불리할 것이다.”고 하므로, 주공이 그들을 정벌차 동쪽으로 나가 2년 동안 있으면서 그들을 모두 베어 죽이고 인심을 진정시킨 사실을 말한다. 《史記 魯周公世家》 희도【姬度】주 무왕(周武王)의 아우 채숙(蔡叔)을 이름. 도(度)는 그의 이름임. 무왕이, 관숙(管叔)과 함께 주의 아들 무경(武庚)의 봉국(封國)인 은(殷)을 감시하도록 하였는데, 끝에 가서 유언(流言)을 퍼뜨리고 무경과 함께 반(叛)하였음. 《孟子 公孫丑 下》 희령공자【熙寧孔子】희령은 송 신종(宋神宗)의 연호이고, 공자(孔子)는 바로 송 신종 때에 재상(宰相)으로 있으면서 신법(新法)을 만들어 시행하여 대대적인 개혁을 단행하였던 왕안석(王安石)을 비유한 것인데, 맨 처음 그를 공자라 칭하게 된 고사에 대해서는 자세하지 않다. 희륜【羲輪】일어(日馭)의 이칭임. 희화(羲和)가 모는 수레라는 뜻으로, 흐르는 세월을 가리킨다. 희화가 여섯 필의 말이 끄는 수레 위에 태양을 싣고 날마다 동쪽에서 서쪽으로 운행한다는 전설이 있다. 《初學記 卷1 引 淮南子》 희린【戲麟】진실이 없는 것은 끝내 가짜임이 나타난다는 뜻으로 기린 놀이를 들어서 한 말. 기린 놀이는 나귀 위에다가 기린의 가죽을 입혀 마치 진짜 기린인 것처럼 보이게 하는데, 기린의 가죽을 벗기고 보면 도로 하나의 당나귀일 뿐이다. 희만가황죽【姬滿歌黃竹】주목왕(周穆王) 희만(姬滿)이 눈 속에 황죽가(黃竹歌)를 지어 불렀다. 희무파옹【喜舞破瓮】옛날 어느 사람이 밤에 자리에 누워서, “조그만 그릇을 가지고 장사를 하여 차차 항아리를 마련하고 더 보태어 큰 독[甕]을 사겠다. 그리하여 차차 부자[富]가 되겠다.”고 공상(空想)을 실컷 하다가 기뻐서 일어나 춤을 추던 끝에 옆에 있는 술독을 깨뜨렸다 한다. 희문【羲文】복희씨(伏羲氏)와 주 문왕(周文王)으로, 복희씨는 팔괘(八卦)를 그리고 주 문왕은 괘사(卦辭)를 지었다고 한다. 희문【希文】송(宋) 나라 때의 현상(賢相) 범중엄(范仲淹)의 자이다. 그는 특히 기절(氣節)을 숭상하였고, 위엄과 병략(兵略) 또한 뛰어나서, 그가 변방을 지킬 적에는 오랑캐들이 그를 용도노자(龍圖老子)라 호칭하였고, 또한 “소범노자(小范老子)의 가슴 속에는 수만(數萬)의 갑병(甲兵)이 들어 있다.”며 서로 경계하기까지 했었다. 《宋史 卷三百十四》 희문【羲文】희문은 성이 희씨(姬氏)인 문왕을 가리킨다. 희문우락【希文憂樂】희문은 송 나라 재상 범중엄(范仲淹)의 자인데 그의 악양루기(岳陽樓 記)에 “其必先天下之憂而憂 後天下之樂而樂歟" 라 하였음. 희반【戲斑】색동옷을 입고 재롱을 떤다는 말로, 늙은 모친을 봉양하는 것을 가리킨다. 희백【希白】송(宋) 담주(潭州) 사람. 순화각첩(淳化閣帖)을 모각(摸刻)하여 담주 군재(郡齋)에 두었으므로 순화첩(淳化帖)을 담본(潭本)이라 하였음. 희백【羲伯】요(堯) 임금 때 천문(天文)ㆍ역상(曆象)을 맡은 관리. 서경(書經) 요전(堯典)에 “이에 희씨(羲氏)와 화씨(和氏)에게 명하시어, 넓은 하늘을 받들어 따르게 하다.” 한 주에 “희씨는 곧 희백이다.” 하였다.
10/20/30/40/50/60/70/80/90/100/10/20/30/40/50/60
|
|
|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 열자 |
|
|
|
|
Copyright (c) 2000 by Ansg All rights reserved <돌아가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