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옛글닷컴ː명언명구/사전

하늘구경  

 

 

 

 

만록총중홍일점【萬綠叢中紅一點】푸른 물 가운데 한떨기 꽃이 피어 있음. 좌중(座中)에 한 사람의 예기(藝妓)가 있음. 많은 남자 가운데 오직 한 명의 여자를 일컫는 말로 쓰인다.

만뢰【萬籟】모든 구멍에서 불어 나오는 바람소리.

만륙궁【彎六弓】균은 30근의 무게이므로 즉 180근 무게의 활을 이르는데, 전하여 활의 무거움을 뜻한다.

만리뢰【萬里瀨】남곤(南袞)의 집은 삼청동(三淸洞) 깊숙이 있었다. 그 앞에는 산 개울물이 흐르고 뒤에는 큰 바위가 있었는데, 박온(朴誾)이 집주인인 남곤을 조롱하느라고 그 시냇물을 만리뢰라 하였으니, 주인인 남곤이 벼슬하느라고 아침 일찍 나가서 저녁 늦게 돌아오므로, 문 앞에 있는 시내도 만리 밖에 있는 것처럼 멀고, 집 뒤에 있는 바위도 알지 못하니, 대은(大隱) 즉 숨은 것이라 하고 이름 짓기를 대은암이라 하였다.

만리봉후계【萬里封侯計】공을 세워 귀한 신분이 되는 것을 말한다. 후한(後漢)의 반초(班超)가 집이 가난해 대서(代書)의 일을 하며 먹고 살다가, 만 리의 제후에 봉해질 상(相)이라는 말을 듣고는, 군대의 일에 종사한 결과 공을 세워 정원후(定遠侯)에 봉해진 고사가 있다. 《後漢書 班超傳》

만리붕【萬里鵬】북해에 큰 물고기가 화(化)해 새가 되어 이름은 붕(鵬)인데, 그 등[背]이 몇 천 리인지 모른다. 장차 남해로 옮겨 갈 적에 날개로 물을 3천 리나 치고 바람을 타고 구만리(九萬里)로 오른다. 장자(莊子)

만리사【萬里槎】만리사는 만리의 먼 거리에 배를 타고 다니는 것으로, 서역(西域)에 사신갔던 장건은 배를 타고 황하를 건너 만리의 먼 길을 왕래했었다. 《史記 張騫傳》

만리수【萬里愁】광활한 원야(原野)를 바라보면서 눈에 닿는 경치에 따라 생기는 비감(悲感)을 말함.

만리심【萬里心】남조 송(宋)의 종각(宗慤)이 소년 시절에 “끝없이 부는 바람을 타고 만 리의 물결을 헤쳐 나가 보고 싶다.[願乘長風破萬里風]”고 자신의 뜻을 말한 일화가 있다. 《宋書 卷76 宗慤傳》

만리장풍【萬里長風】남조 송(南朝宋)의 좌위장군(左衛將軍) 종각(宗慤)이 소년 시절에 “멀리 불어오는 바람을 타고서 만리의 바다 물결을 헤쳐 보고 싶다.[願乘長風破萬里浪]”고 자신의 뜻을 말한 고사가 있다. 《宋書 宗慤傳》

만리장풍삼도로【萬里長風三島路】원래의 소원을 풀기 위해 삼신산(三神山)과 같은 선경(仙境)을 찾으러 가는 길이라는 말이다. 남조 송(南朝宋)의 종각(宗慤)이 “장풍을 타고 만리의 파도를 헤쳐 나가고 싶다.[願乘長風破萬里浪]”고 소원을 말한 고사가 있다. 《宋書 卷76》

만리창명조거오【萬里滄溟釣巨鰲】시인들이 많이 쓰는 말로 좋은 시구(詩句)를 얻는 것을 비유한 것이다. 《列子 湯問》

만리풍【萬里風】남조(南朝) 송(宋) 종각(宗慤)이 소년 시절에 그의 포부를 말하면서 “장풍을 타고서 만 리의 물결을 깨부수고 싶다.[願乘長風破萬里浪]”고 한 고사가 있다. 《宋書 卷76》

만리해적【萬里奚適】붕새(鵬)가 9만 리를 낢을 보고 메추리가 웃기를, “저 붕새는 뭘 하러 만 리나 남으로 가는고.” 하였고다. 장자(莊子)

 

05/10/15/20/25/30/35/40/45/50/55/60/65/70/75/80/85/90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 열자

한비자 / 육도삼략 / 소서 / 손자병법 / 전국책 / 설원 / 한서 / 고사성어 / 옛글사전

소창유기 / 격언연벽 / 채근담(명) / 채근담(건) / 명심보감(추) / 명심보감(법) / 옛글채집

 

 

www.yetgle.com

 

 

Copyright (c) 2000 by Ansg All rights reserved

<돌아가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