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옛글닷컴ː명언명구/사전

하늘구경  

 

 

 

 

매서【枚筮】점치다. 

매선【梅仙】한(漢) 나라 때 일찍이 남창위(南昌尉)가 되었다가 뒤에 벼슬을 그만두고 처자(妻子)를 결별하고서 홍애산(洪崖山)에 들어가 득도(得道)하여 신선이 되었다는 매복(梅福)을 가리킨다. 자(字)는 자진(子眞)이다. 《漢書 卷六十七 梅福》

매승【枚乘】한 경제(漢景帝) 때 사람.

매신【買臣】한(漢) 나라 주매신(朱買臣)이 40세가 넘도록 벼슬길에 오르지 못한 채 빈궁한 생활을 하다가 50세의 나이로 입사(入仕)하여 구경(九卿)의 지위에까지 오른 고사가 있다. 《漢書 卷64上 朱買臣傳》

매신증염직【買臣曾厭直】한 무제(漢武帝) 때 주매신(朱買臣)이 어사대부(御史大夫)인 장탕(張湯)을 모함하여 자살하게 만든 뒤, 자신도 복주(伏誅)되었던 고사가 전한다. 《史記 卷122 酷吏傳》

매실음【梅實吟】시경(詩經) 소남(召南) 표유매(摽有梅)에 의하면, 혼기(婚期)가 늦어짐을 염려하는 처녀가 노래하기를 “떨어지는 매화여 그 열매가 일곱이로다 나를 구하는 서사는 좋은 시기를 놓치지 말라[摽有梅 其實七兮 求我庶士 迨其吉兮]”고 한 데서 온 말이다.

매실응연원견상【梅實應緣遠見嘗】송(宋) 나라 황정견(黃庭堅)의 ‘동파에게 주다.[贈東坡]’라는 시에 “복숭아 오얏 쟁반에 매실도 함께 담기어서, 멀리서 왔다 하여 처음 맛을 보이게 됐네.[得升桃李盤 以遠初見嘗]”라는 구절이 있는데, 이는 동파가 속된 사람들과 함께 조정에 진출하게 되었음을 가리킨 말이다.

매씨【媒氏】매씨는 중매(仲媒)를 맡은 벼슬아치.

매염봉우【賣鹽逢雨】소금 팔다 비를 만남. 일에 마가 끼었다.

매오【梅塢】매오는 매화가 만발한 동산[梅園]을 뜻한다.

매옥수【埋玉樹】영재(英才)의 죽음을 슬퍼할 때 쓰는 말이다. 진(晉) 나라 유량(庾亮)이 죽어 땅에 묻힐 즈음에, 하충(何充)이 “옥나무 묻혀 땅속에 들어가니, 인정상 어떻게 그만둘 수 있으랴.[埋玉樹箸土中 使人情何能已已]”라며 슬퍼했던 고사에서 유래한 것이다. 《世說新語 傷逝》

매완릉【梅宛陵】완릉은 송(宋) 나라의 시인 매요신(梅堯臣)의 호.

매우【梅雨】매실(梅實)이 노랗게 익는 늦은 봄이나 초여름에 내리는 비를 말한다.

매우매독【買牛買犢】한(漢) 나라 때 공수(龔遂)가 발해태수(渤海太守)로 나갔을 적에, 평소 도검(刀劍)을 허리에 차고 다니던 백성들에게 그 도검들을 팔아 소와 송아지를 사서 농사에 힘쓰도록 권면했던 데서 온 말이다.

매우절【梅雨節】매실(梅實)이 누렇게 익을 무렵에는 음산한 비가 줄곧 내린다는 데서 나온 말로, 초여름 무렵을 말한다.

매월당【梅月堂】생육신(生六臣)의 한 사람인 김시습(金時習)의 호. 그는 매월당 외에도 동봉(東峰)ㆍ청한자(淸寒子)ㆍ벽산(碧山)ㆍ췌세옹(贅世翁)이라는 호가 있음.

매윤【梅潤】초여름부터 시작되는 장맛비, 즉 매우(梅雨)로 인한 음습(陰濕)한 기운을 말한다.

매잉【買剩】비장(裨將)들이 곡부(穀簿)에 밝지 못해서 각 고을의 국창(國倉)에 남는 곡식을 영리(營吏)들이 파는 것을 말함. 한 섬에 이백냥 짜리를 50∼60냥에 팔아버리므로 이를 사면 큰 이윤을 얻을 수 있기 때문에 앞을 다투었다고 한다.

 

05/10/15/20/25/30/35/40/45/50/55/60/65/70/75/80/85/90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 열자

한비자 / 육도삼략 / 소서 / 손자병법 / 전국책 / 설원 / 한서 / 고사성어 / 옛글사전

소창유기 / 격언연벽 / 채근담(명) / 채근담(건) / 명심보감(추) / 명심보감(법) / 옛글채집

 

 

www.yetgle.com

 

 

Copyright (c) 2000 by Ansg All rights reserved

<돌아가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