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옛글닷컴ː명언명구/사전

하늘구경  

 

 

 

 

미망인【未亡人】남편과 함께 죽어야 할 것을, 아직 죽지 못하고 있는 사람이란 뜻으로, 과부가 스스로를 겸손하며 일컫는 말.

미명왕한유【彌明枉韓愈】형산 도사(衡山道士)인 헌원미명(軒轅彌明)이 한유(韓愈)의 제자들과 석정(石鼎)이란 제목으로 연구(聯句)짓기를 해 한유 제자들을 압도했다고 함. 《昌黎集 石鼎聯句詩序》

미무【蘼蕪】약초 또는 향초 이름. 야생초로 여름에 작은 흰 꽃이 피고 맑은 향기가 있음. 백지(白芷)라고도 한다. 옛사람이 궁궁이를 읊어서 자신의 원정(怨情)을 자위한 적이 많다. 예를 들면 초사(楚辭) 구가(九歌)에 “추란(秋蘭)과 궁궁이가 당하(堂下)에 줄 이었네" 하였고 또 사조(謝脁)의 원정시(怨情詩)에 “서로 만나 궁궁이를 읊조리니, 저 반 첩여(班婕妤)의 가을 부채가 서럽네.” 등이 있다.

미미【浘浘】물이 많이 흐르는 모양

미미【微微】보잘것없이 썩 작은 모양, 그윽하고 고요한 모양

미미【亹亹】열심히 노력하는 모양, 나아가는 모양, 달리는 모양

미미【娓娓】장황한 모양

미미【彌彌】조금씻 차차로 불어감, 불어서 퍼져 나감

미복【迷復】돌아오는 길을 잃는다는 뜻으로, 주역(周易) 무망괘(无妄卦)에, “돌아오는 길을 잃었으니 나쁘다.[迷復 凶]”하였다.

미복【微服】지위가 높은 사람이 남의 눈에 띠지 않도록 초라한 옷차림으로 변장하는 일.

미봉【彌縫】떨어진 곳을 꿰맴. 결점이나 잘못된 것을 임시변통으로 이리저리 주선해 꾸며댐. 미봉책(彌縫策)

미봉책【彌縫策】떨어진 곳을 꿰매는 계책.

미불【米芾】송(宋) 나라 때의 서화가. 그는 특히 고서화(古書畫)를 매우 좋아하여 고서화를 대단히 많이 수집하였으므로, 그를 미가서화선(米家書畫船)이라고 일컬었다.

미사여구【美辭麗句】아름다운 말과 고운 글귀.

미산【眉山】송(宋) 나라 때 미산인(眉山人) 소식(蘇軾)을 가리킨다. 소식은 시(詩)ㆍ문(文)ㆍ서(書)ㆍ화(畫)에 모두 뛰어났다.

미산연소악강보【眉山挻蘇岳降甫】소씨(蘇氏)는 송(宋) 나라 때 문장가인 소순(蘇洵)ㆍ소식(蘇軾)ㆍ소철(蘇轍) 등 삼부자(三父子), 보후(甫侯)는 서경(書經) 여형편(呂刑篇)의 편찬자인 주(周) 나라 여후(呂侯)를 가리킨다.

미상【微霜】가는 서리.

미상지문【未喪之文】문(文)은 도(道)가 밖으로 나타난 것으로서 예악제도(禮樂制度)를 말함. 논어(論語) 子罕에 “하늘이 이 문(文)을 없애지 않는다.[天之未喪斯文也]" 에서 나온 말.

미색경【美色驚】미녀는 사람들이 다 아름답게 여기지만 사슴 같은 짐승이 보면 놀라서 달아난다는 것임. 《莊子 齊物論》

미생【彌甥】외손을 뜻한다.

미생고【尾生高】춘추 시대 노(魯) 나라 사람으로서 한 여자와 다리 아래에서 만날 약속을 하였는데, 시간이 지나도 그녀는 오지 않은 채 큰 비가 내려 물이 불어나는데도 끝내 기둥을 붙잡고 그 자리를 떠나지 않다가 익사하였다고 한다. 《莊子 盜跖》

미생지신【尾生之信】신의가 두터운 것을 비유하거나, 우직한 것을 비유함. 노(魯)나라의 미생(尾生)은 믿음으로써 여자와 다리 아래에서 만나기로 기약하고, 여자가 오지 않자, 물이 밀려와도 떠나지 않아, 기둥을 끌어안고서 죽었다.

 

05/10/15/20/25/30/35/40/45/50/55/60/65/70/75/80/85/90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 열자

한비자 / 육도삼략 / 소서 / 손자병법 / 전국책 / 설원 / 한서 / 고사성어 / 옛글사전

소창유기 / 격언연벽 / 채근담(명) / 채근담(건) / 명심보감(추) / 명심보감(법) / 옛글채집

 

 

www.yetgle.com

 

 

Copyright (c) 2000 by Ansg All rights reserved

<돌아가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