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글닷컴ː명언명구/사전

하늘구경 

 

 

 

 

 

 

사홍심【射鴻心】젊은 시절에 매사를 전심치지(專心致志)하지 못한 것을 뉘우치는 말로, 혁추(奕秋)가 두 사람에게 바둑을 가르칠 때 한 사람은 바둑에만 전심치지를 하고, 한 사람은 마음 한 구석에 홍곡(鴻鵠)이 이르거든 주살을 당겨 쏘리라고 생각을 할 경우, 똑같이 바둑을 배우더라도 그 전심치지한 사람에 미칠 수 없다고 한 데서 온 말이다. 《孟子 告子上》

사화【士華】남곤(南袞)의 자.

사화우【四花雨】부처가 설법할 제는 하늘에서 분타리화(芬陀利花)등 네 가지 꽃이 비오듯한다 하였다.

사환【賜環】환은 임금의 뜻을 전달하는 옥으로 된 고리이다. 죄를 지은 신하가 변방으로 좌천되어 가게 되면 3년이 지나도 감히 올 수가 없는데, 임금이 환(環)을 주면 돌아오라는 것이요, 결(玦)을 주면 사사(賜死)한다는 것이다. 《荀子 大略》

사활【司活】연산군 때에 의술에 정통한 의원을 부르던 말이다.

사황【嗣皇】사황은 뒤를 이어 즉위(卽位)한 황제를 말한다.

사회【謝晦】남조(南朝) 시대 송(宋) 나라 사람. 소제(少帝)가 즉위한 뒤 중서령(中書令)으로서 서연지(徐羨之) 등과 국정(國政)을 보좌하다가 이윽고 폐립(廢立)하는 계책을 세웠는데, 문제(文帝)가 즉위하여 서연지 등을 베므로 그도 하는 수 없이 군사를 일으켜 반기를 들었으나 마침내 패하여 복주(伏誅)되었다.

사회남곽【死灰南郭】장자(莊子) 제물론(齊物論)에 있는 말. 남곽자기(南郭子綦)란 사람이 멍하니 의자에 기댄 채 한숨을 쉬고 있자, 시중들던 안성자유(顔成子游)가 “몸은 본시 마른 나무처럼 만들 수 있으며 마음은 본래 불꺼진 재처럼 만들 수 있습니까?" 하고 물으니 남곽자기는 그렇다고 하였다.

사회부연【死灰復燃】식은 재가 다시 탄다는 말은 곧 세력을 잃은 사람이 세력을 다시 회복함을 뜻함. 양 효왕(梁孝王) 때의 장군 한안국(韓安國)이 죄에 걸렸을 적에 옥리(獄吏)전갑(田甲)이 그에게 곤욕을 주자, 한안국이 말하기를 “식은 재는 다시 타지 않는다더냐.” 하니, 전갑이 말하기를 “타기만 하면 오줌을 싸버리겠다.” 한 데서 온 말이다. 《史記 卷一百八 韓安國傳》

사효극왕융【死孝劇王戎】어버이의 상(喪)을 당해 멸성(滅性)을 면하지 못할 정도로 애훼(哀毁)의 정(情)을 극진히 한 것을 말한다. 진(晉) 나라 왕융(王戎)이 모친상을 당해 예제(禮制)를 따르지 않고 술과 고기를 먹으면서도 피골이 상접하여 지팡이를 짚어야만 일어나곤 하였는데, 당시에 이를 두고 사효(死孝)라고 찬탄했던 고사에서 유래한 것이다. 《晉書 卷43 王戎傳》

사후약방문【死後藥方文】죽은 뒤에 처방을 내려줌. 시기를 놓친 것을 의미한다.

사후청심환【死後淸心丸】죽은 뒤의 약. 시기를 놓친 것을 의미한다.

사훈【司勳】관리의 훈적(勳績)과 고신(告身)을 맡는 관명(官名)인데, 두목(杜牧)이 일찍이 사훈원외랑(司勳員外郞)을 지냈다.

사휴【四休】사휴는 자족(自足)하며 안락(安樂)하게 살아가는 것을 말한다. 송(宋) 나라 태의(太醫) 손방(孫昉)이 사휴거사(四休居士)라고 자호(自號)하였는데, 황정견이 그 뜻을 묻자 “간단히 밥과 차를 들다 배부르면 그만 먹고, 옷을 기워 추위를 막다 따뜻하면 그만 입고, 평온한 마음가짐으로 과하다 싶으면 그만두고, 욕심도 질투도 내지 않다 늙어지면 그만 쉰다.[麤茶淡飯飽卽休 補破遮寒暖卽休 三平二滿過卽休 不貧不妬老卽休]”고 말한 일화가 황정견(黃庭堅)의 ‘사휴거사시서(四休居士詩序)’에 나온다.

사흉【四凶】요(堯) 임금 시대의 흉악한 네 신하인 환도(驩兜)ㆍ삼묘(三苗)ㆍ공공(共工)ㆍ곤(鯀). 이들이 조정을 어지럽히므로 요 임금이 모조리 먼 곳으로 내쳤음. 순(舜)의 때에 이르러 비로소 제거하였다.

 

10/20/30/40/50/60/70/80/90/100/10/20/30/40/50/60/70/80/90/200/10/20/30/40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 열자

한비자 / 육도삼략 / 소서 / 손자병법 / 전국책 / 설원 / 한서 / 고사성어 / 옛글사전

소창유기 / 격언연벽 / 채근담(명) / 채근담(건) / 명심보감(추) / 명심보감(법) / 옛글채집

 

 

www.yetgle.com

 

 

Copyright (c) 2000 by Ansg All rights reserved

<돌아가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