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숙자【叔子】진(晉)의 양호(羊). 숙자(叔子)는 그의 자(字)임. 오(吳)를 다스리면서 선정을 베풀어 그가 죽은 후 오의 백성들이 그의 덕을 추모하여 현산(峴山)에다 비를 세웠는데, 그 비를 바라보는 자들이 모두 눈물을 흘렸다고 함. 《晉書 卷三十四》 숙재【叔載】이전(李㙉)의 자(字)이다. 숙종【肅宗】숙종은 현종(玄宗)의 아들로 천보(天寶) 14년 안녹산(安祿山)이 반란을 일으켜 장안(長安)과 낙양(洛陽)이 함락되자 현종은 파촉으로 피난하였다. 이때 마외(馬嵬)라는 곳에 이르자, 부로(父老)들의 간청에 의하여 이곳에 머물러 있다가 뒤에 영무(靈武)에서 즉위한 다음 현종을 높여 태상황(太上皇)으로 모셨으나 간신들의 모함에 의하여 부자간에 불화(不和)가 생겼다. 《新唐書 肅宗皇帝本紀》 숙채종수별낙천【宿債終須別樂天】낙천(樂天)은 당 나라 시인 백거이(白居易)의 호임. 백거이에게 번소(樊素)라는 기첩(妓妾)이 있어 노래를 매우 잘했었는데, 백거이가 늙고 병들었을 때 빚에 의하여 부득이 번소를 놓아주게 되어 서로 이별을 매우 아쉬워했던 데서 온 말이다. 《樂天集 卷十八》 숙초【宿草】1년 이상 묵은 풀을 말한 것으로, 즉 묘(墓)를 쓴 지가 1년 이상이 지났음을 뜻한다. 숙평【叔平】이준(李埈)의 자(字)이다. 숙피의 글【叔皮書】숙피는 동한(東漢)의 사학가(史學家)이며 문학가(文學家)였던 반표(班彪)의 자(字)로, 문선(文選) 권9에 그의 대표적 문학 작품인 ‘북정부(北征賦)’가 실려 있다. 숙피일론【叔皮一論】숙피는 한(漢) 나라 반표(班彪)의 자이며, 논문은 그가 지은 왕명론(王命論)을 가리킨다. 숙향구어주빙리【叔向拘圉疇憑理】억울하게 죄를 받아도 누구 하나 변호해 준 사람이 없었음을 비유한 말이다. 숙향은 춘추 시대 진(晉) 나라 대부인 양설힐(羊舌肹)의 자. 양설힐이 일찍이 부사(副使)가 되어 상사(上使) 한기(韓起)와 함께 초(楚) 나라에 갔을 때, 초왕(楚王)이 진 나라와의 사이에 있었던 과거의 원한을 풀기 위해, 한기는 궁중의 수위(守衛)로 삼고 양설힐은 거세(去勢)하여 내시(內侍)로 삼으려고 여러 신하들에게 의논을 하자, 위계강(薳啓疆)이라는 신하가 왕에게, 여러 가지 사리를 들어 말하여 훌륭한 외국 사신들을 아무 잘못도 없이 그렇게 대해서는 절대로 안되니, 예의를 깍듯이 갖추어 대접해야 한다고 역설함으로써, 끝내 그들이 초왕으로부터 후한 대접을 받고 돌아왔던 고사에서 온 말이다. 《左傳 昭公 五年》 숙헌【叔獻】율곡(栗谷) 이이(李珥)의 자(字). 숙호돈【宿好敦】도공(陶公)은 진(晉) 나라 도연명(陶淵明)의 ‘칠월야행강릉도중작(七月夜行江陵途中作)’이라는 시에 “시서야 진작부터 좋아했고 말고, 동산의 숲 둘러봐도 속된 뜻이 하나 없네.[詩書敦宿好 林園無俗情]”라는 구절이 있다. 숙홀【儵忽】숙(儵)과 홀(忽)은 신(神)의 이름. 장자(莊子) 응제왕(應帝王)에 “남해(南海)의 신을 ‘숙’이라 하고 북해(北海)의 신을 ‘홀’이라 하며 중앙(中央)의 신을 ‘혼돈(渾沌)’이라 한다. 숙과 홀이 혼돈을 찾아갔더니 혼돈은 이들을 잘 대접하였다. 숙과 홀은 혼돈의 은혜를 갚으려고 ‘남들은 모두 일곱 개의 구멍이 있어 이것으로 보고 들으며 숨을 쉬고 밥을 먹는데 혼돈만은 없으니 우리들은 시험삼아 한번 구멍을 뚫어 주자’ 하고는 하루에 한 구멍씩 뚫었더니, 혼돈은 7일 만에 결국 죽고 말았다.” 하였다. 혼돈은 땅을 말한 것으로 맨 처음의 혼돈은 형체가 없었는데 구멍을 뚫어 죽고나서부터 지금과 같은 지구의 형체가 생겼다는 전설이 있다. 숙홀【儵忽】재빨리 달린다는 말이다. 홀연히. 갑자기. 숙후지음【叔后知音】숙후(叔后)는 진(晉)의 현대부(賢大夫) 숙향(叔向)으로 이름은 힐(肹). 숙향의 아우 양설호(羊舌虎)가 난영(欒盈)에 붙어 난리를 꾸미다가 실패하자 숙향도 구속되었었는데, 집안 식구들이 걱정하자 숙향은 “우리를 구원해줄 사람은 반드시. 기대부(祁大夫)일 것이다. 그는 밖으로 천거할 적엔 원수도 버리지 않았고 안으로 천거할 적엔 친자식을 버리지 않았으니, 나만을 버리겠는가.” 하였는데, 기해(祁奚)는 퇴로해 있다가 이 소식을 듣고는 급히 말을 달려 집권(執權)하고 있던 조선자(趙宣子)를 만나 숙향의 어짊을 말하여 사면하게 한 다음 숙향을 만나보지도 않고 갔으며, 숙향 역시 감사하다는 말 한마디 남기지 않고 떠났다. 《春秋左傳 襄公 二十一年》 숙흥야매【夙興夜寐】일찍 일어나고 밤늦게 잔다는 뜻이다. 시경(詩經) 소아(小雅) 소완(小宛)에 “일찍 일어나고 밤늦게 자곤하여 너의 부모를 욕되게 하지 말라.[夙興夜寐 無忝爾所生]" 하였다.
10/20/30/40/50/60/70/80/90/100/10/20/30/40/50/60/70/80/90/200/10/20/30/40
|
|
|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 열자 |
|
|
|
|
Copyright (c) 2000 by Ansg All rights reserved <돌아가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