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글닷컴ː명언명구/사전

하늘구경 

 

 

 

 

 

 

심도도【心忉忉】시경(詩經) 제풍(齊風) 보전(甫田)에 나오는 말인데, 원문은 “큰 밭 경작하지 말지어다, 가라지가 무성해지리라. 멀리 떠난 사람 생각하지 말지어다, 마음만 우울해지리라.[無田甫田 維莠驕驕 無思遠人 勞心忉忉]”로 되어 있다.

심동양【沈東陽】양(梁) 나라 때 뛰어난 문장가로 일찍이 동양 태수(東陽太守)를 지낸 심약(沈約)을 가리키는데, 그는 특히 문장에 뛰어났고, 높은 관직을 지내면서도 매우 검소하여 처사(處士)와 같은 풍류가 있었다.

심두육【心頭肉】심장(心臟) 위의 살을 이름. 몹시 아끼는 사람이나 물건. 섭이중(聶夷中)의 전가시(田家詩)에 “이월에 새 실을 팔고 오월에는 새 곡식을 내어서 눈 앞의 상처는 다스렸으나 심두육을 깎아내었네[二月賣新絲 五月糶新穀 醫得眼前瘡 剜却心頭肉]” 한 데서 온 말로, 즉 먹을 것이 없어 심장병을 얻게 된 것을 의미한다.

심등【心燈】불교에서 인간의 심령(心靈)을, 일체의 사물(事物)을 환히 비추는 등불에 비유하여 말한 것이다.

심랑구【沈郞癯】양(梁)의 문장가인 심약은 몸이 약하여 늘 앓았는데, 그의 친구인 서면(徐勉)에게 준 편지에 “요즘 병이 더욱 심하여 백여 일 동안에 몸이 야위어 허리띠 구멍이 넓어지고 한 달 동안에 팔목이 반 푼이나 줄었다.” 하였다. 《梁書 沈約傳》

심류철【深旒綴】면류관 줄이 눈 앞을 가로막아 앞이 잘 보이지 않게 되었다는 말로, 중국의 황제가 상황 판단을 잘 하여 사태를 적절하게 타개하지 못하고 있음을 뜻한다. 참고로 당(唐) 나라 장온고(張蘊古)의 대보잠(大寶箴)에 “면류관에 드리운 구슬줄이 눈 앞을 가릴지라도 임금은 아직 채 드러나지 않은 조짐까지도 볼 수가 있어야 하며, 면류관에서 드리워진 노란 솜방울이 귀를 막을지라도 임금은 아직 소리가 되어 흘러나오지 않은 백성들의 목소리까지도 들을 수 있어야 한다.[雖冕旒蔽目而視於未形 雖黈纊塞耳而聽於無聲]”는 구절이 있으며, 두보의 시에 “충신이 억울하게 죄를 받았건만, 궁중은 면류관 줄에 깊이 가려졌네.[忠貞負寃恨 宮闕深旒綴]”라는 표현이 있다. 《杜少陵詩集 卷16 贈祕書監江夏李公邕》

심맹【心盲】심맹은 감각병(感覺病)의 일종으로서, 즉 시각(視覺)의 기관은 결손됨이 없으나, 시각의 인식이 완전하지 못하여 마치 맹인처럼 시각으로 인해 물체를 알아보지 못함을 뜻한다.

심번려란【心煩慮亂】마음이 괴롭고 생각이 어지럽다.

심병기소희【心兵起小姬】심병은 색정(色情)이 동하는 것을 이른 것으로, 송(宋) 나라 황정견(黃庭堅)의 희영난족병시(戲詠煖足甁詩)에 “소희가 발을 따뜻하게 해주니 때로는 심병을 일으키기도 한다[小姬煖足臥 或能起心兵]” 한 데서 온 말이다.

심복지환【心腹之患】인체의 중요한 부분인 가슴과 배에 생긴 병으로 받는 고통, 외부가 아닌 내부의 화근으로 생긴 병폐를 뜻하는 고사성어.

심비분감【沈臂分减】나이가 들수록 건강을 생각하라는 말이다. 남조(南朝) 양(梁)의 심약(沈約)이 노쇠하여 병든 나머지 1백여 일이 지나는 사이에 허리띠의 구멍을 자꾸만 새로 뚫게 되고 손으로 팔뚝을 만져 보면 부쩍부쩍 말라만 갔다는 고사가 전해 온다. 《梁書 沈約傳》

심비석【心匪石】변치 않는 지조를 뜻함. 시경(詩經) 패풍(邶風) 백주(柏舟)에 “내 마음이 돌이 아니라 구를 수가 없도다[我心匪石 不可轉也]”하였다.

심사【心事】마음속에 생각하거나 기대하는 일.

심사숙고【深思熟考】깊이 생각하고 자세하게 살펴 봄. 깊이 잘 생각함을 뜻한다. 심사묵고(深思黙考), 심사숙려(深思熟慮)

심산유곡【深山幽谷】깊은 산과 그윽한 골짜기. 깊고 험한 산과 깊숙하고 고요한 골짜기

심삼【沈三】심삼은 곧 중당(中唐)의 이름 높은 시인이었던 심전기(沈佺期)를 가리키는데, 특히 그의 시는 대(對)가 정밀하면서도 화려하기로 유명하였다.

심서가【沈徐家】심서가는 곧 당(唐) 나라의 심전사(沈傳師)와 서회(徐晦)를 합칭한 말인데, 심전사는 음식을 잘 먹었고 서회는 술을 잘 마시는 주호(酒豪)로서 일찍이 양사복(楊嗣復)이 말하기를, “서가(徐家)의 폐장(肺腸)과 심가(沈家)의 비장(脾腸)은 참으로 편안한가?" 한 데서 온 말이다.

심석전【沈石田】심석전은 명(明) 나라 때 은사(隱士)인 심주(沈周)를 가리킴. 심주는 시ㆍ서ㆍ화에 모두 뛰어났고, 풍류가 당세에 제일이었는데, 당시 수차에 걸쳐 벼슬의 권유를 받았으나, 효성이 지극하여 늙은 모친을 떠날 수 없다는 이유로 끝까지 벼슬길에 나가지 않았었다. 《明史 卷二百九十八》

심성【心星】심성(心星)은 천자의 상징이다.

심송【沈宋】심송은 당(唐) 나라 때 유명한 시인(詩人)인 심전기(沈佺期)ㆍ송지문(宋之問)의 병칭이다. 심전기ㆍ송지문의 시체(詩體)를 심송체(沈宋體)라고 한다.

심수권조비【心隨倦鳥飛】벼슬을 버리고 고향으로 돌아가고 싶어하는 심정을 표현한 것이다. 도연명(陶淵明)의 ‘귀거래사(歸去來辭)’에 “새도 날다 지치면 돌아올 줄을 안다.[鳥倦飛而知還]”는 구절이 있는 데에서 유래한 것이다.

심수지【深遂之】수지는 심기원(沈器遠)의 자(字)이다.

심심【深深】고요하고 희미한 모양, 깊숙하고 어둠침침한 모양, 깊고 깊음

심심【伈伈】두려워하는 모양

심심【心心】마음과 마음

심심【心心】불꽃의 중심 부분.

심심상인【心心相印】마음에서 마음으로 전함. 이심전심(以心傳心), 불립문자(不立文字), 교외별전(敎外別傳).

 

10/20/30/40/50/60/70/80/90/100/10/20/30/40/50/60/70/80/90/200/10/20/30/40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 열자

한비자 / 육도삼략 / 소서 / 손자병법 / 전국책 / 설원 / 한서 / 고사성어 / 옛글사전

소창유기 / 격언연벽 / 채근담(명) / 채근담(건) / 명심보감(추) / 명심보감(법) / 옛글채집

 

 

www.yetgle.com

 

 

Copyright (c) 2000 by Ansg All rights reserved

<돌아가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