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고양【枯楊】무덤가에 심는 나무로 백양목(白楊木)임. 고양【羔羊】시경(詩經) 국풍(國風) 소남(召南)의 편명인데 덕행이 고결(高潔)한 사대부들을 비유한 시이다. 고양구도【高陽舊徒】술을 아주 좋아하여 모든 일에 얽매이지 않고 방탕하게 노는 사람을 뜻한다. 사기(史記) 제97권 역생육가열전(酈生陸賈列傳)에, “패공(沛公)이 군사를 이끌고 진류(陳留)를 지날 적에 역생(酈生)이 군문(軍門)에 와서 알현하기를 청하였다. ……사자(使者)가 나와서 말하기를, ‘패공께서 한창 천하를 경략하는 일을 하고 있어서 유인(儒人)을 볼 겨를이 없다고 하십니다.’ 하니, 역생이 눈을 부릅뜨고 칼을 쓰다듬으면서 사자에게 질타하기를, ‘가라. 다시 들어가서 패공에게 나는 고양의 술꾼이지 유자가 아니라고 하라.’ 하였다.” 하였다. 고양구주도【高陽舊酒徒】초한(楚漢) 때의 역이기(酈食其)는 처음에 고양 땅의 주도(酒徒)였다. 술을 좋아하고 매인 데 없이 방탕한 사람을 말하기도 한다. 고양도【高陽徒】고양의 술군[高陽酒徒], 예의 범절이나 격식 따위에 구애받지 않는 호방한 인물을 가리킨다. 전한(前漢) 때의 역이기(酈食其)를 가리킨다. 한 고조(漢高祖)가 일찍이 진류(陳留)에 들렀을 때, 역이기가 군문(軍門)에 나와 뵙기를 청하므로, 고조의 사자(使者)가 거절하기를 “패공(沛公)이 선생을 삼가 거절하는 것은 방금 천하의 일을 경영하느라 유인(儒人)을 만날 겨를이 없어서입니다.” 하자, 역이기가 사자에게 꾸짖기를 “나는 고양의 술꾼이지, 유학의 글이나 떠받드는 꽉 막힌 사람이 아니다.[吾高陽酒徒 非儒人也]”라고 하고는 끝내 뜻을 관철했던 고사가 전한다. 《史記 卷97 酈生列傳》 고양주도【高陽酒徒】한 고조(漢高祖) 유방(劉邦)이 역이기(酈食其)의 면회 요청을 받고서 사람을 시켜 사절하게 하자, 역이기가 “나는 유인이 아니고 고양의 주도(酒徒)라고 패공에게 달려가서 말하라.” 하였다. 고어【皐魚】고어(皐魚)는 옛날 효자의 이름이다. 고어멸성【皐魚滅性】친상(親喪)을 당해 너무 슬퍼한 나머지 자신의 생명을 잃은 것을 말한다. 춘추 시대 고어(皐魚)가 모친상을 당해 통곡하면서 “나무가 조용해지려 하나 바람이 그치지 않고, 자식이 봉양하려 하나 어버이가 계시지 않는구나.[樹欲靜而風不止 子欲養而親不待也]”하고 슬퍼하다가 죽은 고사가 있다. 《韓詩外傳 第9》 고어지사【枯魚之肆】목마른 고기의 어물전이라는 말로, 매우 곤궁한 처지라는 뜻의 고사성어. 고역사【高力士】당 현종(唐玄宗) 때 환관(宦官)이니 소잠(蕭岑) 등을 평정한 공으로 은총과 신임(信任)이 지극하였다. 이백(李白)이 청평사(淸平詞)를 지을 때에 고역사를 시켜 신을 벗기게 한 까닭으로 혐의를 품고 참소하여 마침내 이백을 파출(罷出)시키는 데 이르렀다. 고염무【顧炎武】청 나라 초기의 고증학자. 호는 정림(亭林)이다. 고영중【高瑩中】고려(高麗)의 문신으로 옥구 고씨(沃溝高氏)의 시조. 벼슬은 태복경(太僕卿)이었다. 《高麗史》 고예【顧倪】동진(東晉) 때의 문인화가로서 특히 인물화에 뛰어났던 고개지(顧愷之)와 원(元) 나라 말기의 문인화가로서 특히 산수화에 뛰어났던 예찬(倪瓚)을 합칭한 말이다.
10/20/30/40/50/60/70/80/90/100/10/20/30/40/50/60/70/80/90/200/10/20/30
|
|
|
|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 열자 |
|
|
|
|
||
Copyright (c) 2000 by Ansg All rights reserved <돌아가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