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구야자【歐冶子】춘추 시대의 유명한 검 제작자의 이름이다. 월왕(越王)을 위해 거궐(巨闕)ㆍ담로(湛盧)ㆍ승사(勝邪)ㆍ어장(魚腸)ㆍ순구(純鉤)의 5검을 만들고, 초왕(楚王)을 위해 용연(龍淵)ㆍ태아(泰阿)ㆍ공포(工布)의 3검을 만들었다 한다. 두보의 시에, “鍊金歐冶子”라는 것이 보임. 구약방【九籥方】구약에 들어 있는 단약방문(丹藥方文)을 말함. 구약은 아홉 개의 대롱인데, 이 대롱에는 단약방문이 들어 있는 책들을 갈무리하였다 한다. 구약현하【口若懸河】입에서 나오는 말이 경사가 급하여 쏜살같이 흐르는 강과 같다는 말로, 말을 끊지 않고 청산유수 같다는 뜻의 고사성어. 구양【求羊】구중(求仲)ㆍ양중(羊仲). 한(漢) 나라 때 고사(高士). 장허(蔣詡)란 사람이 두릉(杜陵)에 은거해 살면서 이 두 사람과 친하게 지냈다 한다. 《蒙求 蔣詡三經》 구양【九陽】하늘과 땅의 맨 끝. 구양【裘羊】한(漢) 나라의 은사(隱士) 장후(蔣詡)와 유독 친하게 지냈던 구중(求仲)과 양중(羊仲)을 말한다. 구(求)는 구(裘)의 고자(古字)이다. 구양【九陽】해. 구양공【歐陽公】송(宋) 나라의 학자 구양수(歐陽脩)를 이름. 자는 영숙(永叔), 호는 취옹(醉翁). 저서에는 신당서(新唐書)ㆍ신오대사(新五代史)ㆍ육일시화(六一詩話) 등이 있음. 일찍이 ‘창승부(蒼蠅賦)’를 지어 파리를 미워하기도 하였다. 구양애소【歐陽愛蘇】구양수(歐陽脩)가 소식(蘇軾)의 재능을 인정한 것. 소식이 재주와 학식을 겸비했다 하여 구양수가 그를 비각(祕閣)에 추천하였음. 《宋史 卷三百十九》 구양영숙【歐陽永叔】영숙은 송(宋)의 학자이며 문장가인 구양수(歐陽脩)의 자(字). 그는 일찍이 신당서(新唐書)를 찬했는데, 여기에 측천무후를 당기(唐紀)에 그대로 넣었다. 이는 한 혜제(漢惠帝)가 죽은 다음, 여후(呂后)가 직접 정치를 했는데, 사마천(司馬遷)의 사기(史記)와 반고(班固)의 한서(漢書)에 여후기(呂后紀)가 있는 것을 따른 것이다. 구양이십구【歐陽二十九】대가족주의인 중국의 옛 풍습으로 한 집안 여러 종형제(從兄弟)를 통틀어서 번호로 부르는 호칭. 구양현【歐陽玄】원(元) 나라 용생(龍生)의 아들로서 문장에 능했으며, 벼슬은 한림학사승지(翰林學士承旨), 호는 규재(圭齋)이며 문집(文集)이 전해짐. 구어사전【求魚舍筌】도구가 있어야만 목적을 이룰 수 있다는 뜻이다. 장자(莊子) 외물(外物)에, “통발이란 것은 고기를 잡는 도구인데, 고기를 잡고 나면 통발은 잊어버리게 된다.” 하였다. 구어상이현【求魚賞餌懸】상을 내걸고 군사를 모집한다는 말이다. 후한서(後漢書) 경순전(耿純傳)에, “달콤한 미끼로 중한 상을 내걸어야 사람을 모을 수 있다.” 하였다. 구언교서【求言敎書】임금이 신하의 직언(直言)을 구하는 교서. 구업【口業】불가(佛家)의 용어로, 입으로 짓는 죄업(罪業)을 말한다. 신(身)ㆍ구(口)ㆍ의(意) 삼업(三業) 가운데 하나로 망어(妄語)ㆍ기어(綺語)ㆍ악구(惡口)ㆍ양설(兩舌)을 말한다. 구여주송【九如周頌】시경 소아 천보의 시에 ‘여(如)’ 자가 아홉 개가 들어 있다. 구역【九域】구역은 구주(九州)와 같은 뜻으로 중국 전체를 가리킨다. 구역위령【九譯威靈】아홉 차례나 통역을 해야 겨우 중국에 들어올 수 있을 정도로 서역의 먼 나라들을 모두 정복했다는 말이다.
10/20/30/40/50/60/70/80/90/100/10/20/30/40/50/60/70/80/90/200/10/20/30
|
|
|
|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 열자 |
|
|
|
|
||
Copyright (c) 2000 by Ansg All rights reserved <돌아가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