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옛글닷컴ː명언명구/사전

하늘구경  

 

 

 

 

천작【天爵】하늘에서 내려 준 작위, 즉 덕이 충만하여 저절로 존귀하게 되는 것을 말하는 것으로, 인작(人爵)에 대한 용어이다. 맹자(孟子) 고자 상(告子上)에 “인의(仁義)와 충신(忠信)은 하늘의 벼슬[天爵]이요, 공경(公卿)ㆍ대부(大夫)는 사람의 벼슬[人爵]이다.” 하였다. 또, “인의 충신(仁義忠信)과 조금도 태만함이 없이 선을 좋아하는 것이 천작이다.” 하였다.

천장【天章】월사(月沙) 이정귀(李廷龜)의 아들 이명한(李明漢)의 자(字)이다.

천장【天章】임금이 지은 글을 높여 부른 말이다.

천장【天漿】천상(天上)의 음료(飮料)라는 뜻으로, 사색(思索)의 심원함을 비유한 말이다.

천장【天漿】천장은 천연적인 감즙(甘汁)으로 천상(天上)에서 마시는 음식물을 뜻한 것이다.

천장【天章】하늘의 무늬란 말이다.

천장【天章】하늘의 문장으로, 제왕(帝王)의 시문을 말한다.

천장각【天章閣】송진종(宋眞宗)의 장서각(藏書閣) 이름. 궁중(宮中)의 서실(書室)을 비유한다.

천장급제【天場及第】궐희(闕戱) 때 사학 유생에게 해학(諧謔)을 제목으로 글을 짓게 하여 그 등급을 매기는 일. 고려 충렬왕이 유학을 좋아하여 당시의 문한(文翰)하는 선비들을 직접 시험하였으므로 생긴 이름인데, 뒤에는 성균관의 유생들이 이것을 흉내내어 매년 여름과 겨울에 종이에다가 궐(闕)자를 써서 대궐을 삼고 공자를 왕(皇帝)으로 받들어 조정의 의식을 모의(摸擬)하였으며, 사학(四學)에서 제사를 도우려고 온 유생들에게 익살스런 글제를 내어 제술(製述)하게 하고는 등급을 매겨 급제를 뽑았는데 이것을 천장급제라 한다.

천장하구관【天章下九關】임금의 조서(詔書)가 내릴까 염려된다는 뜻이다. 천장은 신한(宸翰)과 같은 뜻으로, 임금의 한묵(翰墨)이라는 뜻이고, 구관(九關)은 임금이 거처하는 구중궁궐(九重宮闕)인 즉 대궐을 의미한다.

천장회파두표작【天漿會把斗杓酌】시경(詩經) 대동(大東)의 “북쪽에 북두(北斗)가 있어도 주장(酒漿)을 잔질할 수 없다.” 원망한 말을 빗대어 인용하였다.

천재일우【千載一遇】천 년에나 한번 만날 수 있는 기회, 곧 좀처럼 얻기 어려운 기회를 말한다.

천재지변【天災地變】하늘이나 땅에서 일어나는 재난이나 변사.

천재하청【千載河淸】고어에 황하수가 천년 만에 한번씩 맑아진다고 하는데, 그것은 곧 성군(聖君)이 나서 세상이 태평해질 상서라 한다.

천전【天田】임금이 상제(上帝)와 종묘(宗廟)의 제수를 목적으로 친히 경작(耕作)하는 전지(田地)로서, 즉 적전(籍田)과 같은 뜻이다.

천전운막【天田雲幕】제왕의 적전(籍田)에 구름같이 펼쳐진 임금의 장막이라는 뜻이다.

천정【天庭】태미원(太微垣) 별. 전(轉)하여 ‘제왕(帝王)의 뜰’을 말한다.

천정부지【天井不知】물가가 자꾸 오름을 이르는 말.

 

10/20/30/40/50/60/70/80/90/100/10/20/30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 열자

한비자 / 육도삼략 / 소서 / 손자병법 / 전국책 / 설원 / 한서 / 고사성어 / 옛글사전

소창유기 / 격언연벽 / 채근담(명) / 채근담(건) / 명심보감(추) / 명심보감(법) / 옛글채집

 

 

www.yetgle.com

 

 

Copyright (c) 2000 by Ansg All rights reserved

<돌아가자>